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 영어 모음 체계의 몇 가지 지역 방언적 차이

        오은진,Oh, Eun-Jin 한국음성학회 2006 음성과학 Vol.13 No.4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vowel system of present-day American English and to discuss some of its phonetic variations due to regional differences. Fifteen speakers of American English from various regions of the United States produced the monophthongs of English. The vowel duration and the frequencie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formant were measur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vowels [c] and [a] has been merged in most parts of the U.S. except in some speakers from eastern and southeastern parts of the U.S., resulting in the general loss of phonemic distinction between the vowels. The phonemic merger of the two vowel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relatively small functional load of the [c]-[a] contrast, and the smaller back vowel space in comparison to the front vowel space.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F2 frequencies of the high back vowel [u] were extremely high in most of the speakers from the eastern region of the U.S., resulting in the overall reduction of their acoustic space for high vowels. From the viewpoint of the Adaptive Dispersion Theory proposed by Liljencrants & Lindblom (1972) and Lindblom (1986), the high back vowel [u] appeared to have been fronted in order to satisfy the economy of articulatory gesture to some extent without blurring any contrast between [i] and [u] in the high vowel region.

      • V-to-C Coarticulation Effects in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Russian: A Locus-equation Analysis

        오은진,Oh, Eun-Jin The Korean Society Of Phonetic Sciences And Speech 2007 말소리 Vol.63 No.-

        Locus equation scatterplots for [bilabial stop + vowel] syllables were obtained from 16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Russian.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Russian speakers of English and English speakers of Russian exhibited modifications towards respective L2 norms in slopes and y-intercepts. All non-native locus equations generated exhibited linearity. Accordingly, the basic results reported in [17] were reverified by securing a larger subject base. More experienced speakers displayed better approximations to L2 norms than less experienced speakers, indicating the necessity of perception- and articulation-related learning for allophonic variations due to adjacent phonetic environm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오은진(Eun-Jin Oh),박순아(Sun-Ah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인애착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J시, M시 소재의 간호대학생 685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1월 1일부터 25일까지 25일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성인애착은 7점 만점에 회피애착 4.80점(±0.91), 불안애착 4.51점(±0.76), 대인관계능력은 5점 만점에 3.51점(±0.49), 대학생활적응은 5점 만점 에 3.15점(±0.46)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은 대학생활적응(r=.437, p<.01), 대인관계능력(r=.585, p<.01)과 양의 관계이 었고,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r=.355, p<.01)과 양의 관계에 있었다.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증가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았으며(B=.225, p=.027), 대인관계 능력이 증가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고(B=.145, p=.040), 성인애착이 높아짐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이 높게 나타났다(B=.396, p=.021). 또한, 대인관계능력은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유의하게 매개역할을 하였다(Z=3.560, p<.001). 이에 대 한 설명력은 34.2%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을 포함하여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 whether or not interpersonal compet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85 college students located in J-si and M-si, and data were collected for 25 days from November 1 through 25,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obel test using SPSS 23.0. As adult attachment increased,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enhanced (B=.225, p=.027); as interpersonal competence increased, adjustment to college life improved (B=.145, p=.040); and as adult attachment increased, interpersonal competence increased (B=.396, p=.021). In addi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Z=3.560, p<.001). To enhance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need to be improved.

      • 능력중심사회에 기반한여성직업능력개발체계 분석 및 정책과제(Ⅱ)

        오은진(Eun-Jin Oh),최윤정(Yun-Jeong Choi),장희영(Hee-Young Jang),장명희(Myung_Hee J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Ⅰ. Research Objectives and Methods ○This paper is designed to analyze women’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ystems and to review related policy issues in connection with a competency-based society. In the process, it aims to study female youth’s achievements in career development, focusing on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policies for cultivating talents in a competency-based society. The main purposes hereof are to identify changes in women’s achievements in labor markets coming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into curricula for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and fluctuations in employment systems and culture, as well as the effects of related changes in universities and businesses on female youth’s achievements in career development. In connection therewith, new policy issues are also identified and reviewed.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such as the analysis of administrative DB, the survey of students, and the Delphi survey of professor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students, professors, and business staff, and on-site visits to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were used to look into the achievements of NCS-based curricula for junior colleges and of work-learning balance systems for four-year universities in labor markets and thereby to identify their policy implications. Ⅱ. In-Depth Analysi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Operation 1.Competency-Based Curriculum Operation and Female Employment: Universities ○Universities are found to have participated in work-learning balance systems to promote their students’ employment. However, some universities in Seoul took part in the system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academic world and the business community by developing business-centered curricula for departments, rather than to boost employment rates. ○Many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work-learning balance systems due to professors’ recommendations, universities’ promotion activities, and so forth. They are deemed to have joined the programs because of the fact that their employment is ensured after graduation, rather than due to the superiority thereof. ○Work-learning balance systems are also of help to businesses. Companies are shown to have taken part in the systems due to their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universities, the government’s subsidies, and labor supply. However, the degree to which NCS-based curricula are relevant to real jobs is found to have been very low. Students are shown to have failed to effectively recognize the relevance of real business courses to NCS-based curricula. ○Interviews do not show whether businesses participating in work-learning balance systems have discriminated against female students in terms of employment. However, university employees who play a role in matching students to employers state that female students have had more difficulties in landing job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showing that companies still have a prejudice against women in employment. 2. Competency-Based Curriculum Operation and Female Employment: Junior Colleges ○Most junior college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with curricula due to their high degree of relevance to real jobs.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tended to increase because learning activities were based on practice to help students acquire certificates. ○Junior college students with various educational and vocational experiences gave their opinion that NCS-based jobs are what the business community requires and therefore should be mastered while those who had entered junior colleges immediately after graduating from academic high school showed their limitation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r level of jobs required by the NCS.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능력중심사회에 기반한 여성직업능력개발체계 분석 및 정책과제의 2차년도 연구로서 청년여성들의 직업세계 이행성과를 능력중심사회에 필요한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의 정책을 중심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학 교육과정에서의 NCS의 도입과 함께 채용방식 및 문화의 변화 속에서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가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대학과 기업의 변화가 청년여성의 노동시장 성과에 어떻게 기능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정책과제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 전문대학에 전면 도입했던 NCS기반 교육과정의 운영과 4년제 대학에서 NCS기반 교육과정 도입과 함께 수행한 일·학습 병행제의 노동시장 성과를 살펴보기 위한 행정 DB 분석, 학생 대상의 설문조사, 교수 대상 델파이 조사, 학생·교수·기업 관계자 대상 초점집단면접, 그리고 대학 현장방문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Ⅱ. 청년여성의 직업능력개발체계 관련 현황 1. 청년여성의 경제활동 변화와 문제 ○ 우리나라 여성들의 경제활동은 과거와 비교해 보면 상당히 약진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여전히 30대에서 상당히 많은 여성들이 노동시장에서 사라지는 이른바 M 커브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 전문대졸 이상 학력에서는 지속적으로 여성 실업률이 남성에 비해 증가하고 있어서, 경제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자 하는 청년여성들의 의지는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 2016년도 기준, 전문대졸과 대졸 남녀 간 취업 격차는 상당하여, 최소 5%p 정도의 취업 격차를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경우, 직종이 과거와 비교해서는 다양해지고 있으나 여전히 도소매업, 숙박·음식업에 한정되어 있다. 또한 여성들은 5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 40% 정도가, 30인 미만의 사업장에 55.3%가 근로하고 있다. 소규모 사업장에 다수의 여성들이 근로한다는 것은 곧 남녀의 임금 격차로 이어지는 핵심 요인이 된다. 여성과 남성의 임금 격차는 여성이 남성 임금의 60%를 받는 것에서 좀처럼 변화하지 않고 있다. ○ 학력별 직업형태를 보면, 전문대학의 경우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무종사자의 비중은 감소하고 있다. 대신 4년제 일반대학에서 사무종사자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노동시장에서 4년제 일반대학과 전문대학 간의 갭이 크게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해석과, 과거 전문대학 졸업자들이 취업하던 사무종사직에 4년제 일반대학생들이 진입하고 있다는 것으로도 간주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고학력 여성들의 노동시장 상황이 점점 더 열악해지고 있음을 방증하는 결과이다. 2. 고등교육기관의 능력중심 교육과정 도입 정책 현황 ○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년여성들이 학교 졸업 이전에 취업에 필요한 다양한 스펙을 쌓는 것이 중요하며, 학교에서 직업세계 이행 과정을 최소한으로 하는 방법은 취업할 기업과 관련한 능력을 쌓아서 해당 기업에 취업하도록 하는 것이다. 대학 졸업자들의 취업상황을 살펴보면 더 이상 범용적 학문을 통해 자유로운 직업선택을 할 만큼 노동시장 여건이 좋지 않다. ○ 따라서 대학이 학생들의 취업을 위해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다양한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은 현재 대학들이 직면한 숙명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여전히 대학 교육과정과 산업계의 요구에는 상당한 괴리가 발생하고, 대학들은 범용적 지식을 가르치며 기업에 맞는 인재로 성장시키는 데 최소한의 노력을 하려고 한다. ○ 이런 현상들을 완화하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취업기회를 보장하며 이에 맞는 능력개발을 위해 NCS를 교육과정에 도입하고자 노력한 부분은 일정한 흐름이었다고 판단된다. - 대학과정에서의 NCS 도입 정책은 산업계가 원하는 인재양성을 통해 교육과 노동시장과의 괴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전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전문대학에서는 SCK사업에 주요 지표 항목으로 포함함으로써 대학들이 교육과정 변화를 추진할 동력으로 삼았고, 2016년까지 전체 SCK 참여 대학 학과의 83%가 NCS를 교육과정에 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부 유보학과를 제외하고는 전문대학 대부분의 학과가 NCS를 교육과정에 도입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정신건강, 대학생활적응, SNS 중독경향성 연구

        오은진 ( Oh Eun Jin ),안성아 ( Ahn Seong Aha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확인하고, SNS 중독경향성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SNS 중독경향성의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2곳의 대학에 재학 중인 29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0월 1일부터 20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Pearson`s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SNS 사용시간, 정신건강, 진로준비, 학업활동, 개인 심리로 나타났다. 즉, SNS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정신건강수준이 낮을수록, 진로준비, 학업활동, 개인 심리가 낮은 경우에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1.4%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실천과 스마트폰 SNS 중독경향성 예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prevent the SNS addiction tendency.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with focusing the psychosocial factors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targeted 290 college students attending two colleges. Data was collected from Oct 1 to 20, 2015.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NS usage time/day, career preparation, academic activity, mental health, and individual psychology wer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SNS addiction tendency. These variables explained the 21.4% of the SNS addition tendency`s vari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educing the SNS usage time and providing programs to enhance mental health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ould reduce the probability of the SNS addiction tendency.

      • KCI등재

        모음 공간의 크기 및 모음 변화에 대한 화자 성별의 효과: 한국어의 경우

        오은진 ( Eun Jin Oh ) 한국현대언어학회 2012 언어연구 Vol.28 No.3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vowel space size and vowel changes in Korean. Nine male and nine female speakers of Seoul Korean read [CVt] (C = [p, t], V = [i, e, ε, w, A, a, u, o]) in a carrier sentence. Female speakers demonstrated larger vowel spaces than male speakers as measured on the Hertz, Bark, and normalized Bark scales. Both male and female speakers displayed an overall raising of vowels compared to Yang (1996), The gender difference in F1 values was larger in the low vowel [a] than in high vowels, and the gender difference in F2 was larger in front vowels than in back vowels. Due to the fronting of [u] and the backing of [w], the overlap in F2 between [w] and [u] was considerable both in male and female speech. Due to the raising of [o], the overlap in F1 between [u] and [o] was also considerable. The merging of the vowels [e] and [ε] in Seoul Korean has been completed. Finally, there were indications that female speakers are leading changes in the vowel system of contemporary Seoul Korean as posited by Labov (1990).

      • KCI등재후보

        간호사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

        오은진 ( Eun Jin Oh ),성경미 ( Kyung Mi Su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2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대근무 간호사 253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한 것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1. 간호사의 성인애착,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 이제까지 국내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성인애착과 관련된 연구보고는 없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 성인이나 학생을 대상으로 한 몇몇 선행연구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대상자인 교대근무 간호사의 회피차원 평균점수는 2.65점, 불안차원 평균점수는 2.80점으로 같은 성인애착 도구를 사용한 일반 대학생 대상의 회피차원 평균점수 2.17-2.59점보다 다소 높고, 불안차원 평균점수2.50-2.92점과는 유사한 수준이었다(Jung et al., 2000; Lee & Jeon, 2009). 본 연구대상자인 교대근무 간호사의 성인애착유형은 두려움형(32.4%)이 가장 많았으며 안정형(31.2%), 무시형(18.6%), 몰두형(17.8%)순이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Hwang (2001)의 연구에서 안정형 36.0%, 두려움형 35.8%인 것과 Lee와 Jeon (2009)이 대학생의 애착유형으로 안정형 30.7%, 두려움형 31.4%로 보고한 것과 유사한 결과였다. 그러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Kim (2005)의 연구에서는 안정형이 64%로 가장 많았고 두려움형은 6%밖에 되지 않았으며,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Kaya (2010)의 연구에서도 안정형 33.9%, 두려움형 14.7%로 본 연구의 교대근무 간호사와 애착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본 연구대상자의 회피차원 평균점수가 다소 높게 나온 것과 관련이 있으므로 연구대상자를 확대하여 교대근무 간호사의 회피성향을 일반성인이나 다른 직업군과 비교해 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조직몰입은 지속적 애착을 통해서 조직 목표에 대한 강한 신뢰감과 열심히 일하려는 의지나 조직의 구성원으로 존속하려는 강한 욕망을 갖는 직장애착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데(Seo, 1955), 본 연구의 교대근무 간호사는 조직몰입 평균점수가 5점 만점에 평균 3.2점으로 같은 조직몰입 도구를 사용해서 간호사를 포함한 병원직원의 조직몰입을 측정한 Choi (2003)의 연구결과의 평균점수인 3.5점보다는 다소 낮았다.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병원조직의 생산성 향상에 중요한 것으로 개인에서 조직의 전반적인 특성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Lee, & Lee, 2009). 본 연구의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4점 만점에 평균 2.7점으로 Bong, So와 You (2009)의 고정근무자(>13%)를 포함한 간호사 직무만족 평균 2.6점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 외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3점으로 같은 도구를 사용해서 전체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한 Jung과 Do (2002)의 평균 3.87점과 Bong 등(2009)의 평균 4.3점보다는 낮았다. 즉, 본 연구대상자는 수간호사 등의 고정근무자를 포함한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 점수와 비슷했고 직무스트레스는 오히려 낮았다. 따라서 교대근무 간호사가 직업경험에 있어서는 전체 간호사 집단과 비교할 때는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앞으로 교대근무자와 고정근무자 간의 직무만족이나 스트레스 등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과 같이 성인애착에 관한 선행연구의 대상자가 다양하고 애착유형도 연구마다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여 본 연구대상자인 교대근무 간호사의 애착유형과 단순히 비교하기는 어려웠으나 교대근무 간호사의 경우 안정형보다는 두려움형의 애착유형이 더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려움형은 회피차원과 불안차원의 점수가 모두 높은 대상자로 상대에게 의지하거나 자신을 개방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상대방을 신뢰할 때 걱정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Jung et al., 2009). 따라서 환자를 대상으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치료적 의사소통을 해야 하는 간호사는 일반인보다 회피차원과 불안차원의 점수가 낮은 안정형의 애착유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두려움형의 간호사가 많은 것은 양질의 전문직 간호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간호사 개개인이 직업을 통해 자아실현을 성취하는데 저해요인이 될 수 있다. 2.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결과 안정형의 성인애착유형을 가진 간호사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다른 애착유형에 비해 유의하게 높고, 직무스트레스는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몰두형의 경우는 두려움형에 비해 직무만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무시형의 경우는 두려움형에 비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모두 유의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두려움형의 애착유형을 가진 간호사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안정형이나 무시형보다 유의하게 낮고 직무스트레스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다른 애착유형에 비해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안정적 애착을 가진 사람이 불안정한 애착을 가진사람보다 직무에 대한 정서적 몰입이 높고 전반적인 직무만족도가 높으며(Kim, 2005; Roh & Choi, 2008; Lee, 2007), 대인관계 만족도도 높다(Kim, 2005)고 보고한 여러 선행연구결과들과 일치하는 것이다. 한편 Hwang과 Choi (2002)가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배우자와의 안정적인 애착이 직무애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직무의 질에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것은 본 연구결과와 일부 상이한 결과였다. 본 연구대상자인 병원경력 2년차 이상의 교대근무 간호사가 다른 대상자들에 비해 두려움형의 애착유형이 많은 것은 이들이 24시간 지속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직·간접으로 간호를 수행 및 평가하며 항상 긴장상태에 있으므로 다른 직업인에 비해 지속적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기 때문일 수 있으나(Yoon, 2009)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교대근무자의 직업경험, 고정근무자와의 비교 등 다양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간호사 개인별로 성장경험과 특성에 따라 간호업무 부담을 크게 느끼거나 병원환경에 잘적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Yoon & Kim, 2006) 이러한 부정적인 직업경험이 성인기의 애착형성과 직업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도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종단적 설계의 성인애착 연구를 시도하거나, 둘째, 두려움의 애착유형을 가진 간호사를 대상으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 그 외 간호사를 대상으로 성인애착 유형별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를 비교한 결과 안정형의 애착유형을 가진 간호사는 두려움 애착유형보다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높고 직무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대상자인 교대근무 간호사는 안정형보다는 두려움형의 애착유형이 더 많았다. 이는 몇몇 연구에서 신규간호사의 스트레스가 대인관계로 인해 높아지고,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도 직원 간의 갈등이 요인임을 지적한 것(Yoon, 2009; Kim & Park, 2010) 등을 볼 때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간호사가 직무스트레스가 높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본 연구의 성인애착유형 중 두려움유형이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다는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는 안정형의 애착 증진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음을 일부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와 같이 성인애착을 증진시킴으로써 교대근무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은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는 줄이는 시도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실제 Kaya (2010)가 간호교육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안정형 애착은 높이고 불안정 애착은 줄인 것처럼 앞서 언급한 추후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간호사를 대상으로 성인애착 증진을 위한 중재방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논의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간호학 영역에서는 새로운 의미있는 시도로 부정적인 직업경험에 대해 병원환경개선이나 조직 관리자의 변화 등을 제언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간호사 개인의 내면적 성숙을 통해서 긍정적 직업경험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한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대상자가 일 지역병원 간호사로 한정되어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지만 병원 2년차 이상의 간호사 전수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성인애 착유형을 조사하여 간호사 배치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이를 평가해 볼 것을 제언한다. 예를 들면, 두려움의 애착유형을 가진 간호사의 경우 업무의 복잡성이나 대인관계의 어려움이 적은 근무환경이 좋은 곳으로 우선 배정하거나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업무 상담을 해줌으로써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를 통해서 간호사의 조기 이직률을 낮추려는 노력을 해볼 수 있다. 또한 업무특성상 불안감을 많이 경험하고 스트레스가 높은 임상 경력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는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안정형의 성인애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애착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해볼 것을 제언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ccording to nurses` adult attachment styl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measuring Adult attachment styl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53 shift nurses in a hospital. Results: There were security style (31.2%), dismissingavoidance (18.6%), preoccupation (17.8%) and fearful-avoidance (32.4%) among 4 attachment styles in these shift nurses.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M=3.2), job satisfaction (M=2.7) and job stress (M=3.3) were revealed. Subjects who were in security attachment styl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5.09, p=.002) and job satisfaction (F=13.02, p<.001) than subjects in fearful-avoidance attachment style. Meanwhile, this study showed that subjects who were in fearful-avoidance attachment style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job stress than subjects in any other attachment style (F=3.15, p=.026).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a relev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accordance with the attachment style of shift nurses.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for shift nurses. And nurses` attachment style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interventions to enhance quality of nursing care.

      • KCI등재

        청년층 여성의 경력단절

        오은진 ( Eun-jin Oh ),김소연 ( Soyeon K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2

        본 연구는 경력단절 여성의 분석 범위를 `청년층`으로 한정하여, 그들의 경력단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여성가족패널」1-4차 자료(2007-2012년)이며, 청년층 여성의 경력단절 양상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1차년도 자료에서 직업력 정보, 특히 경력기간을 확인할 수 있는 20-34세의 청년층 여성을 대상으로 4차년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생존분석 중, 경력단절 여부와 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에 적합한Andersen Gill Model을 적용하여, 경력단절이라는 사건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위험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층 여성은 종사하는 일자리의 사업체 규모가 100인 이상의 대규모인 집단에 비해, 10인 미만의 소규모일수록 경력단절의 위험률이 약1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상 지위를 반영한 일자리 유형별로는 시간제나 비정규직 일자리와 같이 전일제나 정규직에 비해 일자리의 안정성이 불리한 경우, 경력단절을 겪을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 경험에 의한 경력단절 위험률도 확인되었다. 청년층 기혼여성들은 비혼여성에 비해, 경력단절 위험률이 약 14배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결혼이 청년층 여성에게는 경력단절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료의 여성 응답자들이 기재한 자녀의 출생년도와 경력이 단절된 시점간, 혹은 경력유지자의 경우 관찰시점 간의 검토를 통해, 출산 시기 전후 1년 동안에 겪는 경력단절의 위험률이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현행 경력단절 여성 대상 정책이 청년층의 임신, 출산 이전 시점에서의 경력단절 예방 정책으로서는 미흡함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년층 여성이 경험하는 일자리의 질을 개선해야할 필요성을 함의한다. 노동시장에 초기 진입한 청년층 여성이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할수록, 시간제나 비정규직 일자리를 경험할수록, 동시에 결혼을 경험할수록 경력단절을 경험할 위험이 높다는 점에 주목하여, 여성이 중간관리자로 성장하기 전에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는 현상에 대한 개선정책과 심층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workplace conditions that influence women`s career discontinuity. The data used for this analysis is The National Women and Family Panel 1-4 data collected between 2007 and 2012 by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lso, in order to take a closer look into the pattern of young women`s career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unemployment), the analysis was centered on young women at age of 20 to 34 who has documented career records from the beginning of the career. As for the analysis method, Andersen Gill Model, one of the survival analysis methods, was chosen as a right approach considering that it is the most suitable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women`s career change or the duration of career continuity to identify main factors of career continuity (the employed) and unemployment or career change. The analysis indicates that female youth who worked for a small business with less than ten employees are 12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job discontinuity than the counterparts who worked at a large scale of businesses with more than 100 employees. However, young female part-timers or casual workers who do not have much job privilege are more likely to be unemployed. Additionally, It is also confirmed that marriage status affects job discontinuity; married women in youth have 14 times higher possibilities to put a halt to their career than unmarried counterparts. This result implies that getting married can undermine the career continuity of female youth, evidenced by the birthdate of Female respondents` children roughly coincides with the time at which they left the labor market. In contrast, the childbirth does not seem to have a substantive impact on the females` job discontinuity based on the data of women`s job status one year before and after their childbirth, suggesting that the current policy designed to support women`s career does not play an effective role in preventing women from forsaking their career due to marriage. This result implies that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working environments for young women. Taking into account that young women would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job discontinuity when their jobs are not secure and stable as a part-timer and casual worker and as they experience their one of the major life events;marriage, it is imperative that the policies be made to prevent women from leaving the labor market before they become a middle manager.

      • KCI등재

        간호대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오은진 ( Eun Jin Oh ),강향숙 ( Hyang Suk K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본 연구는 간호대 신입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간호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G시, J시 소재 간호학과 2곳의 신입생 190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5월 1일부터 5월 20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Program으로 기술통계, 독립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은 자아존중감, 간호사 이미지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사 이미지, 자아존중감, 간호학 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8.8%였다. 따라서 간호대 신입생들의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해 간호사 이미지 형성이 중요하며, 자아존중감과 간호학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간호교육 개선 및 학과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간호사 이미지가 낮은 간호대 신입생을 대상으로 간호사 이미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nursing education to enhance the nursing professional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0 freshman attending two nursing departments in G city and J city.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1, 2017 to May 20, 2017.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nursing professionalism correlated positively with self-esteem and nurse’s imag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nurse’s image, self-esteem, nursing satisfaction, and explanatory power was 38.8%.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mage of nurses and self-esteem and nursing satisfaction in order to enhance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freshman.

      •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개편방향 : 경력단절 예방기능 강화를 중심으로

        오은진(Eun-Jin Oh),박성정(Sung-Jung Park),장희영(Hee-Young J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서론 가.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새일센터의 기능 전면 개편과 관련하여 지역별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서비스 기능 강화, 경력단절여성의 특성을 살린 차별화된 서비스 기능 강화, 지역사회의 경력단절여성 대상 일자리 발굴 및 설계, 특히 대체인력과 관련한 일자리 연계 등을 통해 지역사회 여성의 전 생애에 걸친 경력개발 및 설계를 위한 종합 경력개발 지원센터로서의 새일센터의 타당성에 대한 부분을 검토하고자 한다. □ 기존 연구가 주로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지원체계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 등 경제활동촉진법 전면개정을 앞둔 상황에서 새일센터의 기능 개편을 목적으로, 현장을 점검하고 모니터링하는 차원에서 질적연구를 실시하여 새일센터의 경력단절 예방 서비스와 관련된 지점을 집중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경력단절여성 대상 서비스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주요 내용은 경력단절 발생 이전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서비스의 제공 현황, 경력단절 발생 초기의 경력단절여성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현황 및 조기 재취업을 위한 서비스 현황을 파악한다. 경력단절 발생이 예측되는 위험여성들에게는 해당 직장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경력복귀 서비스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새일센터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구체적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대상, 기업체, 경력단절여성 그리고 서비스 전달체계 담당자들을 통한 FGI 및 전문가 회의를 수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고용센터와 지자체 중심으로 경력단절 예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로를 개발하고 이를 새일센터에 어떻게 보급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새일센터의 경력단절 예방 및 지속적 경력개발을 위해 지역사회에서의 대체인력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고 관련 기업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 타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 연구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지역 내 여성고용서비스의 전달체계를 파악하고, 관련 기관 서비스 내용에 대해 인터넷 및 문헌을 통해 검토하였으며, 관련 기관 서비스 내용 이외의 보다 심층적인 내용은 현장 방문 시 인터뷰를 통해 보완하였다. 또한 정책 대상자들의 초점집단 면접을 통해, 기업에서의 경력단절여성 고용의 필요성 및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기업의 의지와 제도 또는 서비스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초기 경력단절여성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빠른 재복귀를 위한 서비스 욕구를 면접조사 분석하였다. 서비스 기관담당자들을 대상으로는 현재 재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내용 및 방법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절차의 타당성 등에 대하여 면접조사 하였고, 이를 토대로 향후 경력단절 예방 사업 영역에서의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위한 가능성을 점검하였다. 이외에도 관련부처 및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여 최종적으로 정책개발에 활용하였다. 또한 고용보험 DB, 노동통계, 일·가정 양립 실태조사(2015년) 등과 같은 양적 조사자료도 분석에 폭넓게 활용하였다. 1. Research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chieve the following three objectives. First, it aims to propose the policy by identifying what services have been offered to career-interrupted women in communities. Specifically put, the following four services are included: 1) career interruption prevention services; 2) services for women whose career has been recently interrupted; 3) services for helping career-interrupted women quickly get reemployed; 4) services for supporting women with a high risk of career interruptions to return to work. Second, this paper is designed to develop specific services that Reemployment Support Centers for Women (RSCWs) should provide to prevent women’s career interruptions. The third and final objective is to newly present the functions and roles of RSCWs as comprehensive service agencies for preventing career interruptions and promoting continued career development. With these objectives in mind, we also tried to identify the probability of replacements in communities to support career-interrupted women to quickly return to work, presenting the validity of the scheme via interviews with related busin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