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근위 경골에 발생한 악성종양 절제 후 슬관절 신전력 재건술 -증례 보고-

        박종훈,오정문,김진욱,이수용,Park, Jong-Hoon,Oh, Jung-Moon,Kim, Jin-Wook,Lee, Soo-Y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0 No.2

        근위 경골부에 발생한 악성종양의 사지구제술은 화학요법의 발달로 인해 대표적인 치료 방법이 되었다. 다양한 술식의 보고에도 불구하고, 종양 절제 후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구제술에 있어 슬개건의 부착 부위가 상실되어 슬관절의 신전력을 재건 하기가 어려운 것이 공통적인 문제로 지적 되고있다. 본 연구는 경골 근위부의 종양을 절제한 후 저온열처리 한 다음 원위 대퇴골을 절제하여 저온열처리 자가경골 및 종양대치물과 결합하고, 슬개골을 자가경골과 결합된 원위 대퇴골에 고정하여 슬관절 신전력을 재건 한 2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Benign and malignant bone tumors occur most commonly around the knee. The proximal tibia is the most technically demanding site for limb salvage surgery. The most difficult problem using an endoprothesis for proximal tibial resection has been reconstruction of the extensor mechanism. After excision of proximal tibia, we resected distal femur and made a composite with resected distal femur, low heat treated autogenous proximal tibia and endoprothesis. Patella was fixed into the resected down-loaded distal femur. This article shows the new technique and the results of reconstruction of extensor mechanism after prosthetic replacement of the proximal tibia.

      • 원위 요골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의 일괄 절제 후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삽입물을 이용한 재건술 - 증례보고 -

        전대근,송원석,오정문,Jeon, Dae-Geun,Song, Won-Seok,Oh, Jung-Mo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0 No.1

        원위 요골의 거대 세포종은 빈도가 많지는 않다. 통상적으로 골 소파술 및 골 시멘트 충전술로 치료하지만, 재발한 경우나 처음부터 골피질 파괴가 심하고 관절 침범이 있을 경우에는 일괄 절제(en bloc resection) 후 근위 비골을 이용하여 재건하는 술 식이 많이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고식적 술 식으로 치료한 후 국소 재발한 원위 요골의 거대 세포종 환자에서, 근위 비골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여도 일차 술 식 시 오염의 범위가 심하여 다시 재발할 가능성이 높아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과 골수강내 고정물 및 골 시멘트를 조합하여 원위 요골을 재건한 1례를 보고 하고자 한다. A giant cell tumor (GCT) of the distal radius is not common. Curettage with bone cementation is considered as a treatment of choice but, in the case of recurrence, marked cortical disruption, or articular invasion, en bloc excision and reconstruction with proximal fibular bone graft is usual procedure. In reconstruction of en bloc resected distal radius which had recurred GCT after conservative operation, we used the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liner with intramedullary rod and bone cement, because the contamination was extent in previous operation and recurrence after fibular bone graft was fearful. This article introduce our new surgical procedure.

      • 악성 말초신경막 종양의 치료와 생존율

        이종석,전대근,조완형,이수용,오정문,김진욱,Lee, Jong-Seok,Jeon, Dae-Geun,Cho, Wan-Hyung,Lee, Soo-Yong,Oh, Jung-Moon,Kim, Jin-Woo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2

        Purpose: We analyzed our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MPNST) cases to find out their oncologic results following by each treatment modaliti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four patients with MPNST were registered in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from Feb. 1986 to Nov. 1996. Seventeen cases were male and 17, female. Average age was 41 years (range 18 to 74). Location of the tumor was as follows; 17 in lower extremity, 11 upper extremity, 4 trunk, and 2 retroperitoneum. Following the AJC classification, stage IA were 2 cases, stage IIA 2, stage IIB 6, stage III 16 and stage IV 8. Twenty six patients took operations and adjuvant chemotherapy and/or radiation therapy, 3 operation only and 3 adjuvant chemotherapy or radiation therapy.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33.5 months (5.6 to 146.1). Kaplan-Meiyer method was done for survival curve, and log rank test for comparison analysis. Results: Fourteen cases were continuous disease free, 2 no evidence of disease, 2 alive with disease and 14 dead of disease states at final follow up. Actual 5-year and 10-year survival rates were 53.5%, 35.7%. Local recurrence rate after operation was 24.1%. 5-year survival rates of stage I/II/III were 100/85.7/55.9% and 2-year survival rate of stage IV was 14.3% (p=0.04). In 21 cases operated with stage II-III, wide margin (15cases) had 76.0% 5-year survival rate, and marginal or intralesional marigin (6cases) had 40.0%. The actual 5-year survival rate of the group which were done 4 or more cycles chemotherapy (8cases) was 71.4% and the actual 3-year survival rate less than 4cycles chemotherapy (6cases) was 83.3% (p=0.96). In 19 cases operated with stage II-III and which had no radiotherapy, marginal or intralesional margin (5cases) had 3 cases of local recurrences (60.0%), though wide margin (14cases) had 4 cases recurrences (28.6%). There was no local recurrence in 8cases which had pre-or post-operative radiotherapy. Conclusions: Surgical margin is an important factor in local recurrence. Resection margin has a tendency to influence the survival despite insufficient statistical significance. Conventional chemotherapy has no defnite statistical sigficance in the effect on local control and survival.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has some positive effect on local control. 서론: 악성 말초 신경막 종양(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MPNST)에 대하여 수술, 항암제 투여, 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하고 이에 따른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여 보다 합리적인 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986년 2월부터 1996년 11월까지 본원에 등록된 MPNST 환자 34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7례, 여자가 17례였고 평균연령은 41세(18세~74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하지가 17례, 상지 11례, 체간부 4례, 후복막 2례였다. AJC(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분류에 의한 종양의 병기는 stage IA가 2례, stage IIA 2례, stage IIB 6례, stage III 16례, 그리고 stage IV가 8례였다. 치료 방법으로는 26례에서 수술과 항암제 투여 그리고 때에 따라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3례에서는 수술만, 3례에서는 항암제 투여나 방사선 치료만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3.5개월(5.6개월~141.1개월)이었다. Kaplan-Meiyer 법으로 생존율을 구하였고, log rank test로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질병 상태는 14례에서 CDF(continuous disease free)였고, 2례가 NED(no evidence of disease), 2례 AWD(alive with disease), 그리고 14례가 DOD(died of disease)였다. 실제(actuarial) 5년 생존율과 10년 생존율 은 53.5 %와, 35.7%였다. 수술 후의 국소 재발율은 24.1%였다. 병기별 5년 실질 생존율은 stage I이 100%, stage II 85.7%, stage III 55.9%였고 stage IV의 경우 2년 실질 생존율이 14.3%였다(p=0.04). Stage II, III에서 수술한 경우 21례에서, 광범위 이상의 절제연을 얻었던 경우가 15례로 5년 실질생존율이 76.0%였고 병소내이거나 변연부 절제연의 경우는 6례로 40.0%였다(p=0.26). 4회차 이상의 항암화학요법제를 투여한 군(8례)의 5년 실질생존율은 71.4%였고 3회차 이하의 불충분한 항암제투여를 시행한 군(6례)의 3년 실질생존율은 83.3%였다(p=0.96). Stage II, III 중 방사선 치료 없이 수술 받은 19례에서 병소내 절제나 변연부 절제를 시행했던 5례는 3례가 국소 재발하였고(60.0%) 광범위 절제를 시행한 14례는 4례가 국소 재발하였다(28.6%). 수술 전 또는 후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던 8례에서는 국소재발이한 예도 없었다. 결론: 외과적 절제연(surgical margin)이 국소 재발에는 중요한 요인이었고,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수치는 아니었지만 생존율에도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항암제 투여는 국소 재발이나 생존율상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수술전과 수술후 시행하였던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을 줄이는데 어느 정도의 효과를 보였다.

      • 생분해성 고형물에 흡착시켜 실험동물에 국소 투여한 홀미움- 166-키토산 복합체의 투여량, 기간 및 부위에 따른 조직의 괴사 정도와 양상

        이종석,전대근,조완형,이수용,오정문,김진욱,Lee, Jong-Seok,Jeon, Dae-Geun,Cho, Wan-Hyung,Lee, Soo-Yong,Oh, Jung-Moon,Kim, Jin-Woo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2

        목적: Holmium-166은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간암 치료에서 이미 임상적으로 사용이 보고된 방사성 동위원소이다. 본 연구는 holmium-166-chitosan 복합체를 외과적으로 생체에 투입하여 임상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연구하고, 투여량과 기간, 투여 부위에 따른 조직학적 반응 정도를 정성 및 정량 분석하여 임상적용의 기초로 활용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Absorbable gelatin sponge에 액체상태의 holmium-166-chitosan 복합체를 50 ${\mu}l}$ 도포하여 고형제로 만들었다. 최종 삽입전에 caliberator로 측정한 방사선량은 약 1.5 mCi였다. Wistar종 흰쥐에 외과적 시술을 통하여 대퇴근육 내부와, 그리고 대퇴골에 접하게 holmium-166-chitosan 복합체가 부착된 gelatin sponge를 삽입 후 봉합하였다. 대퇴 근육내와 대퇴골에 투여한 후 2주, 4주, 6주에 육안 및 현미경 소견하에서 조직 괴사의 깊이, 조직 변화의 양상, 삽입된 gelatin sponge의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2주후의 현미경 소견상 holmium-166과의 접촉면에서는 정상 근육세포의 모양을 찾아 볼 수 없을 만큼 심한 괴사 소견을 보였고 근육세포의 퇴화 및 재생, 근육간 부종, 염증세포의 침윤 소견을 보였으며 유발된 괴사의 깊이는 평균 3.3 mm 였다. 대퇴골에서는 holmium-166과의 접촉면에 있는 골피질은 골소강내 골세포의 소실이 관찰되었고 골수강내의 골수 세포도 파괴되고 섬유화 또는 염증성 반응을 보였다. 괴사의 깊이는 평균 2.9 mm 였다. 4주 때 근육에서는 석회화와 보다 심해진 섬유화 소견이 추가 되었고 괴사의 깊이는 평균 3.3 mm 였다. 골조직에서도 골수강의 섬유화가 더 증가되었고 괴사의 깊이는 평균 3.3 mm였다. 경과 관찰 6주 군에는 연부 조직의 위축과 섬유화의 증가, 육아조직의 형성, 염증 소견의 소실 등이 관찰되었다. 결론: Holmium-166-chitosan 복합체를 생체 흡수 가능한 gelatin sponge에 부착시킨 후 실험동물에 삽입한 결과, 실험동물의 사망을 유발하지도 않았으며 상처의 괴사, 염증, 감염 등의 부작용이 전혀 없어, 생체에 외과적 적용이 가능하였다. 유발된 조직 괴사의 범위는 약 3 mm로 미리 예측한 정도에 근접하는 것으로 악성종양 치료에 임상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 clinically appliable method to insert a biodegradable solid material containing holmium-166-chitosan complex into the surgical field, and to evaluate the histological changes in the normal tissues after ${\beta}$ -ray irradiation from holmium-166 according to the dose, period and type of tissues. Materials and Methods: 3.0 mCi, 50 ${\mu}l$ of the liquid state $^{166}$Ho-chitosan complex was attached to the absorbable gelatin sponge. The radiation activity measured by dose caliberator was 1.5 mCi. These $^{166}$Ho-chitosan complex containing absorbable gelatin sponges were inserted into the thigh muscles and over the femur bones of the Wistar rats. The cases were evaluated at 2 weeks after insertion, and 4, 6 weeks with respect to the histological changes of the soft tissues and bone, the depth of the tissue necrosis, and the changes of the $^{166}$Ho-chitosan complex containing absorbable gelatin sponges. Results: At 2 weeks, the muscles showed coagulation necrosis, degenerating myocytes, regenerating myocytes, intermuscular edema, and inflammatory cells. The necrosis depth was 3.3 mm. In the bones, there was no osteocyte in the lacuna of cortex (empty lacuna), marrow fibrosis, inflammation. The necrosis depth was 2.9 mm. At 4 weeks, in the muscle, calcification and increased fibrosis with necrosis depth by 3.3 mm were the additional findings. In the bone, marrow fibrosis with necrosis depth by 3.3 mm were detected. At 6 weeks, soft tissue shrinkage, increased fibrosis and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and nearly resolving inflammatory reaction were the findings. Conclusion: The local application of the $^{166}$Ho-chitosan complex attached to biodegradable gelatin material with surgery in the laboratory animals resulted in no mortality and morbidity, and satisfactory tissue necrosis. Holmium-166 can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the malignant tumor patients.

      • KCI등재

        사지의 연부 조직 육종의 무계획적인 절제 후 재 절제의 결과

        조완형(Wan-Hyeong Cho),송원석(Won-Seok Song),박종훈(Jong-Hoon Park),전대근(Dae-Geun Jeon),이수용(Soo-Yong Lee),오정문(Jung-Moon Oh),김진욱(Jin-Wo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목적: 연부 조직 육종에 대한 의심 없이 무계획적으로 절제한 후 재 절제 및 보조 요법을 한 환자들의 생존율과 국소 재발률, 전이 양상 등을 분석하여 현미경 상 잔여 종양의 유무가 재발과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타원에서 절제한 후 육종으로 판명되어 전원 된 환자 중 이학적 검사상 종양이 만져지거나 자기 공명 영상으로 종양이 확인된 경우를 제외한 68예를 대상으로 광범위 재 절제를 시행한 후 잔여 종양의 유무를 판독하였다. 남녀 비는 같았고 평균 34.7세였다. AJCC 분류에 따른 병기는 Ⅰa 3예, Ⅰb 2예, Ⅱa 5예, Ⅱb 34예, Ⅲ 24예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58.9개월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 상 CDF 48예, NED 9예, AWD 3예, DOD 8예이었다. 5년 및 16년 지속적 무병 생존율은 각각 68.1, 61.3% 이었다. 잔여 종양이 있었던 23예 중에는 8예가, 없었던 45예 중 6예가 국소 재발하였다. 종양의 크기, 잔여 종양, 최초의 절제와 재 절제간의 시간 간격, 병기는 국소 재발에 유의한 인자이었다. 지속적 무병 생존율에 국소 재발, 원격 전이, 병기가 유의한 예후 인자이었다. 결론: 지속적 무병 생존에 중요한 인자 세 가지 중 국소 재발만이 조절 가능한 인자이었다. 국소 재발에 관여하는 요인 중 잔여 종양의 유무가 중요하였다. 무계획적인 절제는 가급적 피해야 하나 무계획적인 절제 후에도 광범위 절제연으로 재 절제하면 재발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microscopic residual tumor on the survival and recurrence rate by analyzing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re-excision after an unplanned excision of a soft tissue 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1985 to June 2002, 68 unplanned excisions of a soft tissue sarcoma at other institutes were referred to our service. All cases had undergone a re-excision and were re-evaluated for residual tumor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the same with an average age of 34.7 years. Staging followed the AJCC classification and there were 3 cases of la, 2 Ⅰb, 5 Ⅱa, 34 Ⅱb, 24 Ⅲ. Twenty six case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only and 42 had added adjuvant therapy. The mean follow-up was 58.9 months. Results: At the final follow up, there were 48 CDF, 9 NED, 3 AWD and 8 DOD. The CDF 5/16 year survival rates were 68.1/61.3%. Eight of the 23 residual tumor positive cases and 6 of the 45 residual tumor negative cases had a local recurrence. The tumor size, residual tumor, interval between the excision and re-excision, and stage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a local recurrenc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a local recurrence, metastasis and stage to be significant factors for survival. Conclusion: Local recurrence was the only controllable factor for survival. The presence of a residual tumor had an impact on the local recurrence. A re-excision after an unplanned excision may reduce the incidence of a local recurrence.

      • KCI등재후보

        활막육종의 장기적 생존율 및 치료방침

        송원석(Won Seok Song),전대근(Dae-Geun Jeon),박종훈(Jong-Hoon Park),조완형(Wan-Hyeong Cho),이수용(Soo-Yong Lee),오정문(Jung-Moon Oh),김진욱(Jin-Wo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3

        목적: 활막육종 환자의 장기적 생존율을 구하고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치료방침을 확립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8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본원에서 치료받은 환자 중 초진 시 전이가 없었던 59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50.9 (8-161)개월이었다. Kaplan-Meier 법으로 장기 생존율을 구하였으며, 분석된 예후인자는 성별, 연령, 병기, 병소의 위치, 절제연,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국소 재발, 원격 전이였고 단변수 분석은 log-rank 법을, 다변수 분석은 Cox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였다. 결과: 259예 전체의 14년 실질/지속적 무병 생존율은 56.4/49.7%였다. 병기 Ⅰ-Ⅱa/Ⅱb-Ⅲ의 생존율은 53.6/43.2%였다(p=0.55). 절제연은 광범위 이상이 44예, 변연부 5예, 병소내 절제가 2예였고, 이 중 국소 재발은 각각 4/1/1예(9/20/50%)였다. 국소 재발한 10예 중 4예에서 원격 전이가 있었다. 무병 생존율에 유의한 예후 인자로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각각 p<0.0001, p<0.011) 및 절제연(p=0.011)이 단변수 분석 상 유의하였으며, 다변수 분석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활막육종의 14년 무병 생존율은 49.7%였으며 지속적 무병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원격 전이와 국소 재발을 막는 것이 필수적이며, 조절 가능한 인자는 수술적 절제연 뿐으로 계획된 수술적 접근이 필수적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object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long term survival of synovial sarcoma and to find an appropriate treatment strategy with a favorable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1985 and June 2000, fifty nine synovial sarcoma patients with¬out metastasis at presentation were analyzed and followed for 50.9 (8-161) months. Kaplan-Meier plots were used for survival analysis. Analyzed prognostic factors were sex, age, stage, location, surgical margin, chemotherapy, radiation therapy,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is. The log-rank test was used for univariate analysis and the Cox regression model for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Fourteen-year actual and continuous disease free survivals (ADF/CDF) were 56.4 and 49.7%, respectively. CDF of stage Ⅰ-Ⅱa and Ⅱb-Ⅲ were 53.6 and 43.2%, respectively (p=0.55). For local recurrence according to surgical margin, 4 recurrences occurred in 44 wide margins, 1 recurrence in 6 marginal margins, and 1 recurrence in 2 intralesional margins. Among 10 cases of local recurrence, 4 cases had metastasis. Local recurrence, metastasis, and surgical margin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univariate (p<0.0001, p<0.0001, p=0.011) and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Fourteen year CDF survival was 49.7%. The alleviation of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is is essential for long term survival. In the current study, the only factor under our control was surgical margin. A well designed surgical approach will reduce the recurrence rate.

      • KCI등재후보

        악성 골종양에서 감염된 종양대치물의 치료

        조완형(Wan-Hyeong Cho),박종훈(Jong-Hoon Park),송원석(Won Seok Song),이수용(Soo-Yong Lee),전대근(Dae-Geun Jeon),오정문(Jung-Moon Oh),김진욱(Jin-Wo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2

        목적: 종양 대치물 시술 후 발생한 감염의 양상, 기간 및 치료방법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 및 치료 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12월부터 1999년 11월까지 본원에서 악성 골종양으로 종양 대치물 삽입술을 받은 환자 215명 중 감염이 발생한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수술을 하였으며, 17예에서 총 42회의 수술을 시행하였다(반흔 조직 청소술(scarectomy) 11예, 종양 대치물의 부분적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술 9예, 종양 대치물 완전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 술 20예, 절단술 2예). 감염 치유의 지표로 미생물 배양 검사, C-반응단백(CRP), 적혈구 침강속도(ESR) 및 이학적 소견을 이용하였으며, 수술 후 3개월 이상 염증 소견이 없으면 완치로 보았다. 각 술식을 독립된 사건으로 간주하여 감염이 해결되었으면 생존, 재발하면 사건이 있는 것으로 분석하여 지속적 무병생존율을 Kaplan-Meier법으로 구하였으며, 각 술식 간의 차이는 log rank법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반흔 조직 청소술, 종양 대치물 부분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술, 종양 대치물 완전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술의 누적 생존율은 각각 0% (11개월), 0% (12개월), 34% (79개월)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결론: 종양 대치물 사용 후 발생한 감염은 초기에 종양 대치물의 완전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술로서 반복되는 재발을 막을 수 있다. Purpose: The analysis poi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features, durations, and outcomes following different treatment modalities for an infected tumor prosthesis (TP). These were used to define an appropriate strategy for infected TP.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1986 to November 1999, 215 patients underwent a TP replacement operation in our hospital, and 17 patients with an infected TP were eligible for the study. Forty-two operative procedures were performed on 17 patients (scarectomy 11 cases, partial TP removal and bone cementation 9 cases, complete TP removal and bone cementation 20 cases, and amputation 2 cases). Freedom from infection was defined as no sign of inflammation for 3 months after the operation and its objective variables were CRP, ESR, physical examination, and culture free body fluid. Although one patient received several procedures, we considered each event as a separate variable. The survival rates of the procedures were analysed by Kaplan-Meier plots and these were compared using the log rank test. Results: The cumulative survival of each procedure was 0% by scarectomy at 11 months, 0% by partial TP removal and bone cementation at 12 months, and 34% by complete TP removal and bone cementation at 79 month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were found for these procedures (p<0.001). Conclusion: Aggressive initial management reduces patients pain and increases the chance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functional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