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겔의 역사철학에서 이성의 간지와 역사 혁신의 양립 가능성

        헌식 한국헤겔학회 2017 헤겔연구 Vol.0 No.42

        Im Prozeß der Weltgeschichte findet der Begriffspaar der Kontinuität und der Diskontinuität, der Geschlossenheit und der Offenheit und des Wissens und Nicht-wissens des Zwecks der Geschichtsentwicklung statt, dessen Gefälle Hegel in seiner Geschichtsphilosophie durch das Metaphor der List der Vernunft zu erklären versucht. Im Hegels Versuch der Vermittlung der beiden Extreme durch die List der Vernunft unterscheiden sich die Perspektive des Beobachters(Vernunft der Geschichte) und des Teilnehmers(Volksgeister), welche Leitfaden zum Erklären der geschichtlichen Erneuerung sind. Hiermit die List der Vernunft weist einerseits auf die Differenz des Standpunktes der Darstellung der Weltgeschichte, andererseits auf die Erneuerung deren geschichtlichen Vernunft selbst hin, welche sich in bezug auf die leidenschaftlichen Handlungen der Volksgeister aus ihrer abstrakten Universalität abziehen kann. Mir anderen Wörtern entwickelt sich die Weltgeschichte durch die Diealektik zwischen der Subtantialität des Weltgeistes und der Subjektivität der Volksgeister, welche das Selbstbeziehende Wissen des Weltgeistes äußerlich eine bloße Tautologie dessen selbst wäre, aber innerlich dessen Wahrheit nur durch die konkreten Handendlungen der Volksgeister gewährleisten wird. Aber das Wissen über die vernünftige Selbsterkenntnis des Weltgeistes steht nicht nur den individuell handelenden Volksgeister, sondern auch den welthistorischen Individuen nicht zur Verfügung. Deshalb ist die hestorische Erneuerung angesichts des Wissens erst dem Weltgeist durchsichtig, aber den Volksgeistern und den historischen Individuen nicht durchsichtig. Dieser Sachverhalt weist darauf hin, daß das Resultat der historischen Erneuerung dem Weltgeist kontinuierlich, aber dem Volksgeist diskontinuierlich zur Erscheinung kommt. Während der Weltgeist vom Zweck der geschichtlichen Entwicklung weiß, wissen die Volksgeister in der leidenschaftlichen Arbeit nicht denselben, wobei der Weltgeist nachträglich den vollgezogen Zweck feststellt. In den parallel laufenden Bewegungen des Weltgeistes und der Volksgeistern nimmt die List der Vernunft den zentralen Begriffsstatus auf, welcher einerseits die ideell-logische Kontinuität der historischen Erneuerung darstellt, andererseits deren geschichtlich-zeitlichen Diskontinuität gewährleistet. Durch die beiden Momente zihet sich die Vernunft der Geschichte aus ihrer Abstraktheit ab und geht zum Konkreten über, wobei das Neue in der Geschichte die substantielle Bedeutung gewinnt. 세계사의 진행에서 나타나는 연속성과 불연속성, 폐쇄성과 개방성 그리고 자기에 대한 지(知)와 자기 행위에 대한 무지(無知) 사이의 간극을 헤겔은 ‘이성의 간지’라는 메타포를 통해 메우고자 한다. 이성의 간지는 위의 두 극단을 매개하려는 시도로서 여기에서는 관찰자(역사이성)와 참여자(민족정신들)라는 관점의 차이가 극복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성의 간지는 단지 관점의 차이만 드러내는 데 그치지 않고, 역사이성의 추상적인 이념이 개별적인 민족정신들의 운동을 통해 구체화된다는 의미에서 보편적인 역사이성 자체가 개별자를 매개로 새로워진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결국 헤겔은 세계정신의 실체성과 민족정신의 주체성의 변증법적 상호관계 속에서 세계사가 진행된다고 본다. 세계정신의 자기지(知)는 세계정신의 자기관계적인 자기운동이지만 이는 단순히 동어반복적인 자기동일성이 아니라 개별적인 민족정신들의 구체적인 행위와 열정을 통해서만 그 진리성을 획득한다. 세계정신의 이러한 이성적인 자기인식은 물론 역사 행위의 구체적인 담지자인 민족정신뿐만 아니라 세계사적인 개인에게도 알려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지(知)의 측면에서 볼 때 역사혁신은 세계정신에게는 투명하지만 민족정신과 세계사적 개인들에게는 투명하지 않다. 하지만 역사혁신이 개별 행위자의 지(知)에 매개되지 않기 때문에 역사혁신의 결과는 세계정신이 아니라 민족정신에게 불연속적으로 나타난다. 민족정신들은 세계사의 진행방향과 목적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고 오직 열정 속에서 행위할 따름이지만 세계정신은 이 방향과 목적을 알고 차후적으로 이를 확인한다. 이성의 간지는 이 평행하는 두 노선을 연결하는 중심축으로서 이를 통해 한 편으로 역사혁신의 이념적-논리적인 연속성이 보장되고 다른 한 편으로 역사혁신의 역사적-시간적인 불연속성이 설명된다. 전자는 역사이성이 추상성에서 벗어나 구체성을 획득하는 측면을 시사하며, 후자는 역사에서 ‘새로운 것의 출현’이 실질적인 의미를 지니는 실천적 측면을 담보한다.

      • KCI등재
      • 모션그래픽을 이용한 웹 인터렉티브 콘텐츠 활용

        헌식(Heon-Sik Jo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본 논문에서는 모션 그래픽 진화에 따른 모션 그래픽 트랜드 변화에 대해서 나타내었다. 웹의 트랜트 변화와 함께 웹에서의 모션 그래픽스의 인터렉티브 기법에 관해서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렉티브 기법을 적용한 웹 동영상 콘텐츠 기법들을 나타내었다. 웹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작 및 활용으로 플래시 동영상 제작 활용을 나타내었다. 웹에서의 인터렉티브 콘텐츠는 이용목적에 따라 제작 및 활용 기법이 다양하다. 따라서 콘텐츠 이용에 대한 인터렉티브 콘텐츠 제작 및 활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 KCI등재

        역사에서 새로운 것의 출현에 대한 헤겔의 행위이론적인 이해

        헌식 ( Heon Sik Yoo ) 한국헤겔학회 2010 헤겔연구 Vol.0 No.28

        이 논문은 헤겔의 <법철학>과 <역사철학>을 연계하여 이해하면서 개인의 도덕적 의지 혹은 자유의 의지가 역사에서 새로운 것을 창출할 수 있는 근거일 수 있는 가능성과 그 의미론적 특성을 밝힌다. 헤겔에게서 정신의 행위는 의지의 주관적인 목적을 객관적으로 전환시키는 주체로서 이 과정의 최종 결과가 곧 세계사이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새로운 것``의 출현 문제는 주관적인 목적으로 환원될 수 없으며 객관적인 세계정신의 논리에 의존한다. 역사에서 새로운 것의 창출에 주관적인 이성이 기여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행위의 측면에 국한된 사항일 뿐 새로운 것의 실질적인 담지자는 세계이성의 몫이다. 여기서 헤겔의 이성 개념은 아포리아에 직면하게 된다. 헤겔에게서 이성은 개인의 합리적 행위의 토대이면서 동시에 실현되어야 할 목적이기 때문이다. ``아직 아닌 존재``와 ``규범적인 진리기능``이라는 이성의 이중성은 헤겔의 주체 개념의 양면성에서 기인한다. 헤겔에게서 ``주체``는 개별적인 의지와 보편적인 정신을 동시적으로 지시한다. 이러한 양상은 헤겔이 근대의 인륜성을 정초하기 위해 그리스의 객관적 인륜성과 칸트의 주관적 도덕성을 비판적으로 종합하여 주관적(주체적) 인륜성으로 고양시킨 데에서 비롯한다. 헤겔이 주목하는 행위는 근대의 자유의지로서 그는 행위자의 주체적인 의지를 살리면서도 또한 이 의지 너머에서 작동하는 객관정신의 의지도 살려야 하는 이중의 목표를 겨냥한다. 이 목표의 실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헤겔의 서술방식에서 나타나는 ``사후정당화의 논리``가 언급되어야 한다. 인간의 합리적인 행위는 역사에서 새로운 것을 만든다. 그러나 새로운 것의 출현은 무에서 유의 창조가 아니라 이미 즉자적으로 존재하는 이성성의 발현이다. 이성의 추상적 이념은 인간의 실천을 통한 실현을 기다린다. 이 행위는 객관적인 이성성에 적합할 때에만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것이 된다. 역사에서 새로운 것은 특수한 정신과 보편정신의 이성적인 이념 간의 상호관계 혹은 통일(화해)을 통하여 발현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일치의 내용은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라 역사의 진행 속에서 결과로서만 확인된다. 특수한 정신들은 비록 의식을 가지고 행위하지만 이 의식의 진리성은 오직 행위의 결과 속에서만 확인된다. 행위하는 자(주관정신)는 자신의 행위의 의미와 목표를 알지 못하고, 정작 행위를 아는 자(객관정신)는 행위하지 않는다. 시간의 차이에 따른 행위와 지식 간의 상호보완 속에서 ``역사적으로 새로운 것``의 의미론적 지평이 열린다. Es handelt sich um die Moglichkeit, wie der Wille zur Moralitat und Freiheit zum Grund der Entstehung des geschichtlichen Neuen wird, und um ihre Wirklichkeit, indem Hegelsche Rechtsphilosophie und Gechichtsphilosophie handlungstheoritisch in einem genealogischen Prozeß verstanden werden. Die Handlung ist es, die den subjektiven Zweck des Willens in die Objektivitat umwandelt und das abschließende Resultat dieses Prozesses ist die Weltgeschichte. Doch ist das Problem der Entstehung des geschichtlichen Neuen nicht auf den subjektiven Zweck zu reduzieren, sondern hangt von der Logik der objektiven Weltvernunft ab. Zwar tragt die subjektive Vernunft zum Produzieren des geschichtliche Neuen bei, aber dies begrenzt sich auf die Handlungsebene und betrifft das substantielle Subjekt des Neuen nur die Weltvernunft. Hiermit stoßen wir auf eine Aporie der Hegelschen Konzeption der Vernunft, weil der Begriff Vernunft die Grundlage der rationalen Handlung des Individuums und zugleich der zu verwirklichende Zweck ist. Diese Ambivalenz der Vernunft, d.h. ihr Noch-nicht-Sein und ihre normative Wahrheitsfunktion, kann man aus dert Ambivalenz des Subjektbegriffs Hegels ableiten. Das handelnde Subjekt und das ihm zugrundeliegende Subjekt werden von Hegel im allgemeinen als der individuelle Mensch und die allgemeine Idee gekennzeichnet. Diese doppelte Konstellation ergibt sich daraus, daß Hegel die griechische objektive Sittlichkeit und die kantische subjektive Moralitat zur kritischen Synthesis erhoben hat. Als der freie Wille der Moderne hat der hegelsche Begriff Handlung die doppelte Aufgabe, zum einem den Willen der subjektiv Handelnden bedeutend macht und zum andern den daruberhinaus laufenden Willen des objektiven Geistes effektiv macht. Um diese zwei Ziele zu erreichen, ist die Logik des postfactum in der eigentumlichen Darstellung Hegels zu verstehen. Die rationale Handlung des Menschen schafft das Neue in der Geschichte. Aber das Schaffen des Neuen ist keine Schopfung ex nihilo, sondern die Verwirklichung der bereits ansichseienden Vernunftigkeit. Die abstakte Idee der Vernunft wartet auf ihre Verwirklichung durch die menschliche Praxis. Und diese Handlung bringt dann das geschichtliche Neue hervor, wenn sie der Vernunftigkeit gemaß ist. Das Neue in der Geschichte entwickelt sich eben in diesem Wechselbezug und somit durch die Vereinigung(Versohnung) der vernunftigen Idee des allgemeinen Geistes mit der vernunftigen Handlung des partikularen Geistes. Dennoch ist der Inhalt dieser Ubereinstimmung nicht vorherbestimmt, sondern erscheint im Gang der Geschichte nur als Resultat. Auch wenn der partikulare Geist handelt sich mit Bewußtsein, wird ihre Wahrheit erst im Resultat seiner Handlung festgestellt. Der Handelnde(der subjektive Geist) selbst weiß nicht seine Bedeutung und Ziele, aber der Wissende(der objektive Geist) handelt sich nicht. Aus dieser gegenseitigen Kompensation von Handlung und Wissen, die sich im zeitlichen Abstand entwickeln, eroffnet sich der semantische Horizont des geschichlichen Neu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