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기』와 『역사』에 담긴 기록학의 기초: 역사-인간[Homo Historicus], 사마천과 헤로도토스

        오항녕 한국기록학회 2020 기록학연구 Vol.0 No.65

        I examined the archival basis of two historians who wrote history books with the same title of ‘History’; Simaqian of ancient China and Herodotus of Halikarnassos. I examined a prejudice to these two history books, a misunderstanding of them as an imagination rather than a history. How can an imagination become a history? First, I explained the commo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ir compilation and writing of ‘History.’ Simaqian and Herodotus did their field-works in historical sites, gathered oral-histories, and arranged archives they collected. These two historians heavily engaged in archival works in terms of verifying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of their sources on the basis of historical empiricism. There are some misunderstanding on their archival endeavor and on the very nature of archives and historical studies as empirical studies. Furthermore, this misunderstanding regarding them as literature came from a confusion over the concept of literature. The creativity of literature is not equal to the “fictitiousness” of history despite historical works sometimes may give us an impression by the way of describing and providing insight into a certain event(s) and a person(s). As Herodotus said, a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s of each race and human is a departure of historical archiving of the valuable experiences of human-beings. By doing so, natural results of archival behaviors, preservation of the records, and consistent inquiry of historian-archivists become a humanistic passage overcoming the current wrong trends of historical studies confined to a narrow nation-history. 이 논문은 기록학의 관점에서 동아시아와 지중해의 두 역사가, 사마천 (司馬遷)과 헤로도토스(Herodotos)가 남긴 두 역사서에 대한 오해를 검토한 글이다. 그 오해란 이들 역사서가 '나름의 상상으로 지어낸 것'이라는 류의 선입견을 말한다. 지어낸 것이 역사가 될 수 있을까? 2장과 3장에서는 사마천의 『사기』, 헤로도토스의 『역사』의 편찬, 집필과정을 살폈는데, 사적(史蹟)의 답사, 구술(口述)의 채록, 기록의 정리라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인식을 기초로 4장에서는 역사가 허구일 수 있다고 보는 일련의 오해 또는 왜곡의 저변에는 사마천과 헤로도토스의 기록 활동에 대한 오해, 경험 학문으로서의 역사와 기록에 대한 인식의 부재가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기』나 『역사』같은 역사서를 문학적 허구라는 관점에서 보는 견해는 역사 뿐 아니라 문학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런 오해나 왜곡은 한국 역사학이 기록학이라는 기초를 소홀히 한 데도 이유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근대 분과(分科) 학문의 관점에서, 또는 국민 국가사의 관점을 중심으로 역사학의 범주를 좁게 설정하면서 나타난 부작용이 아닌가 한다. 역사를 남긴다는 것은 "이 행위, 인물, 사건은 인간 기억 속에 살아 남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데서 출발할 것이다. 헤로도토스는 "그리스인의 것이건 야만인의 것이건 간에 빛나는 공적들이 어느 날 명성도 없이 사라지지 않도록" 하였고, 사마천은 "시골에 묻혀 사는 사람들도 덕행을 닦고 명성을 세워 후세에 이름을 남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이렇듯 『사기』와 『역사』는 실제 있었던 인간의 경험을 남긴 역사서이다. 여기에는 "인간은 서로 다르다"고 이해하는 존재의 확장이 있다. 특정한 시공간(時空間)에서 ""민족들은 서로 다르며", "이집트에서 여자들은 서서 오줌을 누고 남자들은 쭈그리고 앉아서 오줌을 누는" 것처럼 풍속과 전통이 다른 것이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하여 다름을 이해하기에 이르는데 초석이 되는 인간의 지적(知的) 활동으로, 그 활동이 사실(事實)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인문(人文) 영역이 역사였다. 인간의 경험에 대한 호기심 넘치는 탐구와 기록, 그 결과 나타난 『사기』와 『역사』, 그리고 이의 보존과 전수는 인간이 호모-히스토리쿠스(Homo-Historicus), 호모-아르키부스(Homo-Archivus) 임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KCI우수등재

        ‘사이비 역사학’의 평범성에 대하여 - 역사학의 전문성을 위한 단상 -

        오항녕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1

        The areas of history were the productions of the records that resulted from the behaviors of human, the transfer and the use of the materials. The history as a discipline studies the traces and acquisition of the experiences, criticize and organize the materials and documents, and write the articles, dramas and stories. The Pseudo-History, on the other hand, has defects in these procedure mainly due to intentionally distorted interpretation. Furthermore it agitate the popular and oppress the debates on the scholastic issues. The fallacies of the Pseudo-History appear at the area of facts, which were insisted the none-existed as the existed or the existed as the noneexisted. Sometimes the Pseudo-historian exaggerate or distort the relations of the facts for their purposes. In these respects, the Pseudo-History negate the experimentalism of the history. However the negligence of facts prevails in the Korean contemporary History and this is the reason why I give warning of. Secondly, the history curricular of school composed of the nation history and can’t reflect th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humanbeing. Especially this inclination easily give a hotbed to the chauvinism. The injection of the national history should be replaced by the historic thinking. Thirdly, the deep-rooted teleological modernism in the contemporary history is also the basis of the summon of the past glories. 본고에서는 사이비 역사학 자체에 대한 비판보다 사이비 역사학의 토양을 연구하였다. 사실에 대한 경시, 국사 중심의 교과, 목적론적 근대주의라는 한국 역사학의 약점이 사이비 역사학에게 자양분을 제공한 것이 아닌가 한다. 역사의 영역은, 인간의 행위에서 나온 기록의 생산, 사료의 전수와 이용을 포함한다. 학문으로서의 역사는 그 경험의 흔적과 획득을 연구하고 사료를 비판, 조직하며 논문, 드라마,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반면 사이비 역사학은 의도적인 곡해로 인하여 이러한 과정에 결함을 가진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그것은 대중을 선동하고 학문 주제에 대한 논쟁을 억압한다. 사이비 역사학의 오류는 사실의 영역에서 나타난다. 없는 사실을 지어내고, 있는 사실을 없다고 하는 형식으로. 때로 그것은 사실의 관계를 과장하거나 왜곡한다. 이런 점에서 그것은 역사학의 경험주의에 대한 부정이다. 둘째, 국사 중심으로 짜인 정규 학교의 역사 교과과정은 인간의 다차원적 성격을 반영하지 못한다. 특히 이는 쉽게 쇼비니즘으로 기우는 경향이 있다. 개인, 가족, 사회, 동아리 등이 역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국사 교육은 역사 교육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셋째, 뿌리 깊은 목적론적 근대주의 또한 과거의 영광을 소환하는 토대이다. 특정 이론에 맞추어 사실을 재단함으로서 역사의 편향과 왜곡을 초래한다. 나아가 현대를 역사의 궁극적인 목적지로 간주하는 근대주의와 쇼비니즘과 근대주의의 결합은 정치적으로 수구-반동적 성격을 띤다.

      • KCI등재

        동아시아 봉건 담론의 연속과 단절

        오항녕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1 사총 Vol.72 No.-

        After the immigration of western history in late 19th century, The traditional meaning of ‘fengjian (封建)’ was changed with the word ‘feudalism’. I studied this issue from two aspects, first, traditional disputes on ‘fengjian’, and second, the appropriation of ‘fengjian’ in modern western historiography. In ancient China the fengjian meaned the divided - ruling of the family in Chu (周) dynasty. The power of domination was given from the conference of the king (王) to the dukes (諸侯, 公). The fengjian of that age was very similar to the feudalism of middle age of western society. However the unification of Qin (秦) dynasty of China forced to convert the whole state system. Qin dynasty drove the policy of centralization. As a result, the fengjian became the subordinate under-system of the centralized government. As was the same case in Joseon dynasty. In the period of centralization, the fengjian functioned a role for self-governance mainly forced of the rural community. In this respect, the disputes around the fengjian contributed to the balance to restraint the central power. After the introduction of ‘feudalism’, all thing around the fengjian was changed. The traditional disputes about the fengjian was absorbed in the traditional disputes into the vortex of ‘feudalism’, so to speak, reconstructed in the frame of the universal history which was prevailed in 19th century and I called it a ‘pseudo’-universal history, a fiction of several historians and a ideology of modern imperialism. Both, feudalism and fengjian, were translated same term ‘fengjian’ since 19th century in East Asia despite the different historical context. This means that the discourse of the feudalism may be de-constructed by the concept of ‘fengji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기록관리와 ‘거버넌스’에 대한 역사적 접근

        오항녕 한국기록학회 2005 기록학연구 Vol.0 No.11

        ‘Governance’ is a subject that is widely discussed these days in the government and the academic world. I think that the new concept, ‘governance’, is a strategy to develop the democracy of the society in its institutional and functional aspects. When we are going to discuss about governance, public record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out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ublic’ in Korea, we cannot expect to discuss the matter precisely. It is said that Korean public service sectors are awash with authoritarianism and unreasonableness, and that they are at the center of seething corruption and bribe scandals. It is the legacy that the regimes adopted in the aftermath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for 35 years. The colonial legacy included not simply the practice of the Japanese colony, but also people who had collaborated the Japanese.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nd Rhee, Sung-Man regime also appointed the same officials to government posts. As was the same case in other areas including economy, press, education, politics, law, etc. In this point of view, “Righting historical wrongs”, a controversial issue now in Korea, aims at establishing the right relationships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 public, and eventually laying the foundation of democracy for future generation, a procedure of achieving good governance. Apparently, Korea has made progress in developing democracy, as well as

      • KCI등재후보

        存齋 魏伯珪의 格物說

        오항녕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2 泰東古典硏究 Vol.28 No.-

        본고에서는 18세기 조선에 살았던 존재 위백규(存齋 魏伯珪, 1727~1798)의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한 견해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위백규는 자신의 문집인 『존재집(存齋集)』의 4권(12권~15권)에 걸쳐 「격물설(格物說)」이라는 논설을 남겼다. 이 논설에서는 천지(天地)부터 인간의 삶 일반, 주체인 나[我], 각종 동물과 식물에 이르기까지 탐구하면서 다양한 대상과 주제에 대한 평론과 설명을 덧붙였다.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보아, 그의 이러한 연구와 관찰은 당시에 매우 독특하고 드문 경우였다. 그렇지만 동시에 위백규의 「격물설」은 성리학의 오랜 전통의 결과이기도 하였다. 조선 성리학자들은 성(性)-정(情), 인간-자연, 성인과 범인 등에 대한 추상적, 이론적 논쟁의 한편으로, 자신들이 살고 있는 세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탐구하였다. 아니, 그 논쟁의 물질적 토대가 자연학, 의학적 베이스라고 하는 편이 옳을 듯하다. 위백규는 일상의 소학(小學), 인체에 대한 의학(醫學), 벌레, 수목, 동물에 대한 자연학(自然學)적 관찰을 계속했다. 그는 태극, 음양, 오행 사상을 기반으로 한 이기론(理氣論)과 이일분수론(理一分殊論)에 입각하여 우주와 자연계, 인간을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위백규의 논설은 성리학적 격물설에 대해 도덕주의라고 평가했던 학계 일반의 관점이 수정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과학과 가치를 분리시키는 근대 철학의 이분법적 사유에 기초한 도덕주의적 해석에 내재한 오리엔탈리즘적 성격을 돌아보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위백규의 「격물설」에 대한 논의는 조선후기 사상계의 이해에 관한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한다. 「격물설」은 대상에 대한 관찰을 전제로 한 지식의 축적과 체계화이다. 이는 「격물설」 중 일부인 위백규의 「상론(尙論)」에도 적용될 것이다. 이치[理]와 형세[勢]의 긴장을 놓치지 않고 포착하며 이루어지는 사론(史論)을 규범적으로만 해석하기는 어렵다. 위백규는 스스로 성리학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그는 「격물설」만이 아니라, 「독서차의(讀書箚義)」에서 보듯이 관심 영역을 확장시키고 다른 학자들에게서 볼 수 없는 견해를 제시한다. 같으면서도 달라져가던 시대를 산 것이다. 지금까지 조선 사상사 연구에서 나타났던 근대주의적 목적론을 씻어내고 위백규를 보면 어떤 접근방법이나 관점이 가능할까? 앞으로의 과제가 아닐까 한다. 본고에서 「격물설」에 대해 살펴보았지만 위백규란 사상가의 면모를 드러내기는 부족하다. 그의 의학, 음악론, 예론, 언어학, 역사학, 자연학은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I studied a theory of the gaining knowledge of Wie Baek-gyu who lived in Chang-Hung in 18th Century Joseon. In his anthology vol.12~15, he wrote a lot of comments and reviews about the being in the world from heaven and earth, human, to insects. In view of quality and quantity, the study and observation like these was a very particular and rare case at that time. However it was an inevitable result in the longrun tradition of the gaining knowledge theory of neo-confucianism. In parallel to the abstract and theoretical debates around the nature-passion, the nature of human-thing, the heart of the sage-common being, the scholars of Joseon studied his world concretely more and more. Wie Baek-gyu observed things of universe like heaven and earth, four season, 24 solar terms, five-elements, a vaginal itch. And he also observed almost all the things he met in his daily life. Needless to say human-relationship, insects, trees, grasses, birds, fishes and animals were the objects of his study. His study was based on the nature itself, Physica. The neo-confucianism presupposed the medical science from the beginning in its main frame like the nature-passion. Actually, he explained the movement of five-elements by the terms of the medical science such as the liver, the gall, the kidney etc. In this respect, the opinion that understands the view of Wie Baek-gyu as moralistic only can be correct partly. On the contrary, his study was the rational one primarily, and on this base he extended his observations to the moralistic rea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