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자(莊子)≫에 나타난 `소설(小說)`의 의미에 대한 고찰

        왕비연 ( Wang Fei-yan ) 중국어문연구회 2017 中國語文論叢 Vol.0 No.80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Xiaoshuo(小說)` originated in Zhuangzi. The sentence is “use `Xiao-shuo` to earn a great reputation(飾小說以幹縣令)”. Many scholars have considered `Xiao-shuo` to mean trivial tales or short stories, which have nothing to do with the great Tao(道). This paper studied the whole text of Zhuangzi, in order to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Xiaoshuo`. I conclude `Xiaoshuo` does not mean trivial tales or short stories, but some other theories of Ancient Chinese Classics which do not concern the great Tao. Zhuangzi asserts that the greatest theories should follow the great Tao. This is what Taoism usually refers to, but some theories do not follow or derive from the great Tao, just minor or trivial lectures. He called such theories `Xiaoshuo`. In Zhuangzi, Chuang-tzu also called something similar as `Xiao-shuo`, including `Xiao-yan(小言)`, `Su-yan(俗言)` and `Ye-yu(野語)`. Each type is distinctive, seems the `suk-yan(俗言)` is the most similar to interesting tales. After 20th `Xiao-shuo` became like `novel` in West literature. In old China it has many significance like tale, fiction, story, and novel, But in Zhuangzi, it doesn`t mean that.

      • KCI등재

        How Tang Xian-zu(湯顯祖)`s ≪Peony Pavilion(牡丹亭)≫Borrowed Materials from Mystery Fiction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왕비연 ( Wang Fei-yan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文學 Vol.90 No.-

        이 글에서는 탕현조(湯顯祖)의 《모란정(牡丹亭)》이 육조 지괴소설 중 《이종문녀(李仲文女)》와 《풍효장남(馮孝將男)》,그리고 《담생(談生)》의 소재를 수용하고 발전하였음에 주목하고 그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모란정》이 세상에 나온 당시와 그 이후, 사람들의 평가는 주로 남녀간의 정사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를 좋아한 사람들은 지극한 정(至情)이라고 보았고, 못마땅하다고 여긴 사람들은 그것을 음란한 감정으로 보았다. 실제로 정신적인 사랑과 육체적인 사랑이 분리할 수 없다는 것이 남녀의 감정에 대한 탕현조의 기본적인 주장이다. 《이종문녀》와 《풍효장남》,그리고《담생》의 주요내용도 남녀간의 정사이다. 탕현조가 이 세 작품에서 기본적인 모티프와 화소들을 일부 수용했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으로 명혼과 환혼 모티프, 그리고 고문(拷問) 화소를 고찰했다. 탕현조는 이들 모티프와 화소를 수용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문학과 미학에 대한 생각도 이야기 속에 넣어 놓았다. 그로 인하여 지괴소설에서의 원시적인 모티프와 화소들이 《모란정》에서는 보다 풍부한 사상적인 내적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문학적인 의미와 가치도 한층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탕현조는 남녀간의 정사 외에 색정과 전쟁에 대해서도 많은 분량을 할애했는데, 이를 흥미와 오락성 위주로 서술했다. 이런 통속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실제로 탕현조가 희곡예술에 대한 인식을 담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In the < Preface of Peony Pavilion(牡丹亭題詞) >, Tang Xian-zu wrote that he borrowed some materials from < Xu Xuanfang`s Daughter(徐玄方女) >, < Feng Xiaojiang`s Son(馮孝將男) >and < Tan Sheng(談生) >, which are mystery tales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his paper studied just how he used those three sources. ≪Peony Pavilion≫is among Tang Xian-zu`s most famous books. From the Ming Dynasty to the present, there have been two contrasting views on it: some have called it a great love story, while others have considered it just pornography. In fact, these views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Tang Xian-zu`s opinion is it depends on how the writer depicts or expresses the story. Tang Xian-zu took some basis from those three sources, and then added many other details through his profound thought and sentiment. He absorbed and enriched the original materials. In ≪Peony Pavilion≫, Tang Xian-zu also wrote a great deal of content concerning erotica and war. As a great writer, he knew what his readers and reviewers wanted, so he added them to ≪Peony Pavilion≫.

      • KCI등재

        논문(論文) : 1991년 북한에서 출판한 중역본(中譯本) <춘향전>의 저본의 성격과 번역양상에 대한 고찰

        왕비연 ( Fei Yan Wang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5 中國學論叢 Vol.50 No.-

        This paper``s aim is to study a Chinese translation of <Chun-hyang Jeon 춘향전> as published in North korea, 1991. The translator is not marked, and the original text used was Cho Ryeong-chul (조령출)``s adaptation of <Chun-hyang Jeon> which published in North Korea, 1980. Cho Ryeong-chul``s <Chun-hyang Jeon> was a adaptation of the traditional <Chun-hyang Jeon 춘향전>, published in Jeonju (전주, 완판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 Cho Ryeong-chul changed many parts of the story to make it became a North Korea style .Chun-hyang Jeon ., which sharpens class struggle, exalting the common people more than in the original version. At the same time he putted many new poems and songs in the adaptation, they arenot the traditional style of Pansori (판소리), but showed the musical character of the story different way. Most of the translation was accurate and fluent, but there were still some mis-translations and awkward expressions in this book, and also the translator could not translate the article writing style and the musical character of the adaptation well. Overall, the translator was very good at normal expression of Chinese but laked at the literariness and artistical expression.

      • KCI등재

        북한 조령출 윤색본 『춘향전』의 수용과 윤색의 양상 -완판84장본『열녀춘향수절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왕비연 ( Fei Yan Wang ) 북한연구학회 2015 北韓硏究學會報 Vol.19 No.2

        이 글은 조령출 윤색본 『춘향전』에 나타난 수용과 윤색의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조령출 윤색본 『춘향전』은 완판84장본을 기반으로 윤색한 것이다. 그러나 완판84장본의 내용을 수용하면서도 북한의 주체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세부적인 윤색을 많이 했다. 본고에서는 북한 1991년본을 중심으로, 1980년본과 2007년본 두 판본을 참고자료로 삼고작품에 나타난 문체의 음악적 성격에 대한 표현과 등장인물 중 춘향과 변학도의 형상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춘향전』은 생성될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고정된 형식과 내용을 가지는 작품이 아니다. 시대와 환경의 변화, 심지어 창자와 관중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화할 수 있는 작품이다. 고전작품으로서 의 가치가 충분히 인정되면서도, 현대사회에서 『춘향전』은 여전히 자신만의 개방성과 유동성을 가지고 있다. 조령출 윤색본에서 완판84장본의 문체적인 특징이나 내용, 그리고 판소리 작품으로서의 성격을 부분적으로 수용한 것은 그런 요소들의 가치를 인정한다는 뜻이다. 조령출윤색본에 나타난 새로운 시가의 삽입, 주인공의 변화된 형상은 『춘향전』의 수많은 모습들 중 북한 사회체제 아래서의 또하나의 변모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조령출 윤색본은 저본의 문체와 내용의 부분적인 특징을 수용하면서도 특정된 주제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많은 윤색을 가했다. This paper compares Cho Ryeong-chul``s adaptation of Chun-hyang Jeon (춘향전) and the traditional Chun-hyang Jeon published in Jeonju (전주, 완판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 as well as the acceptance and embellishment of Cho``s adaptation. Cho Ryeong-chul``s adaptation shows acceptance and changes from two sides. First, he tried to keep the traditional lyric style on 3·4 and 4·4 words from the original, and also put many new poems and songs to show the musical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way from the original. Also, the characters of Chun-hyang and Byun Hakdo changed greatly in adaptation. For example, Cho Ryeong-chul left out many details which showed Chun-hyang was a gisaeng (Korean geisha), and persistently tries to make Chun-hyang into a lady. As for Byun Hakdao, though a funny and jocular man by direct description, in the farmers`` eyes he becomes a corrupt feudal bureaucrat. In Cho``s adaptation, he becomes more satirical and ridiculous than villainous. Overall, Cho seems to have tried to base his version on the original and also make a new version of Chun-hyang Jeon which was based on the societal background of North Korea.

      • KCI등재

        1956년 북경 작가출판사에서 출판한「춘향전」의 번역양상에 대한 고찰

        왕비연 ( Fei Yan Wang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1

        본고는 1956년에 북경 작가출판사에서 출판한 중국어판 「춘향전」의 번역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에는 「춘향전」의 소설 번역본과 희극(戱劇) 개작본이 각각 6종류씩 있는데, 그 중에 1956년 역본은 중국대륙에서 나온 최초의 소설 번역본으로 이 글의 연구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1956년 역본의 저본은 북한의 「춘향전」이고, 북한의 「춘향전」은 직·간접적으로 성적인 표현을 다룬 부분이 모두 삭제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완판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의 내용과 같다. 1956년 역본은 북한과 중국 양국의 원어민 번역자가 합작한 역본이다. 그러나 두 번역자가 모두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북한 번역자인 빙울(氷蔚)은 훌륭한 번역자이지만 고전작품을 해독하는 일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어 보이고, 중국 번역자인 장우란(張友鸞)은 중국 고문 실력이 상당히 뛰어나지만 조선말은 할 줄 모른 것 같다. 두 사람의 번역 실력이 1956년 역본의 질(質)을 결정했다. 전체적으로 1956년의 번역양상을 살펴봤을 때 대구(對句)나 한시, 그리고 중국의 전통 희극적 표현을 사용하면서도 원작의 운치를 최대한 재현하기 위한 노력이 돋보인다. 또한 원작의 고전적인 정취와 판소리의 음악적 성격, 그리고 주인공들의 슬픔과 기쁨 등 감정도 아주 적절하게 표현해 냈다고 할 수 있다. 중국 독자들이 충분히 친근감을 갖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역본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56년 역본에는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이 역본은 원작에 대한 해독의 미숙함으로 인해 의사전달이 정확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 기본적인 의사전달이 정확하지 않다면 작품의 예술적인 가치나 작가의 심층적인 사상 등을 논의하기 어려울 것이다. 한편 번역에 있어 원작의 내용을 바르게 번역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작품 안에서 내포하는 ‘정신적인 것’을 적절하게 표현해 내는 것도 중요하다. 원작의 ‘정신적인 것’들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1956년 역본에는 원작의 해학과 골계를 제대로 표현해내지 못했다는 문제도 있다. 이는 빙울과 장우란 두 사람이 모두 원작에서 스며든 당시 민중들의 낙천적인 감정과 발랄한 정신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비록 1956년 역본이 원작의 해독과 번역과정에서 크고 작은 문제를 보이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 역본은 다양한 방법으로 원작의 음악적 성격과주인공의 감정을 생동감 있게 표현했다. 이어 더하여 번역 방법에서 후대의 번역자들에게 참고 될 만한 좋은 사례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This paper``s aim is to study a Chinese translation of 「Chun-hyang Jeon 춘향전」 as published by the Writer``s Publishing Office (北京作家出版社) in Beijing in 1956. The translators are Bingwei (氷蔚 from North Korea) and Zhangyouluan (張友鸞 from China). The original text used was North Korean 「Chun-hyang Jeon춘향전」, and the story is almost the same as the traditional 「Chun-hyang Jeon 춘향전」, published in Jeonju(전주, 완판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 but the North Korean editors deleted all erotic contents. Some mistranslations and awkward expressions in this book should be noted. The reason might be because Bingwei could not translate the original with perfect accuracy, and Zhang could not find Bingwei’s translation mistakes. It seemed Zhang does not know the Korean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classical atmosphere and musical character of Pansori (판소리) were maintained well in this translation. Overall, we might say the translators did great work. Zhang, especially, used classical Chinese, and even the language of traditional Chinese opera well, which was useful in this translation. Even though there are some issues concerning this book, we still conclude the translation succeeded.

      • KCI등재

        李漁≪十二樓≫中的女性群像以及由此表現出的李漁的女性觀

        왕비연 ( Fei-yan Wang ) 중국어문연구회 2015 中國語文論叢 Vol.0 No.72

        This paper studies the female imagery in Li yu’s Twelve Structures (≪十二樓≫) and analyzes Li yu’s views of womanhood expressed in his classic collection of stories. The ancient Chinese literati held that a man under the influence of wine or women should not be judged. This implied women were less than fully human, with their own thoughts and needs, but were rather like wine, a source of pleasure. In keeping with the era, Li yu’s Twelve Structures pays no heed to female autonomy or character except for Lady Shu’s(舒娘子) in ‘Fengxian Structure’(<奉先樓>). In general, women are seen like toys to give, sell or play with. Some might be clever, beautiful, or special somehow, yet dutiful treatment, such as faithfulness to them, was simply not their due. Li yu’s depictions of womanhood vary somewhat by class. His writing on underclass women is full of jokes and shows them like chess pieces in games men play. He writes with less frivolity and more reserve about higher class and noble-women. As a working writer, Liyu had to consider what would sell. Most of his stories thus feel fresh and novel. Only in Fengxian Structure, is his tone grave and sober. Lady Shu is, of course, a highly respectable woman. Li yu’s basic low evaluation of women was common and acceptable among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Period literary men. His book still reveals some realistic aspects of women’s lives in that time.

      • KCI등재

        意象图式视角下冯延巳词的认知解读

        王斐 ( Wang Fei ) 한국중국학회 2021 중국학보 Vol.96 No.-

        本文在意象图式的视角下, 对冯延巳的词进行了尝试性的分析, 为冯延巳词的解读提供了一个新的切入点。冯延巳词之所以能引起读者的深刻感受和丰富联想, 是因为冯延巳词中蕴含着人类认知上所共通的某些意象图式。这些意象图式交互融合, 在表达着词人的人生感受和生命体验的同时, 通过激活人们大脑中共通的认知基础, 刺激了读者的情感体验, 从而引发读者的共鸣。因此, 通过意象图式对冯延巳词进行深层次的分析解码, 探寻文字表面下的认知机制, 是能够深入解读冯延巳词的行之有效的方法。本文选取冯延巳词中主要存在的容器图式、路径图式、中心-边缘图式对冯延巳词进行了认知解读, 并举例对冯延巳词中意象图式的融合进行了分析。在意象图式的视角下, 词中主人公的处境和内心的情感状态得以形象化和具体化, 基于对意象图式的共同认知, 读者会更容易理解词中主人公的处境与心情。意象图式融合在一起发挥作用, 激起人们多种身体经验, 使读者更能感同身受, 引发情感共鸣, 对词中所蕴含的感情境界产生更深层次的认知。 From the perspective of image schema, this paper makes a tentative analysis of Feng Yansi's Ci, which provides a new starting point for the interpretation of his Ci. The reason why Feng Yansi's Ci can arouse readers' deep feeling and rich association is that there are some common image schema in human cognition in his Ci. These image schemata interact and fuse to express the poet's life feelings and life experience. At the same time, by activating the common cognitive basis in people's brain, they stimulate the readers' emotional experience and arouse the readers' resonance. Therefore, it is an effective way to deeply analyze and decode Feng Yansi's Ci through image schema and explore the cognitive mechanism under the surface of the text. This paper selects the container schema, path schema and center-periphery schema in Feng Yansi's Ci to make a cognitive interpretation of his Ci, and analyzes the fusion of image schema in his Ci with examples. From the perspective of image schema, the protagonist's situation and inner emotional state can be visualized and embodied. Based on the common cognition of image schema, readers can understand the protagonist's situation and mood more easily. Image schemata are fused togeth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arousing people's various physical experiences, making readers more empathetic, triggering emotional resonance, and hav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motional realm contained in the Ci poetry.

      • KCI등재

        한・양방 협진제도에 관한 고찰

        왕비(Wang Fei)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論文集 Vol.45 No.2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edical technology for survival environments has been advanced for the prolongation of human lifespan, while aging and increasing of chronic diseases threaten human survival. Traditional medicine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protecting human health by continuously transmitting and developing for thousands of years. However, since the last century, the rapid therapeutic effect, advanced medical equipment, and scientific treatment methods of Western medicine have profoundly impacted the traditional medicine system worldwide. With changes in social development and medical hygiene structure,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people in the gray zone, elderly and chronic diseases, and the limitations of Western medicine in treating incurable diseases are becoming more pronounced. In contrast, traditional medicine has fewer side effects, lower prices, and unique treatment techniques, which have revealed its strength in the health gray zone, geriatric disease, chronic disease, incurable disease. The popularity of traditional medicine around the world is increasing again. As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and China, Korean medicine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riginated from the same medical theory system but developed into a completely different medical system depending on history. Korea is more focused on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medicine and expects to further develop Korean medicine based on traditional medical culture to form a unique medical culture globally. Through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Medical Law in 1951, Korea has established a dualized medical system in which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coexist and have equal legal status.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in the legal system, but due to unclear declarative divisions, conflicts over areas such as medical equipment and instruments come out in an unending flow. With current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future medical fields will raise more legal problems regarding the intersection and fusion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In Chin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are poised to develop fusion, and the government encourages the integ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hopes that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will take advantage of each other and compensate for their shortcomings to achieve results that cannot be obtained in a single field, and jointly contribute to China s medical hygiene business. Chinese hygiene and health government have already developed with mutual complement and harmonious developmen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and it is advancing in a multilevel medical system includ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western medicine, and integ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It is also advancing into the global traditional medicine market. In Korea, under a dualized medical system, Korean medicine doctors and western medicine doctors have many problems such as lack of mutual trust, conflict of interest, and overlapping medical care. 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develop a collaborative medical care system in which Korean medicine doctors and western medicine doctors can cooperate for treatmen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integ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system of China, this paper particularized the problems of separation of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and the necessity of collaborative medical care system,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system, this paper also analysed the developm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collaborative medical care system. It is hoped that the Korean medicine system can establish a perfect collaborative medical care system,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수명 연장을 위한 의료기술은 진보하고 있는 반면, 그에 따른 노령화와 만성질환의 비율의 증가 등은 인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전통의학은 오랫동안 끊임없이 계승, 발전하여 인류의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해 왔다. 그러나 지난 세기 이래 서양의학의 빠른 치료효과와 의료장비의 발달, 그리고 과학적인 치료방법은 전세계의 의료체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반면, 사회발전과 의료위생 구조의 변화에 따라 건강 회색지대(Gray Zone) 한의학에서는 특별히 아픈 곳은 없지만 몸이 계속해서 무겁고 피로한 상태를 호소하는 사람들의 신체상태에 대해 “미병(未病)”이라고 이야기한다. 이는 건강과 질병의 중간 상태로, 아건강(亞健康), 반건강(半健康) 또는 회색지대(grey zone)라고도 불린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지난 2012년 국제심포지엄을 통해 아직 세계적으로 낯선 개념인 “미병(未病)”을 집중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 기후와 라이프스타일, 식습관과 의생활 등이 과거와 다르게 변모하면서 현대인들 사이에서 미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증가하고 있다(이시우, “질병과 건강의 회색지대, 미병을 아시나요”, The Science Times, 2014. 01. 06). 인 사람과 노인병, 만성질환환자가 늘면서 난치병 치료에서 서양의학의 한계가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 반해 전통의학은 부작용이 적고 가격이 저렴하며 독특한 치료기법으로 건강회색지대, 노인병, 만성병, 난치병 등의 분야에서 강점이 점차 드러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전통의학의 인기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한의학과 중의학(中醫學)은 한국과 중국의 전통의학으로서 같은 의학이론체계에서 기원했지만, 역사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의료체계로 발전하였다. 한국은 전통의학의 계승과 발전에 더 중점을 두어, 한의학을 기존의 전통적인 의료문화에 기초하여 발전시킴으로써 독보적인 의료문화를 형성하고자 한다. 1951년 국민의료법의 개정을 통해 한의학과 양의학의 두 체계가 공존하며 동등한 법적 지위를 갖는 이원화된 의료체계를 마련하게 된다. 그러나 의료와 한방의료의 불분명한 선언적 구분으로, 의료장비나 기구의 활용 등 영역에 관한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미래의 의료 분야에서는 현대 과학기술의 교차와 융합에 관한 더 많은 법적인 문제들을 야기할 것이다. 중국에서는 중의학(中醫學)과 서의학(西醫學)이 서로 융합, 발전하는 태세이다. 국가는 중서의결합의학(中西醫結合醫學)을 장려하며, 중의학과 서의학이 서로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단일 영역에서 획득할 수 없는 결과를 얻고자 하며 공동적으로 중국의 의료위생사업에 공헌하도록 하고 있다. 중국의 위생보건사업은 이미 중의학과 서의학의 상호 보완과 조화로운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특색으로 하여 발전시켜 나가고 있고 국가의 정책지원하에 중의, 서의, 중서의결합의의 다방면의 의료체계를 공동 발전시키고 있고 세계 전통의학시장에도 진출하고 있다. 한국은 이원화된 의료체계하에서 의사와 한의사의 상호 신뢰부족, 이해관계 충돌, 중복의료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보완책으로써 의사와 한의사가 상호 협력하여 진료하는 협진제도를 장려하고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 중서의결합제도를 통해 한・양방 의료 분업의 문제점과 협진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한국의 전통의학 법률체계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특히 한・양방 협진제도의 발전현황과 개선방향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 의료체계 상의 갈등을 해결하고 협진제도의 설립에 대한 법제적 연구의 첫걸음이 됨으로써 한의학의 세계 시장 진출에 촉진제가 되고자 한다.

      • KCI등재

        认知视角下汉语“重”和韩语“무겁다”的语义对比研究

        王斐(Fei Wang) 중국어문논역학회 2018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3

        선행 연구는 “무겁다”, “가볍다/무겁다”, “重”, “轻/重”, “重/heavy” 등과 같은 주제로 본고의 중국어 “重”과 한국어 “무겁다”를 비교 분석한 논문은 찾기가 어려웠다. 본고는 사전과 코퍼스를 토대로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중국어 “重”과 한국어 “무겁다”의 의미 투사와 의미 확장 네트워크를 대조 분석하고 양자 간의 차이와 인지적 특징을 검토한다. “重/무겁다”의 의미 투사와 의미 확장 네트워크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점이 발견된다. “무겁다”와 “重”은 “중량이 무겁다”라는 촉각+정도 원개념 영역에서 심리 영역, 행동 영역, 기타 감각 영역, 현상 영역 및 수량 영역으로 투사된다는 점에서 그 투사목표 영역이 대체로 일치한다. 또 “重”과 “무겁다”는 동일하게 “방사형(辐射型)”과 “연쇄형(连环型)”이 공존하는 “병존혼합형(并存混合型)”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의미에서 “重”과 “무겁다”는 완전히 대응되지 않는다. 그리고 “重” 의 투사 범위는 “무겁다” 보다 더 넓고 의미도 풍부하다. 또 “重”은 의미 확장 과정에서 동사, 부사, 명사의 용법도 보여준다. “무겁다/重”의 통시적인 각도에서의 연구와 그 의미 투사와 확장 과정에서의 차이가 생겨나는 원인은 후속 연구로 진행하고자 한다.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based on dictionaries and corpor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emantic projection and semantic expansion network of Chinese ‘重’ and Korean ‘무겁다’ and tries to make a cognitive interpretation of the polysemy of the two. It is found that the semantic projection and semantic extension of Chinese ‘重’ are similar to those of Korean. The same point: the projection area of the two is generally the same, and the two can be projected from the tactile sensory + degree source conception domain to the psychological domain, behavioral domain, other sensory domains, phenomenal domain and quantitative domain. All two have the semantic expansion network of “co-existence and mixed type” and the “radiation” and “concatenation” exist together in this network. Different points: in the specific meaning, the two are not completely corresponding, and the Chinese ‘重’ projection scope is bigger, and the meaning is more abundant. In the process of semantic expansion, Chinese ‘重’ has also become an verb, adverb and noun. The semantic projection and semantic expansion network of Chinese ‘重’ and Korean ‘무겁다’ better show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anings of the words, which can help the language learners to expand their cognition to the two, and thus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