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단 상황에서 중간자적 언어 교과로서의 조선어 고등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어 문법 영향 관계 분석 연구 ―문장 단위 문법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오현아 ( Oh Hyeonah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2

        이 논문에서는 조선어문 선택 교과로서의 <문법> 교과서와 남북한 문법교과서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조선어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의 국어문법의 영향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선어 고등 문법 교과서와 남북한 문법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문장 단위 문법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어 고등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문장 단위 교육 내용 특징으로 1) 구어중심, 2) 의미 중심, 3) 양태 중심, 4) 문장 단위 중심을 들 수 있었다. 그러나 조선어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의 국어 문법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전의 교육과정 변화에 따라 문법 교과서 기술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는지에 대한 사적 고찰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한 논의가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In this paper, we try to grasp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Korean grammar in Korean grammar textbooks by comparing < grammar > textbooks as Chosun language selection textbooks and the textbooks of inter - Korean grammar. For this purpose, the textbooks of Korean grammar and grammar texts of North and South Korea were analyz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re were 1) spoken language centered, 2) semantic centered, 3) modal-ity centered, and 4) sentence unit centered. However, in order to grasp the influence of the Korean grammar in the Korean language grammar textbook,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private study on how the grammar textbook technology has been mad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revious curriculum. We hope that this discussion can be activated.

      • KCI등재

        강원도 내 탈북 청소년 학습자의 문식성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

        오현아(Oh Hyeo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이 연구는 강원도 내 탈북 청소년 학습자의 문식성 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탈북 학생의 문식성에 대한 연구는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초창기라고 할 수 있으며, 중등 교육 차원에서의 본격화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일과 지리적으로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는 강원 지역의 탈북 청소년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내 탈북 청소년 학생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일반 학교에서 이들을 위한 어떠한 교육 프로그램이 지원되고 있는지, 이들의 문식성 향상을 위해서는 어떠한 교육 내용이 제공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주시 소재 B중학교에서 탈북 청소년 L 학습자를 2018년 담임 학급에서 지도한 R 교사의 전문가 인터뷰와 L 학습자의 언어 문식성 관련 활동지를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강원도 내 탈북 청소년 학습자의 문식성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지만, 연구 참여자가 1명뿐이라는 근본적인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본고의 논의가 강원도를 넘어서 한반도 이남의 탈북 청소년 학습자의 문식성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킬 수 있는 미미하지만 작은 시작이길 기대해 본다. The research aims to improve the literacy of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in Gangwon Province. While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literacy of North Korean students has been carried out steadily, it can be said that it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and that no full-fledg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t the secondary education level. It was also confirmed tha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in Gangwon Province, which can be said to be most closely related to unification. Therefore,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in Gangwon Province and conduct basic research on what education programs are being provided for them in general schools and what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ir literacy. To this e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expert interviews of R teachers who guided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L learners in their homeroom classes in 2018 at B Middle School in Wonju and on L learners places of activities related to language literacy. The study is a basic study aimed at improving the literacy of young North Korean learners in Gangwon Province, but it has a fundamental limitation that only one person participated in the study. However, we hope that this discussion will be a minor but small start to arouse interest in the literacy of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beyond Gangwon Province.

      •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에 나타난 이북 표상 분석

        오현아 ( Oh Hyeonah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 先淸語文 Vol.49 No.-

        In this study, for the analysis of the North Korean representation shown in “Crash Landing on Love,” Chapter 2 analyzed “How does “Crash Landing on Love” draw “North Korea?” and Chapter 3 analyzed “How does “Crash Landing on Love” differentiate itself from existing North-related narratives?” As a result, 1) < Crash Landing on Love > vividly depicts the reality of the North Korean society, unlike the existing North Korean narrative, and provides the current situation of “division”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personal narrative of Lee Jung-hyuk and Yoon Se-ri, who act as obstacles to love regardless of political issues. 2) It is also a meaningful work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existing North Korean narratives in that it has narrowed the distan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by portraying North Koreans as “friendly neighbors” rather than “unfamiliar hitters.”

      • KCI등재

        이북 창작 동화에 나타난 언어문화 양상 읽어내기: 『도끼장군』과 『금강선녀』를 중심으로

        오현아(Oh Hyeo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이 논문에서는 현재 이북에서 많이 읽히고 있는 창작동화인 『도끼장군』과『금 강선녀』를 통해 이북 창작 동화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두 작품과 관련한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이북 창작 동화의 언어문화 읽어내기의 의의를 제시하였고, 3장에서는 『도끼장군』과『금강선녀』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북의 창작 동화인 『도끼장군』 과『금강선녀』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이북 아동 문학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이북 창작동화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특성을 추출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통일 대비 이북 아동 문학의 이해에 대한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In this paper, it was intended to grasp the languag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as they are through General Axe and Geumgang nymph a creative fairy tale currently widely read in North Korea. To this end, Chapter 2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reading the language and culture of North Korean creative fairy tales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two works. Chapter 3 analyzes the languag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Axe and Geumgang nymph. As a result, the languag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North Korean creative fairy tales General Axe and Geumgang nymph were analyzed and presented. Such attempts are expected to arouse interest in North Korean children s literature and extract languag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from North Korean creative fairy tales. It is also expec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children s literature in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 KCI등재

        충분한 문법 학습 경험을 갖지 못한 중등 예비 국어 교사의 문법 개념화 양상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오현아 ( Oh Hyeonah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7 문법 교육 Vol.29 No.-

        This study attempts to discuss the issue of grammar conceptualization process by extracting grammar knowledge inherent in learners. This consciousness is based on the two dimension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in which learners acquire and extract grammatical knowledge, and it can be said to be the focus of the `expression dimension.` That is to say, while previous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learner`s misconceptions in the dimension of `understanding grammar knowledge,`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issue of learner`s conceptualization process in the `expression dimension of grammar knowledge.` In other words, this study attempted to employ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those learners who have established the grammatical concept properly by passing the level of misconceptions in grammar learning that cannot express properly. On the subjects of secondary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are most suitable for this learner type as the study subjects, this study attempted to mainly focus on exploring the issues such as how to characterize the contours of `grammatical concepts or terms` and `linguistic phenomena,` and how to conceptualize the object by adjusting the perspective to a certain extent in their acquisition of grammatical meaning, how to arrange concepts, and whether to show proper way of structuring the conceptualization process of concept speakers as to `grammatical concepts and terminology` and the `linguistic phenomena` in their conceptualization process on the subject. For this, in chapter 3, this study presented some cases of analysis of conceptualization of `word class conversion` by classifying the grammar conceptualization process of secondary pre -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into convergence and divergenc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the aspects,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issue of learner`s conceptualization aspects. And in chapter 4, this study tried to find a way of grammar terms dictionary composition in terms of searching for deep understanding of individual grammar items or terms` as a method to contribute to the conceptualization process of the secondary pre 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find `a way to present a conceptual structure diagram in terms of searching the possibility of linkage between grammatical items or concepts.` The discussion above has fundamental limitations in that it focuses on some cases of secondary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ploration by dividing methods of contributing to the conceptualization process into `a search dimension for deep understanding of individual grammatical items or terms` and `a search dimension for the possibility of linking between grammatical items or concepts` while it raises the need for attention on the learner`s conceptualization aspect of grammar,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learner`s grammar conceptualization aspect analysis research.

      • KCI등재

        상호 문화 문식성 관점의 통일시대 초등국어교육의 방향 탐색 ― 이북 소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오현아 ( Oh Hyeonah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1

        이 연구에서는 ‘학교 내 텍스트’에 한정해 ‘소학교’를 대상으로 ‘교육과정 차원, 교과서 차원, 교수 설계 차원’의 접근 가능한 확정적인 자료들을 대상으로 ‘이북의 어린이들은 어떠한 텍스트를 접하는가’의 문제를 ‘학교 내 문식성’의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 설계 차원에서 나타난 이북 초등 국어 교과서 텍스트에 나타난 주된 주제 의식은 ‘애국주의, 외세 배격, 노동 찬양’으로 귀결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남에서 접근 가능한 이북의 소학교 국어 1학년부터 3학년에서 제시된 전체 31개의 텍스트 중 일상적인 텍스트는 10개, 남북 공통으로 널리 알려진 텍스트는 5개로 그 비중이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만 기본적인 학교 교육을 통해 접하는 텍스트가 이리 확연히 다르다고 할 때, 이남과 이북의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서로의 문화적 문식성의 현실태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초등국어교육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현실태로서의 이남과 이북의 문화적 문식성의 차이, 그 간극이 통일시대의 잠재적 부담 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과연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깊은 탐색의 과정을 위한 예비 단계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elementary school-level “text in school” accessible definitive materials such as those at the to ascertain the types of texts children in North Korea encounter. from the perspective of “text in school.” These materials include those at the curriculum-, textbook-, and teaching-design-levels. The thematic analysis of terms in the North’s elementary school textbook, which appeared in curriculum, textbook, and teaching design, resulted in “patriotism, exclusion of foreign powers, and praise of labor.” In addition, of the total 31 texts presented from grades 1 to 3 of the North’s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hat are accessible in the South, there were 10 casual texts and 5 widely known texts appearing in material from both countries, indicating that the proportion was not high. When the text that is encountered through basic school education is so distinctly different, efforts need to be made to clearly identify and understand the other’s cultural literacy in order to live together.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preliminary step for an in-depth exploration of programs to ensure differences in cultural literacy between the two Koreas does not act as a potential burden in the unified era.

      • 1950-60년대 연변대학 조선어 문법 교재 기술 양상 연구―품사론을 중심으로

        오현아 ( Oh Hyeonah )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19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14 No.-

        In this paper, it is necessary to study on overseas Korean mothers education which exists as a plural of Korean “ones” which can not be converged into a single Korean with a single unique purity. We tried to analyze the aspect of Korean language technique based on the textbooks, focusing on the theory of perceived languag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extbooks of Yanbian University in the 1950s and 1960s are as follows: 1) Sentence-oriented technolog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d combin -ation, 2) Grammar education contents description style such as' And the problem of word composition (‘joeon’).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the first task of the future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grammar textbook of Yanbian University in the 1950s and 60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grammar techniques of the two Korea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combine the skills of Korean grammar textbooks of the 1950s and 1960s. And since the 1950s and 60s, the second goal of Yanbian University's history of Korean grammar teaching materials has been change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technical aspects of Yanbian University's grammar textbooks from 1970 to present. In addition, if interviews with textbook authors are possible, an interview survey on the internal principles of textbook composition needs to be conducted in parallel.

      • KCI등재

        품사 통용어 교육을 위한 품사 개념 및 품사 통용어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엄혜성(Hyeseong Um),오현아(Hyeonah Oh) 한국중원언어학회 2016 언어학연구 Vol.0 No.4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1) to investigate learner awareness about Korean parts of speech and the practical use of them and 2) to establish an effective pedagogy of teaching Korean parts of speech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asked the participants (n=95)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with 52 items examining their awareness about Korean parts of speech and the practical use of the parts.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it seem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not fully competent in understanding Korean parts of speech, showing the confusion of speech parts and components in a sentence as well as of unconjugation adjectives and adverbs. The participants also appeared to be incompetent at understanding about dependent nouns and exclamations. Furthermore, it is probable that they had difficulty differentiating between numeral adjectives and unconjugation adjectives, and between numeral adjectives and nouns. Some interesting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with intriguing examples. At the end of this study, some useful suggestions for teaching Korean parts of speech were made.

      • KCI등재

        문법 개념의 ‘교육 내용 합의성’에 대한 고찰 ― 문법 요소를 중심으로

        조진수 ( Jo Jinsu ),오현아 ( Oh Hyeonah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1

        본 연구는 교과서별로 다루어지는 문법 개념의 범위에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이를 ‘교육 내용의 합의성’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교육 내용 합의 지수’를 수식으로 정련화하여, 문법 요소 중 시간 표현, 높임 표현, 피동·사동 표현, 부정 표현 관련 내용의 합의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 차원에서 문법교육적 위상이 높은 내용과 낮은 내용, 쟁점적인 내용을 구분하였다. 또한,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관례성이 문법 개념의 교과서 제시 여부의 관여 요인 중 하나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위상이 쟁점적인 항목들은 ‘관례적으로 제시되어 왔으나 문법교육적 가치가 의심받고 있는 유형’과 ‘문법교육적 가치가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 유형’으로 다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합의성’ 개념을 정련화하여 문법 개념의 교재론적 위상을 분석할 수 있는 관점을 마련하고, ‘교육 내용 합의 지수’의 활용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differences in the scope of grammar concepts in textbooks from the viewpoint of “consensus as an educational content”. For this purpose, we first refine the “educational content consensus index” and analyze grammatical elements. As a result, the grammar concep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sensus. Moreover, using the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onventionality is one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esentation of grammar concepts in textbook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fines the concept of “consensus” and explores various ways of using the “educational content consensus index”.

      • KCI등재

        언택트 시대 비대면 국어 수업에 대한 중학교 학습자 반응 연구

        류은수(Ryu, Eunsoo),오현아(Oh, Hyeo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20년 4월부터 시작된 전국 중고등학교의 비대면 수업상황과 관련하여 중1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실제 온라인 국어 수업사례를 탐구하고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온라인 수업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점과 학습자들이 온라인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고 이에 대해 교사가 마련할 수 있는 대안을 수업 설계 측면과 운영 측면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강원도 원주 소재의 중학교 1학년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실제 온라인 국어 수업 사례와 이에 대한 학습자 반응을 사례연구방법론(Merriam, 1998) 및 자기수업 연구 방식(이용숙, 2011:8-10)으로 탐구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자는 학습자들이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교사 및 또래 학습자와의 관계에 대해 느끼는 부재감이라는 결과를 도출했으며 이를 고려한 온라인 수업 디자인 및 운영방법 2가지를 제안했다. 결론 첫째,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할 때 모둠활동이 가능한 실시간 수업 플랫폼 및 공유형 학습도구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교사가 자신을 돌보고 있다고 느끼며, 또래 학습자와의 관계 속에서 대화를 통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교사와 학생이 서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플랫폼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의견을 수업에 반영하고 과제에 대한 개별 피드백을 제공한다. 또한 신속하게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하여 학습자가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ich began in April 2020, and analyze learners responses to explore what to consider when designing online classes and what difficulties learners face in online classes. And based on this, it is to suggest alternatives that teachers can come up with when designing online classes and running classes. Methods The actual online Korean language class cases conducted on 30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Wonju, Gangwon Province, and learners responses to them were explored and analyzed using case study methodology and self-classes study methods. Results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biggest difficulty learners face in online class situations is their absence from thei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 learners, and suggested two ways to design and operate online classes considering this. Conclusions First, it actively utilizes real-time class platforms and shared learning tools that enable group activities when designing and executing classes. This allows learners to feel that teachers are always taking care of them, and to learn and grow cooperatively in conversations and relationships with peers. Second, by utilizing a platform through which teachers and students can share their opinions, learners opinions are reflected in the class and individual feedback on assignments is provided. Through this, students and teachers can quickly give and receive feedback, and in this process, learners can feel that they are pro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