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업화된 과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향 탐색

        우진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mercialized science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ren and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m, and to seek the improvement of such programs through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and awareness. To this e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accessibility and children's curiosity about science activities were viewed as positive aspects of commercialized science programs. Second, the teachers indicate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in applying and implementing the commercialized science programs in that many of them were simply manipulative and contained inappropriate activities, poor safety levels, defective materials, allowed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lessons, individual activities had insufficient interactions, and many lessons seemed superficial. Third, the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ir own efforts, the new framework for teaching methods, quality inspection on activity materials, and support for developing teachers' competencies in science lessons were necessary to improve commercialized science programs.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in that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commercialized science education programs has been examined through the perspectiv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programs in practice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programs have been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상업화된 과학교육 프로그램과 그 실행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8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이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과학활동에 대한 접근성과 유아의 호기심을 상업화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긍정적 측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상업화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활용과 실행이 단순 조작활동, 활동자료의 안전성 및 기능 결함, 활동의 부적합성, 불충분한 수업준비, 부족한 상호작용과 개인 활동, 일회성의 형식적 수업이라는 점에서 그 한계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상업화 과학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해 교사의 자구적 노력, 수업방식의 새로운 틀, 활동자료 검증, 교사의 과학수업 역량 증진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교사의 관점을 통해 상업화된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활동 실행과정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지고, 실제적 측면에서 활동의 한계점 및 개선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경험을 통해 본 효과적 학부모 상담을 위한 전제조건과 상담전략

        우진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strategies and techniques for parent counseling through teachers' experiences and to seek effective methods and skills of parent counseling. For this stud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regarded positive parental relationship, theoretical knowledge, and communication skills as important prerequisites for successful counselling. Second, teachers perceived that counseling with parents could be effectively done with preparation for counseling, positive counseling relationship with parents, understanding and positive view on children, horizontal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through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these skills, the teachers emphasized building horizont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as most important. They also tried to respect the rights of choices and decisions of individual parents' so that parents could voluntarily change through counsel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practical parent counseling strategies and techniques have been examined by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nd such strategies and techniques could be a basis of parent counsel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본 연구는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필요한 학부모상담의 상담전략과 기법을 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효과적 상담의 방법적 접근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형식으로 면담이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긍정적인 학부모 관계, 이론적 지식, 대화기술을 성공적 상담을 위한 중요한 조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상담 사전준비, 학부모와의 긍정적 상담관계 형성, 아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긍정적 시각, 수평적 조력관계, 이해와 표현을 통한 소통으로 학부모와의 상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무엇보다 교사들은 교사와 학부모의 관계에 있어 수평적 조력관계 형성을 강조하였으며 상담을 통해 학부모의 자발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학부모 개인의 선택, 결정 권리를 존중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들이 인식한 학부모 상담전략을 교육현장의 교사들을 통해 실제적 측면에서 접근하고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교사의 학부모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 교사의 방과후 학교 참여 동기와 경험에 관한 연구

        우진경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2015 兒童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초등 방과후학교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신과 경험을 통해 방과후학교 발전 방향과 교사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이루어졌다.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 의해 도입된 방과후학교는 수요자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는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초등 교사의 방과후학교 참여에 대한 인식과 참여 동기를 알아보고 참여 시의 어려움과 해결방안에 대한 의견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요자인 학부모를 대상으로 초등교사의 방과후학교 참여와 관련된 그들의 입장과 견해에 대해 들어보았다. 각 연구 참여자와는 각 2회씩 개별 면담이 이루어졌다. 면담 결과, 교사들은 방과후 학교 참여에 대해 심리적, 업무적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각 교사의 상황과 입장에 따라 다양한 참여 동기를 가지고 있었다. 참여 시에 교사들은 과중한 업무 문제와 물적 자원이 부족한 환경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참여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롤 모델 공유, 업무 분담, 담당교사 호환제도, 실질적 인센티브 제공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방과후학교에 새로운 방식의 업무체계가 도입된다면 교사들의 효율적 업무수행과 자발적 참여에 대한 가능성이 높아지고 방과후학교의 질적 제고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아동권리 관련 연구 동향분석 : 부모 및 가정 연구대상을 중심으로

        우진경(Woo Jin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부모 및 가정 대상 아동권리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그 한계점을 밝혀 앞으로의 연구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94년부터 2019년 6월까지 73편의 연구를 선정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 이후 관련 연구의 증가 추세를 볼 수 있었으며 특히 2010년 이후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연구의 내용범주는 아동권리 인식과 관련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아동권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동권리존중 실행 등의 순으로 연구되고 있었다. 셋째, 양적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질문지법을 이용한 자료수집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넷째, 부모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실시된 반면 아버지 대상 연구는 가장 드물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경험적 사례연구, 연구대상과 주제에 대한 균형적인 접근, 부모교육 개발 및 효과 검증과 관련한 연구 활성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result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by analyz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on children s rights to parents and family. For this purpose, 73 studies published from 1994 to June, 2019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research in relation to the topic since the 1990s, especially since 2010. Second, in the category of research, the research about recognition of children s human rights is the most. and followed by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children s right, implementation of respecting children s rights, and so on. Third, in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mostly, so that questionnaire was the most method for the data collection. Fourth, with regard to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on parents and mothers has been most frequently conducted, while the research on fathers was the least.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needs to activate empirical case studies, balanced approach to the subjects and the themes, and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and verification of its effects.

      • KCI등재

        영유아보육.교육기관 내 아동학대 대응의 어려움 및 개선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우진경(Woo, Jinkyoung),차인영(Cha, In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교육기관 내 아동학대에 대한 교사의 대응 양상과 대응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아동학대 대응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 줌(Zoom)을 활용해 반구조화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아동학대에 대해 무대응과 묵시적 보호, 모델링, 동료 교사와 논의 등을 통한 소극적 대응 그리고 관리자 보고, 기관 내 공론화, 직접적 개입을 통한 적극적 대응을 보였다. 둘째, 교사는 아동학대 대응 과정에서 개입의 어려움, 명확하지 않은 판단 기준, 상담 통로와 지지체계 부재,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 관계 속에서의 딜레마, 내부고발에 대한 부정적 시선, 대응으로 인한 불이익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교사의 적절한 대응을 위해 인식 전환, 교육 제공, 상담체계 마련, 사후관리 체계 개선, 아동학대 관리 조직문화 형성, 기관장의 학대 관리 역량 강화, 신고자 보호 체계 마련이 요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아동학대 대응에 대한 현장의 실제 어려움을 이해하고 향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seek directions to improve the teachers’ responses to child abuse through examining the modality of their responses to child abuse and their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child abuse in ECEC settings. For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5 ECEC teachers using Zoom meeting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showed three different patterns of responding to child abuse which include no-action, passive responses including tacit protection, modeling, and discussions with fellow teachers, and active responses including reporting to their managers, public discussion within the setting, and direct intervention. Second, the teacher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responding to child abuse, such as the problem of intervention, unclear criteria to identify child abuse, lack of counseling channels and support systems, concerns about harm to others, dilemmas in relationships, negative views on whistle-blowing, and disadvantages due to their actions. Third, the teachers suggested that it would need to change their recognition,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and counseling channels, improve the follow-up management system, form an organizational culture for child abuse management, strengthen managers’ capacities to manage child abuse, and establish a system to protect reporters of child abuse for teachers’ appropriate responses in ECEC settings. Through these study results and discussion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understands the actual difficulties in the field for responding to child abuse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future improvement.

      • KCI등재

        학부모 상담 실행에서 유아교사의 정서적 경험 탐색

        우진경(Woo, Jin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가 학부모 상담 시 겪게 되는 정서적 경험과 의미에 대해 교사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부모 상담 실행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부모 상담 개선을 위한 논의점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수집 및 분석은 유아교사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에 의해 이루어졌다. 결과 첫째. 교사들은 학부모 상담 준비와 진행 시, 상담 이후의 과정에서 각 단계와 상황에 따라 긴장감과 불안, 답답함, 기대감, 즐거움, 만족감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정서적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학부모상담의 정서적 경험을 통해 교육 주체 간의 소통 증가, 신뢰 관계 유지를 위한 노력, 부정적 정서의 완화, 자기성찰과 교육적 방향 모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학부모 상담 시 교사의 정서적 경험을 통해 유아교사의 관점에서 학부모 상담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학부모-교사 간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arental counseling process and positive changes through the experiences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qualitatively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7 early childhood teachers. Results first, the teachers experienced various and complicated emotions such as strain, suffocation, expectation, pleasure, satisfaction, and etc. according to the stage and situation of the process of parent-teacher counseling. Second,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ir experiences could help them to increase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make efforts to keep good relationships with parents, alleviate their negative emotions on parent-teacher counseling, reflect their own practice and seek educational directions as a teacher. The findings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enhances understanding of parent-teacher interaction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parent-teacher counseling. Conclusions The findings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enhances understanding of parent-teacher interaction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parent-teacher counseling.

      • KCI우수등재

        초등 교사의 방과후 돌봄 교사와의 의사소통과 협력에 대한 의미

        우진경(Jin Kyoung Woo),서영숙(Young Sook Suh) 한국아동학회 2015 아동학회지 Vol.36 No.2

        In this study, an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regar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vels of cooperation was conducted. This was done from the assumption that it is essential for goo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o exist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fter-school care teachers to provide the most reliable after-school care environment possible. Individual interviews with 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for clos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was clearly established, due to the obvious advantages obtained from cooperation on supporting children and improving the teacher`s levels of expertise. However, contrary to thi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fact did not have very good communication between themselves and the after-school care teachers. Second, the problems in cooperation revealed a degree of disapproval regarding the perceived independence of after-school care teacher`s duties, a sense of burden arising from interaction with a large number of teachers, the lack of communication time due to the workload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lack of material resources. Third, teachers further stated that although they were generally interested in after-school care classes, and showed approval of the role of after-school care teachers, regular meetings, and an expansion of the current messenger systems of communication with after-school teachers are clearly needed.

      • KCI우수등재

        상호존중 자기표현 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의 아동의 변화 탐색

        우진경(Jin Kyoung Woo),서영숙(Young Sook Suh)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5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of a child human-rights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tual respect and self-expression and the changes amo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 an effort to seek direction for child human-rights education. Methods: Eight sessions of the program were delivered to 25 students in a class of third graders for 5 week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hanges of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observational journals, research journals, child reviews of the program,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recordings were colle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rogram, the children had positive experiences by reflecting on and fulfilling the learned concept of human rights in their lives. The children attempted to fulfill their own rights and those of others. Second, the children’s human-rights awareness, self-esteem, and sense of respect for others improved, and rights practices via active self-expression increased. Changes in the self and others could lead to human-rights-friendly classroom environments. Conclusion: The positive aspects of human-rights education via self-expression could guide human-rights education policies for elementary students and boost these skills in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