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부 대류권-하부 성층권 오존이 성층권 준 2년주기 진동과 매든-줄리안 진동 상관성에 미치는 영향: GloSea5 이용 사례

        오지영,손석우,백승윤,Oh, Jiyoung,Son, Seok-Woo,Back, Seung-Yoon 한국기상학회 2022 대기 Vol.32 No.3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Madden-Julian Oscillation (MJO) is modulated by Quasi-Biennial Oscillation (QBO) during the boreal winter; MJO becomes more active and predictable during the easterly phase of QBO (EQBO) than the westerly phase (WQBO). Despite growing evidences, climate models fail to capture the QBO-MJO connection. One of the possible reasons is a weak static stability change in the upper troposphere and lower stratosphere (UTLS) by neglecting QBO-induced ozone change in the model. Here, we investigate the possible impact of the ozone-radiative feedback in the tropical UTLS on the QBO-MJO connection by integrating the Global Seasonal Forecasting System 5 (GloSea5) model. A set of experiments is conducted by prescribing either the climatological ozone or the observed ozone at a given year for the EQBO-MJO event in January 2006. The realistic ozone improves the temperature simulation in the UTLS. However, its impacts on the MJO are not evident. The MJO phase and amplitude do not change much when the ozone is prescribed with observation. While it may suggest that the ozone-radiative feedback plays a rather minor role in the QBO-MJO connection, it could also result from model biases in UTLS temperature and not-well organized MJO in the model.

      • Cardiac Manifestations of Inborn Error of Metabolism in Pediatric Patients

        오지영,Oh, Jiyoung The Korea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2021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21 No.1

        Among the various etiologies of cardiomyopathy, inborn errors of metabolism (IEM) is one of the underlying causes, especially in the pediatric population. The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IEM of cardiomyopathy may lead to better prognosis through disease-specific management. Therefore, clinicians should always keep in mind the possibility that IEM may be one of the underlying etiologies of cardiomyopathy, and carry out multi-systematic clinical approach to diagnosis of IEM. This review covers the pathophysiology, clinical presentations, typical laboratory findings,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of each type of IEM-induced cardiomyopathy in pediatric patient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is subject.

      • KCI등재

        공간헤도닉모형을 이용한 일반고 교육성취 특성 및 지역 매개효과에 따른 주택가격 영향

        오지영(Jiyoung Oh),서원석(Wonseok Seo) 한국주택학회 2023 주택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2025년부터 대부분의 학생이 진학하게 될 일반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공간헤도닉모형을 이용해 교육성취 특성 및 지역 매개효과에 따른 주택가격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일반고 접근성은 유형과는 관계없이 지역 아파트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특히 대학 진학률이 가장 높은 선호 고교 유형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아파트에 가장 인접한 일반고 유형은 명문고가 더 선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주택시장의 보편적인 수요자들은 지역 명문고가 갖는 위상을 높게 평가하며, 명문고의 경우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많아 청소년 비행이 적고 이것이 학교 주변 주거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인식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지역의 매개효과를 통해 주택가격에 대한 지역 효과가 높은 지역에서 명문고와 인접할수록 아파트가격이 더 상승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일반고 학업성취 특성은 아파트가격에 명확한 영향을 준다는 점과 지역에 따라 이러한 영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n housing prices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high schools and the regional mediating effect using the spatial hedonic model. The main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essibility to general high schools had a positive effect on local apartment prices regardless of the type. It was found that the preferred high school type, which had the highest college entrance rate, had a greater influence. Second, a prestigious high school was more preferred when it comes to the type of high school closest to the apartment. This result seems to be due to the recognition that consumers in the local housing market place high value on the status of local prestigious high schools, and that there are many students with excellent grades in prestigious high schools. Consequently, there may be less incidence of juvenile delinquency, creating a positive effect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round the school. Third, it was found that in an area where the regional effect on housing price is high, the closer an apartment is to a prestigious high school, the higher the apartment price can get.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have a clear influence on apartment prices and that these influences appear differentially by region.

      • 치유적 관점에서의 환경색채 스트레스 반응 측정 프로세스 연구

        오지영(Jiyoung Oh),박혜경(Hey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2

        스트레스 감소라는 치유적 관점에서의 환경색채 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신의학, 심리학 분야에서 활용되는 연구방법론인 심박변이도 측정방법을 환경색채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환경색채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실험자극물 선정 기준으로 활용하였으며, 1차 실험을 통해 실험프로세스의 세부적인 사항들을 고찰, 보완점을 도출하여 2차 실험에 반영하였다. 2차 실험 결과, 명도를 고려한 저채도의 색상이 스트레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되었고, 2차 실험 결과를 통한 보완점을 도출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성 있는 환경색채 분야의 스트레스 측정 연구 프로세스를 구축하고자 한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2000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오지영(Oh, Jiyoung),전효훈(Chon, Hyo Hoo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대한 국내학술지 논문의 동향을 탐색하고 이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2000년 이후 2018까지 발표된 국내 등재지 및 등재 후보 학술지 논문 중 폭력 관련 논문 112편을 선정해 발행연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에 따른 경향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대한 연구의 발행 시기별 경향은 2012년도까지 5편 미만으로 연구되어오다가 2013년부터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대한 연구의 주제별 경향은 예방 및 개입에 대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과반을 차지했으며, 인식 및 실태, 원인 및 요인 순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대한 연구의 대상별 경향은 단일 대상으로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문헌, 유아, 부모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대한 연구의 방법별 경향은 양적 연구가 월등하게 많았으며 이어 문헌연구, 질적연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정책 수립에 필요한 연구를 제안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rends in Korean journals about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fi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112 violence-related papers were selected from domest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0 to 2018, which were searched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The tren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year, research theme,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less than five studies per year on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until 2013, when the number of studies per year began to increase. Second, research themes on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rended mostly towar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llowed by perception, status, and causes and factors. Third, most studies on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about teachers, while others were on literature, children, and parents, in that order. Fourth, most studies of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quantitative,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s, qualitative studies, and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e trends of research on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have been studied and suggests what studies are necessary in the future.

      • 소셜미디어 부동산정보가 지방 중소도시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이중차분 분석의 적용

        오지영 ( Oh Jiyoung ),서원석 ( Seo Wonseok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3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1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이용이 높아지는 최근의 트렌드에 따른 부동산정보 이용 행태 변화가 지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강원도 동해시를 대상으로 이중차분 분석을 이용해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 부동산정보는 주택가격 상승에 선행하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동산정보의 노출은 전반적으로 블로그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셜미디어를 통한 부동산정보는 강원도 동해시 아파트 가격을 크게 상승시킨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택정책과 관련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주택가격 변동에 소셜미디어 부동산정보 정보량과 검색량 변화가 선행하므로 지역 주택시장의 가격 및 수요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부동산정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둘째, 부동산 인플루언서와 부동산시장 수요자들 간 순기능이 제고될 수 있도록 관리감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부동산시장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부동산정보 제공자 및 플랫폼에 대한 윤리성 제고 방안이 필요하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social media real estate information on local housing prices using DID analysis in Donghae-si, Gangwon-do.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media real estate information increased in advance of an increase in housing pric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xposure of real estate information was generally made through blogs. Third, social media real estate information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apartment prices in Donghae-si, Gangwon-do.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related to housing policy are as follows: First, changes in social media real estate information and volume precede changes in housing prices, so real estate information monitoring that can predict changes in price and demand in the local housing market is necessary. Second, management supervision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ositive function between the real estate influencer and the real estate market consumers. Finally, in order to prevent disruption in the real estate market, a system is needed to enhance the ethics of real estate information providers and plat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