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외계층 아동을 위한 과학체험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지원 효과 연구

        오진호(Jin-Ho Oh),홍성택(Seong-Taek Ho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2

        본 연구에서의 주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경제적 소외계층 아동은 용어 그대로 일반적으로 ‘정상적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적, 물리적, 경제적, 양육적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아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선험적 교육정보 제공이 상대적으로 열악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학업성적 및 학교적응에 많은 문제를 안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처럼 기존의 교육적 정책 및 환경 내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교육 소외 및 박탈현상에 따른 부정적, 불합리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차원에서 부가적 교육 체계 마련 및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대안 중에 하나가 경제적 소외계층 아동을 위한 연극을 통한 재보수 교육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연극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육적 가치 및 역할중에서 특히 지식 교육으로서, 정서 교육으로서의 가치와 역할 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사회경제적 소외계층 아동들을 대상으로 교육연극의 역할과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과학체험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기획 및 개발하여 이를 실제 현장에 지원함으로써 과학문화 격차해소 및 과학문화 민간활동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대중화 확산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ience-experiencing educational acting program to maximize the role and value of educational acting for the disadvant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rth Korean refugees, who get inadequate educational and cultural-environmental support. Additionally, the study aimed to apply this program to the real environment in order to reduce the scientific-cultural gap between the classes and to enhance educational value and effect. Forty-five children from the disadvantaged who attend local children center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the space-science experiencing educational acting program was developed after the experts from the space science and educational acting fields had discussion. The final program developed is designed to be performed in 6 session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acting title (main theme), “Save the earth, space explorers!”; each session lasted for approximately 45 minutes. The sub-themes of each session are as follows: the entrance of Spacemen School for the first session, the solar Olympics for the second session, the Orion and star’s lifetime for the third session, rescuing the space dog for the fourth session, exploration of the galaxy for the fifth session, and graduation of Spacemen School for the sixth session. We designed the program so that each educational acting session can be operated systematically by setting science education goals and play goals for each session. Also, we developed the program so the participants coul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acting participation and do self-evaluation after each session. The effects of field supports of the educational acting program were analyzed via field observation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 experts, in-depth interview of the participants, written evaluation of the participants, and some other methods. As a result, children of the disadvantaged showed some positive changes in understanding of the space science knowledge, social connection with the others, imagination, creativity, judgment, problem-solving skills, confidence, cooperation, active attitud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self-concept, confidenc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hallenging spirits.

      • KCI등재후보

        만성 두통 환아의 진단적 접근에 있어 어지럼증의 임상적 의의에 대한 연구

        오진원(Jin Won Oh),이효상(Hyo Sang Lee),유황재(Hwang Jae Y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0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6 No.2

        목 적 : 소아에서 두통은 흔히 접하는 신경학적 증상으로 만성 두통을 보인 소아에서는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 두통을 가진 소아에서 진단적 접근 시 어지럼증을 동반하는 경우 어떤 질환을 염두에 두어 어떤 방향으로 검사를 진행해야 하며, 어떤 임상적 의의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두통을 주소로 원인규명을 위해 입원을 하였거나 외래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았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4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의 환아들을 선별하였으며, 이들 중에 혈액검사, 소변검사, 뇌영상검사, 뇌파검사 등을 통해 원인질환을 조사할 수 있었던 총 86명이 선택되었다. 이들을 어지럼증을 동반한 군(Group A)과 어지럼증을 동반하지 않은 군(Group B)으로 나누어 연령, 성별, 두통의 임상양상, 두통의 원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86명의 대상 환자 중 어지럼증을 동반한 경우(Group A)가 38명, 어지럼증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Group B)가 48명이었다. 남녀 비는 Group A는 1:1.7, Group B는 1:0.85로 Group A가 여아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연령은 Group A는 10세 이상인 경우가 73.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Group B는 7세 이하인 경우가 56.3%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두통의 발생시기에 있어서는 Group A는 주로 오전에 발생하였고, Group B는 주로 오후에 발생하였으며, 두통의 지속기간은 90분이상인 경우가 Group A의 50.0%에 비해 Group B는 87.5%로서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두통의 발생빈도는 Group A는 대부분(92.1%)에서 주 4회 이상의 빈도를 보였으나 Group B는 주 4회 이상인 경우는 58.3%로서 Group A가 유의 있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동반증상으로는 Group A는 오심(47.3%), 구토(25.4%), 시력장애(12.7%) 등이었고, Group B는 시력장애(45.5%), 수명(14.8%), 구토(13.6%) 등의 순이었다. 두통의 원인으로는 Group A는 편두통(31.6%), 기립성 저혈압(15.8%), 체위성 기립성 빈맥 증후군(13.2%), 양성 발작성 두위 현훈증(10.5%) 등이었으며, Group B는 부비동염(50.0%), 편두통(31.3%), 합병성 편두통(8.3%) 등이었다. 결 론 : 만성 두통을 가진 소아에서 어지럼증을 동반한 두통을 가진 여아이면서 두통의 양상이 아침과 야간에 발생하는 특징을 보일 경우 전정기관의 이상과 체위불내성에 대한 검사를 먼저 시행하여 철저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특정 질환이 의심된다 하더라도 편두통의 가능성을 두고 진단적 접근을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Headache is a common neurologic symptom in children but chronic headache in them must be diagnosed in different way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lgorithm of diagnostic approach for children with chronic headache and know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dizziness in evaluating those children. Methods : We recruited children with headache at Myongji Hospital from January 2004 to July 2006. The study was based on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ir medical records and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 Group A headache with dizziness, Group B headache without dizziness. Results : The medical records of 86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headache were reviewed. Age for group A ranged from 10 to 15 years(73.7%) and gender ratio was 1:1.7. Age for group B ranged mostly under 7 years(56.3%) and gender ratio was 1:0.85. Headache in group A frequently occurred predominantly in the morning(37.3%). The duration of the attack was over 90 min(87.5%) in group A and over 90 min(50.0%) in group B. Associated symptoms were mainly nausea(34.2%), vomiting(18.4%), blurred vision(12.7%) in group A. Over 90% of them had headache 4 times a week and so did dizziness. The final diagnoses in cases of group A were migraine(31.6%), orthostatic hypotension(15.8%), postural orthostatic tachycardia syndrome(13.2%), and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10.5%). While in group B diagnoses included sinusitis(50.0%), migraine(31.3%), and complications of migraine(8.3%).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high percentage of headache concurred with dizziness in children. The association of headache with dizziness is complex and maybe coincidental. If chronic headache with dizziness in girls occurs mainly in the morning, it maybe related to vestibular disorder and orthostatic instability. In conclusion, dizziness and other associated symptoms or clinical features should carefully be assessed in the diagnosis of headache.

      • KCI등재후보

        남해안별신굿 연행구조 연구

        오진호(Oh Jin-Ho) 실천민속학회 2007 실천민속학연구 Vol.9 No.-

        남해안별신굿은 문화재연구소의 풍어제에 대한 실태조사(1981년) 전까지만 해도 전승이 끊긴 것으로 인식이 될 만큼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조사를 통하여 거제도ㆍ한산도ㆍ사량도ㆍ옥지도 등에서 아직도 별신굿이 연행되고 있었으며, 그 가치를 인정받아 1987년 '중요무형문화재 제82호-라호'로 지정되고 정모연(여, 1913~1987)이 초대보유자로 인정 받았다. 이후 정모연, 박복률(남, 1933~1987), 배중렬(남, 1922~1987), 고주옥(여, 1913~1990) 등이 타계해 전승에 어려움을 겪다가 다행히 정영만(남, 1956~)이 정모연의 기능을 이어받아 현재 활발한 전승과 공연활동을 하고 있다. 남해안별신굿의 전체 연행은 신격과 공간에 의해 개별 제차가 구성된다. 먼저 여러 신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당산신에게 굿을 한다. 이어서 동네의 여러 신들에게 굿을 하며 해변의 용왕신에게 향한다. 이는 마을을 개척하고 생업을 영위하는 과정이 나타내는 것이다. 남해안별신굿은 크게 큰쿳과 잔삭다리굿으로나눌 수 있고 각 개별제차는 연행의미나 무악의 흐름에 따라서 연행단락으로 나누어진다. 연행단락을 구성하는 연행요소는 무가사설, 무가노래, 무무, 무악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행자들에게 통용되는 순서(대개는 장단명칭)로 정리된다. 잔삭다리굿의 연행의미는 청신, 오신, 송신의 세가지로 말할 수 있다. 각 연행단락의 연행요소는 (무악)→무가→무악(무무) 순서로 진행된다. 중심연행은 무가이고 마무리를 무악으로 한다. 즉, 무가가 굿의 뼈대라면 음악과 춤은 살이 된다. 큰굿은 청신악→올림채 1ㆍ2ㆍ3장→무가→〈무가→맘자심〉→무가→올림채 1ㆍ2ㆍ3장→송신악의 구조 속에 손님풀이에서 환생탄일까지 무가→맘자심이 반복된다. 연행요소로 보았을 때 잔삭다리굿처럼 무악(무무)→무가→무악(무무)으로 진행된다. 이처럼 남해안별신굿은 무가와 음악적인 연행에 의해 크고 작은 연행 단락으로 나누어진다. 그동안 굿 연구는 무가를 위주로 음악과 춤 등의 연구가 상당히 진척된 상태이다. 하지만 굿의 종합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어느 한 부분만 연구해서는 굿의 전체적인 모습을 올바로 볼 수 없다. 신격(神格)ㆍ연행공간ㆍ무가(巫歌)ㆍ무악(巫樂)ㆍ무무(巫舞)을 통합적으로 보아야만 굿의 전체적인 모습과 연행구조를 볼 수 있다. In a Korean word, South seaside is Namhaean(남해안) and shaman music is Muak(무악, 巫樂), Gut(굿) is all kind of shaman performance consisted of singing, dancing and playing instrument. Byeolsingut(별신굿) means gut performed in a village by periods(biennial or several years). Because, Namhaean Byeolsingut(남해안 별신굿) means shaman performance opened in a south seaside village by periods. Structure of Namhaean Byeolsingut consists of various sections (gut). Each gut performs according to godhood and place. Each gut have several performing sections. Namhaean byeolsingut have one large gut(keun-gut) and several small guts (jansakdari-gut). jansakdari-gut is composed of several sections. Performing meaning of each sections have a calling god(請神), a playing god(娛神) and a sending god(送神). these are arranged in this order : a shaman instrument music(舞樂) → a shaman song(巫歌) → a shaman dance(巫舞) keun-gut is composed of several guts. The performing meaning of keun-gut have a calling god(請神), a description and a sending god(送神). Most of gut are arranged in this order : a shaman song(巫歌) → mamjasim (rhythmic pattern, 巫樂).

      • KCI등재

        1910~1920년대 京城電氣의 강압적 인사관리와 노동자의 저항

        吳鎭錫(Oh Jin-Seok) 한국사연구회 2008 한국사연구 Vol.141 No.-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 among three parties: monopolistic capital, laborers, and the government-general surrounding labor problems through the case study of Kyeongseong Electric Co. (hereafter KEC). The characteristic of labor management of KEC was one of coercive labor management with the base of workers working long hours and receiving low wages and the instability of employment.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was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employee levels(for example the staff[職員]-minor employee[雇員] and temporary employee[傭員]). This discrimination between the employee levels was in fact discrimination between nationalities because most of the staff and minor employees were Japanese and most of the temporary employees were Korean. Discontent of the Korean temporary employees led to the organization of the Labor Union, and the Labor Union raised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and higher wages. However, KEC disregarded these demands and finally the conflict between management and laborers brought about strikes by the laborers. The representative example was the strikes of the electric car crew in February and March 1925. As a result of these strikes, the Labor Union of the electric car crew, KyeongJeon Woonsudongwoohoe[京電運輸同友會] was established. KEC, however, continued to oppress the laborers and exterminated the Labor Union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general and the Japanese police. Strong support of the government-general and the Japanese police made it possible for KEC management to continue its coercive and discriminatory labor management. Because the government-general, at that time, thought that the Japanese capital must be invited for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Korea, therefore, the governmentgeneral implemented policies to oppress the laborers.

      • KCI등재

        현대 중국의 정체성과 미술: 수이지엔궈의 <의문 연구>를 통해 본 탈식민주의적 접근법

        오진이 ( Oh Jiny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주제는 중국 미술가 수이지엔궈 (隋建國, 1956-)의 조각 연작 <의문 연구 (衣紋硏究)>(1995-2001 제작)에 나타난 현대 중국의 정체성이다. 이를 통해서 연구자는 서구 문화의 영향 속에서 급격한 사회 변화를 겪은 아시아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을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20세기 이래로 아시아에서는 정치, 사회, 문화계를 막론하고 식민주의를 극복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있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 중 상당수가 ‘아시아 대(對) 서구 유럽’라는 비교와 경쟁의 틀 안에서 아시아의 우월성을 입증하려는 배타적 민족주의적 성격을 띠었다. 이는 식민주의에 내재한 주체와 타자 간의 불평등한 관계를 재생산하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중국 사회에 초점을 맞추어 현재의 상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대안적인 문화 실천으로 조각가 수이지엔궈의 조형 작업물인 <의문 연구> 연작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먼저 1990년대 중국의 학술·문예계에서 진행된 정체성 논의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당시의 정체성 논의와 연계되어 활황을 이루었던 탈식민주의 담론이 포스트모더니즘이나 민족주의 등과 뒤섞여 ‘자기타자화’의 경향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수이지엔궈의 연작 <의문 연구>에서 서구 유럽의 신고전주의 양식과 중국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양식이 결합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이지엔궈의 작품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서구 유럽 미술의 영향 위에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통상적으로 중국사회 특유의 미술 양식으로 상찬되는 중국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을 뒤집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작업 방식이 중국 사회주의를 탈신비화하고 중국의 자기 정체성을 새롭게 성찰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서구 유럽 문화에 대해서도 재고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해석에 기반하여 결론에서는 수이지엔궈의 작업이 모더니티에 대한 보편적인 성찰을 보여주며 서구 유럽과 중국, 주체와 타자가 서로를 비추는 구체적인 탈식민주의적 실천이라고 평가하였다. 배타적 민족주의에서 벗어나 문화 정체성을 정립하는 문제는 제국주의적 이데올로기를 극복하려는 세계 미술계의 과제이다. 이러한 점에서 수지엔궈의 작업은 중국이라는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지구적인 차원에서도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__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dentity of modern China exposed in the sculpture series < Vein Study (衣紋硏究) > of the Chinese artist Sui Jianguo (隋建國, 1956-).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sought to disclose the possibility of observing the cultural identity of Asian countries that have underwent rapid social change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culture from a post-colonial point of view. Since the 20th century,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in Asia to overcome colonialism, regardless of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A considerable number of attempts, however, took on a exclusive nationalist nature that attempts to vindicate the superiority of Asia within the framework of comparison and competition entitled ‘Asia versus (對) Western Europe.’ This embodies the limitation of the ability to reproduce th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ity and otherness inherent in colonialism. To this extent, this research aims attention at the Chinese society in the 1990s in order to critically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s well as propose the series < Vein Study >, the sculptor Sui Jianguo’s work, as an alternative cultural practice. First, the paper discusses the debate on identity that had proceeded in the academic and literary fields of China in the 1990s. Then, it sought to examine that the post-colonialism discourse, which was a boom in connection with the debate of identity at that time, was mixed with post-modernism and nationalism and further entailed the tendency of ‘self-tyranny.’ Furthermore, it analyzed the way in which the Neoclassical style of Western Europe has combined with the socialist realism of China in Sui Jianguo’s series < Vein Study >. Through this, it scrutinized that Sui Jianguo’s work reveals that socialist realism is formed on the influence of Western European art, and that it overturns the general interpretation of Chinese socialist realism that is praised as the Chinese society’s unique art style. Moreover, the research proved that this type of work style not only mystically exuviates China’s socialism and newly reflects on the China’s own identity, but also imposes the necessity to reconsider Western European culture. Based on this interpretation, in the concluding part, it depicts Sui Jianguo’s work as a universal reflection on modernity, as well as appraises that it is a concrete post-colonial practice in which Western Europe and China, the subject and others, illuminate each other. The problem of establishing cultural identity out of exclusive nationalism is a task of the world art to overcome imperialist ideology. In this sense, Sui Jianguo’s work can be reputed to be significant not only in a specific region of China but also on a global scale.

      • KCI등재

        동아시아 문명의 초보적 탐색 - 유학의 공명혜와 자증혜를 중심으로 -

        吳進安(Oh, Jin-An),張麗娟(Zhang, Lijuan)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0 No.2

        유가는 중국문화를 만들어낸 중요한 요소로서, 전통문화의 중요한 가치관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또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문화적 함의의 기초 가운데 하나이자, 유학 풍습과 인문적 색채를 드러내었다. 유가는 공자 이후로부터, 공문 제자들이 공자의 철학사상과 인문적 가치를 전승하였으며, 각 왕조, 각 지역 지식계층의 해석과 정착 이후의 철학적 발양을 거쳐, 점차 동아시아 지역에서 다양한 유가 풍습을 이루었다. 그 가운데 전통으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유가는 집단 인륜 생활의 가치 단계에 속하는 “공명혜(共命慧)”를 주도하고 있으며, 또한 지역화 과정에서 형성된 “자증혜(自證慧)”를 수반하고 있다. “공명혜”의 각도로부터 말하자면, 이것은 곧 유학의 보편성을 드러내는 것이며, 세계 어디에서나 꼭 들어맞는 가치전통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자증혜”에 대하여 말하자면, 이것은 곧 유학이 각 지역에서 지역화가 된 이후에 형성된 특수성을 일컫는 것이며, 또한 각 민족의 문화정신이라 말할 수 있다. 본문의 요지는 유학 경전 속에 담겨 있는 “공명혜”와 “자증혜”의 내용을 탐구하는 것이다. 유학은 오늘날 동아시아 문명 발전에 있어서 제공하는 가치가 있는가? 혹은 동아시아 융합 사유와 문명가치체계 가운데 하나로서의 유학은 여전히 훌륭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가? Confucianism is an important element in shaping Chinese cul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ontents of the Confucian classics of "coexistence intelligence" and "self-evidence intelligence". Can we give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of East Asian civilization today? Does Confucianism, one of the systems of East Asia"s integrated thinking and civilized values, still have its fascinating aspects?

      • 고령화 국가에 대한 기대수명 증가의 연령별 사망률 개선과 기여도 비교 연구

        오진호 ( Jin-ho Oh ) 한국연금학회 2019 연금연구 Vol.9 No.2

        고령화는 세계적 추세이며, 그 결과로 인구구조 변화와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유발한다. 고령화 속도가 빠른 국가는 사망률 교대현상(mortality with rotation, 젊은 층의 사망률 개선은 예전과 다르게 점점 낮아지는 반면 고령층은 점진적으로 증가)과 연령별 사망률 개선에 차이를 보이고, 그 결과 기대수명 증가에 따른 연령별 기여도(Age-specific contributions to the Increase in Life expectancy)가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여러 고령화국가를 선정해 사망률 개선과 기여도를 비교해 본다. 이를 위해 먼저 아시아 3개국(한국, 중국, 일본), 유럽 2개국(영국, 프랑스), 미국, 총 6개국을 선정해, HMD, UNPD의 WPPs 2019 Prospects, 한국의 KOSIS에서 자료를 수집한 후, 사망률 개선과 기여도를 시각적으로 표현가능한 R 프로그램의 ROMI.PLOT을 나타내어 비교한다. 연구결과 타국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빠른 고령화를 보이는 한국과 중국은 80세 이상을 제외하고 전 연령에 걸쳐 빠른 사망률 개선과 특정 코호트별 사망률 개선을 보여주고, 6개국 모두 기대수명 증가에 따른 50대후반~80대후반의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ging is a global trend, resulting in demographic changes and various social problems. In countries with a rapid aging rat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ortality with rotation (the mortality rate of young people gradually decreases, while the elderly gradually increases) and the improvement of age-specific mortality rate and as a result, age-specific contributions to the incresae in life expectancy are different. The study selects several aging countries and compares their mortality declined rate and contributions to the improvement of mortality. To analyze, first, three Asian countries (Korea, China, Japan), two European countries (UK, France), and the U.S. will select six countries to collect data from the HMD, UNPD's WPD's WPPs 2019 Prospects, and Korea's KOSIS, and compare them on mortality declined and contributions by visually expressing the ROMI.PLOT of the R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Korea and China, which are relatively aging compared to other countries, show rapid mortality declined rate and cohort mortality improvement across all ages, except for those aged 80 and older, while it is analyzed that the improvement of mortality among all six countries in their late 50s and late 80s has contributed relatively high to the increase in life expectancy.

      • KCI등재
      • KCI등재

        건강예보 서비스 제공에 대한 지불의사금액 추정

        오진아 ( Jin A Oh ),박종길 ( Jong Kil Park ),오민경 ( Min Kyung Oh ) 한국환경과학회 201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0 No.3

        Weather forecasting is one of the key elements to improve health through the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health problems. Health forecasting is a potential resource creating enormous added value as it is effectively used for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Willingness to Pay`` for health forecasting.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derive willingness to pay from 400 people who lived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 and over 30 years of age during the period of July 1-31, 2009. The results showed that a 47.50% of people had intention to willingness to pay for health forecasting, and the pay was 7,184.21 won per year. Willing to pay goes higher depending on ``tax burden as to benefit of weather forecasting``, ``importance of the weather forecasting in the aspect of health``, ``satisfaction to the weather forecasting``, and ``frequency of health weather index check``. This study followed the suggestion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generally and the values derived through surveys could be reliable. It can be concluded that a number of citizens who are willing to pay for health forecasting are high enough to meet the costs needed to provide health forecas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