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종결 억양 지각 양상

        오재혁(Oh Jeahyuk),이정란(Lee Jungran) 담화·인지언어학회 2012 담화와 인지 Vol.19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utterance final intonation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Intonation is closely related to meaning of utterance, and it especially indicates the grammatical meaning of syntactic moods at the utterance final. The grammatical functions realized through the intonation are limited to the declarative, the interrogative, the imperative, and the exclamatory of syntactic moods. In this study, 114 sound stimuli were used for three types of intonation in the perception test. The three intonation types are level intonation, rising-falling intonation and falling-rising intonation. The perception test tool is made of the sound stimuli and was conducted on 17 foreign graduate students. We compared the result of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with the result of Korean speakers. In the case of the level intonation, the result of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is similar to the Korean speakers. But in the case of the rising-falling intonation and falling-rising intonation, the perception of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Korean speakers.

      • KCI등재

        20세기 초 구어 연구를 위한 음성 자료의 유형과 특징에 대한 고찰

        오재혁 ( Jea Hyuk Oh ),송인성 ( In Seong Song ),도원영 ( Won Young Doh ),홍종선 ( Jong Seon Hong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0

        이 연구는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유형과 특징을 고찰하여 현대 국어 초기의 구어를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가치와 활용 방안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소개되었거나 전해지는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현황을 살피고 자료의 내용과 보존 방식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여 각 유형별 자료에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점들을 찾아 구어 연구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20세기 초 음성 자료에는 유성기 음반으로 녹음된 구연, 연설, 강연, 연극, 영화 등의 자료와 한국영상자료원에서 필름을 복원하여 보존하고 있는 영화 자료 등이 있다. 국어학적인 관점에서 구어는 장르적 속성으로 참여자 간의 역할(tenor)에 따라 ‘일방향’, ‘양방향’, 그리고 ‘격식적’, ‘비격식적’ 유형으로 구분하고, 말하는 내용 즉 영역(field)에 따라 ‘전문적’, ‘일반적’으로 구분하여 분류하면 모두 8가지의 부류로 분류할 수 있다. 20세기 초 음성 자료는 이 중에서 ‘전문적인 격식적 일방향’, ‘일반적인 격식적 일방향’, ‘일반적인 비격식적 일방향’, ‘일반적인 비격식적 양방향’ 음성 자료만 발견된다. 한편 자료의 보존 방식에 따라서는 소리만 전하는 자료와 소리와 영상이 같이 전하는 자료, 그리고 후대에 전사를 하여 문자로도 기록된 자료로 나눌 수 있는데, 유성기 음반은 소리만 전하는 자료이며, 영화 필름 자료는 소리와 영상이 같이 전하는 자료이다. 유성기 음반 중에는 음성이 채록되어 전사된 기록 자료가 있다. 음성 자료는 문자 자료로는 살피기 어려운 언어생활의 실제성 즉 언어 사용의 생생한 면모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음성이 녹음되기 시작한 시대부터 음성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류해 놓는 작업은, 구어의 변화와 확산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determining the value and practical method as preliminary materials for the research of spoken language in its initial form of modern Korean language, exploring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phonetic material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phonetic data at the start of the 20 century, which has been introduced or passed on up to now, discovered distinct features found in each type of data by dividing types into the contents of data and the methods of preservation, and had discussion on the possible application of spoken research. Phonetic material in early 20th century included not only materials such as story-telling, speech, lecture, play and movie recorded on gramophone but also film material of which Korean Federation of Film Archives restored films and kept. From the prospective of Korean linguistics, spoken language is divided into ``one-way``, ``two-way`` and ``informal``, ``formal`` according to the role of participants (tenor) and divided into ``professional`` and ``normal`` depending on what people say, or field: It is classified into 8 groups. Among them, in early 20th century, there was only phonetic data on ``professional and formal one-way``, ``normal and formal one-way``, ``normal and informal one-way``, ``normal and informal two-way``. Meanwhile, depending on the method of data preservation, it is divided into phonetic material, phonetic and image material, and material written in the form of characters that was transcribed by later generations. While gramophone record is a device for conveying sound, movie film data shows sound and voice. Among gramophone record, there is a recorded data in which voice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Phonetic material is highly valuable because it indicates the vivid aspects of daily use of language, compared with written material that is far from showing how people actually use their language. In order to carry out research for changes in spoken language and the process of the spread, it is necessarily needed to systematically prepare and classify phonetic material starting from the period of the beginning of phonetic recording.

      • KCI등재

        국어 단모음(單母音)의 내재적 길이

        오재혁(Oh, Jea-Hyuk)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1 No.-

        이 연구는 국어 단모음의 내재적 길이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서울코퍼스를 이용하여 모음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차례로 제거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운율적 위치에 따른 변인, 음절 유형에 따른 변인, 인접 자음에 의한 변인을 모두 제거한 뒤 국어 단모음 7개의 평균 길이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국어 단모음은 고모음과 중, 저모음의 본질적인 차이를 보이며, 고모음 내에서는 /으/가 유의하게 짧고, 중, 저모음 내에서는 /오/와 /아/가 차이를 보인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구체적인 평균 길이와 표준 편차, 통계적 차이를 밝혔다. 실험실에서 통제한 발화가 아닌 자연 발화를 이용했다는 점과 소규모 자료가 아닌 대용량 코퍼스 자료를 이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intrinsic dur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s of phonetic duration, of Korean vowels. In order to reveal the intrinsic duration of Korean vowel, data was selected from Seoul Corpus. The variables that would have an impact on vowel duration were then removed individually to generate a result. After removing the variables that were according to prosodic position, syllable type and adjacent consonants, the average duration of 7 Korean vowels were recorded. The results have shown that high vowel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mid and low vowels. Among high vowels, /으([ɯ])/ is significantly short. Whereas for mid and low vowels, a difference between /오([o])/and /아([a])/ was found. Additionally,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verage duration and standard deviation was revealed.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spontaneous speech instead of manipulated speech, enormous corpus data were analyzed instead of adopting small data set.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비교 구문 추론에 대한 연구

        오재혁 ( Oh Jeahyuk ),이정란 ( Lee Jungran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0 No.-

        본 연구는 한국어 고급 수준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어 비교 구문의 의미를 어떻게 지각하는지, 그 추론 양상이 한국인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외국인 유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비교 구문 25개에 대하여 비교 구문 안에 포함된 의미가 맞는지를 묻는 지각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유학생은 ‘이것이 저것보다 좋아’와 같이 단순히 ‘보다’가 쓰인 문장에서는 13%가 ‘저것이 좋다’의 의미가 전제된다고 답한 반면, ‘이것이 저것보다 더 좋아’처럼 ‘보다 더’가 사용된 문장에서는 44.7%가 ‘저것이 좋다’가 전제된다고 답했다. ‘A가 B보다 P하다’의 결과는 한국인의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가 B보다 더 P하다’의 결과는 한국인의 결과(67.9%)와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치였다. 한편 ‘만큼’이 사용된 동등 비교 구문에서는 전체적으로는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인의 의미 지각 양상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정도성이 큰 대상을 비교 기준으로 삼을 때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에서는 한국인보다 20% 이상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larifying how international students perceive the meaning of comparative phrases and how their reasoning patterns differ from those of Koreans. To this end, a percep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20 foreign students, asking whether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 comparative phrases were correct for 25 Korean comparative phrases. As a result, foreign students responded that in sentences that simply wrote 'than ({boda})', such as 'this is better than that', 13% answered that the meaning of 'that is good' is premised on, whereas 'more than ({boda deo})' like 'this is better more than that' in the sentence where is used, 44.7% answered that 'that is good' is the premise. The result of 'A is P than B'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from that of Koreans, but the result of 'A is P more than B' was very low compared to the result of Koreans (67.9%).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meanings between foreign students and Koreans in the phrase for equality comparison in which ‘as much as’ is used. However, when using subjects with high degree of precision as a standard for comparison, it was found to be 20% or more lower than those of Koreans in the ratio that they perceived as appropriate.

      • KCI등재

        한국어 리듬의 등시성에 대하여

        오재혁(Jeahyuk Oh) 한국어학회 2015 한국어학 Vol.68 N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generate isochronism in the rhythm of Korean language as well as the units of the isochronism. To this end, 1) the number and length of syllables in conversational speech, 2) the number and length of eojeol (a word phrase unique in the Korean language) in conversational speech, and 3) the number and length of syllables in eojeols of conversational speech were measured using the Seoul corpus. The result showed that certain direct proportional relationships exist among the measured data, and, at the same time, that certain ranges exist in terms of the number of syllables and eojeols in order for those direct proportional relations to be established. It was also proved, by exami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length of eojeols and the number of syllables within each eojeol and etc., that the eojeols in conversational speech maintain a uniform length in time. In summar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inguistic element that forms isochronism in the rhythm of Korean language is the syllable, and that this phenomenon occurs because eojeol, the higher syllabic unit, has a tendency to temporal consistency during conversational speech.

      • KCI등재

        단모음의 길이에 미치는 인접 자음의 영향

        오재혁(Oh, Jeahyuk) 한국어학회 2017 한국어학 Vol.7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jacent consonants on the length of the vowels. For this purpose, 101,569 vowels were extracted by controlling all the deviations by the length of speech, the speed of speech, the number of syllables in one word, and the syllable length using Seoul Corpus. The differences of the vowel lengths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adjacent consonants were discussed through the average length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vowel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rticulation, the manner of articulation, and the type of voicing for each type of syllabl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nsonants had more influence on the vowel length in case of consonants, and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the consonants, [sonorant] in the articulation manner, [anterior] in the articulation place, [aspirated] in the phonation type, The length of the vowels changed greatly. Concretely, when vowels are adjacent to consonants with [+sonorant], [+anterior], and [-aspirated], the length of the vowel becomes longer and the vowel length is [+sonorant], [-aspirated], [+anterior] in the order of length.

      • KCI등재

        한국어 음운구 억양 유형의 변별적 특성과 변이 조건에 대한 연구 - 형태소 경계의 영향을 중심으로 -

        오재혁 ( Oh Jea-hyuk ) 영주어문학회 2022 영주어문 Vol.52 No.-

        이 연구는 한국어 음운구 억양의 변별적 특성과 변이 조건을 밝히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형태소 경계가 음운구 억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단어내부의 형태소 경계, 단어와 조사 결합에 의한 형태소 경계, 형태소 경계가 없는 단일어를 대상으로 실험 자료를 구성하였으며, 20∼30대 여성 표준어 화자 23명의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형태소 경계는 음운구 억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형태소 경계에 의한 음운구 억양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 었음에도 불구하고, 형태소 경계에 의한 영향보다 음절 수와 분절음의 종류가 더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음절 수가 많을수록 낮게 시작하는 음운구에서는 음운구의 30% 지점의 음높이가 높아지고, 높게 시작하는 음운구에서는 음운구의 70% 지점의 음높이가 낮아진다. 한편 이처럼 음절 수 구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 지점의 음높이 변이는 음절 수 구성보다 분절음 종류에 의한 영향이 더 앞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effect of morpheme boundaries on phonological intonation as part of the purpose of elucidating the distinguishing features and variability of intonation patterns in Korean phonological phrases. Experimental data were constructed for morpheme boundaries within words, morpheme boundaries due to word-particle combination boundaries, and simple words without morpheme boundaries and data from 23 female standard language speakers in their 20s and 30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pheme boundary did not affect the intonation. Although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rpheme boundaries, it was found that the syllable count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experimental words composed of various syllables.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as the number of syllables increased, the pitch at 30% of the phonetic phrase was higher in the phonological phrase starting low, and the pitch at the 70% point in the phonetic phrase starting high was lowered. In addition, the effect of segmental content was also confirmed. As such, the pitch variation at the point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the syllable count was found to be preceded by the condition of the segmental content rather than the composition of the syllable count.

      • KCI등재

        한국어 억양 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오재혁 ( Oh Jeahyuk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3 No.-

        이 연구는 한국어 억양 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향후 과제를 전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RISS에서 그동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억양 교육과 관련된 연구 논문 129편을 찾아 연도별, 학습자 언어권별, 연구 목적별 연구 논문 수 추이를 살폈으며, 연구 목적별로는 그동안의 연구 동향과 성과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는 교육 방법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과 ‘의문문’과 ‘종결 억양’을 넘어서는 학습자 억양의 문법적 기능 습득과 사용 양상에 대한 탐색, 학습자 억양의 화용 및 감정/태도적 기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중국어권 학습자 외에 다른 언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억양 교육 연구도 더 많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향후 연구 과제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rends of Korean intonation education and to forecast future tasks. For this purpose, 129 studies related to Korean intonatio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were searched for in RISS, and the research trends by year, learner's mother tongue, and research purpose were investigated. By research purpose, research trends and outcomes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is, I proposed five contents about the future tasks of Korean intonation education. I hope that more meaningful and more intricate intonation education research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KCI등재

        구어 자료에 나타난 부사의 공기 관계 및 네트워크 양상

        오재혁 ( Jea Hyuk Oh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8 No.-

        이 연구는 구어 자료를 대상으로 부사의 공기 관계 및 네트워크 양상을 살펴구어에서 부사의 사용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형적인구어 자료인 자유발화 말뭉치를 대상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부사를 선정한 뒤,t-점수(t-score)를 기준으로 각 부사가 말뭉치 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맺고 있는 공기어(co-occurring word)를 추출하여 그 양상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구어 말뭉치에서의 부사는 사용 빈도만 보더라도 문어 말뭉치에서의 사용 빈도와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구어에서는 부사와 부사, 혹은 부사와 감탄사 유형의 결합 관계가 매우 높았으며, 부사의 동어 반복이 특징적으로 관찰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강조를 나타내는 부사는 일련의 순서를 보이는 결합 관계 양상이 있다는 점과, 강조를 나타내는 부사나 담화 표지의 기능을 하는 부사들 간에도 그 정도성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rare is to analyze adverbs based on co-occurrence relation and networks which are constructed from spoken corpus. For this analysis, I inspect closely various aspects of the use adverbs with co-occurring words, after selecting most frequently used adverbs. Consequently, I find that use of adverbs in spoken corpus is much more than in written corpus and adverbs which represent emphasis have specific sequence in spoeken corpus. Also, repetition of adverbs in spoken corpus distinctively observed. This kind of approach to adverbs using co-occurring words reveal interesting semantic aspects which have not been captured bef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