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오진된 섬망 환자의 임상적 특징

        오유진,백수현,김민혁,민성호,박기창,안정숙,Oh, Eugene,Baek, Sue-Hyun,Kim, Min-Hyuk,Min, Seongho,Park, Ki-Chang,Ahn, Jung-Soo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4 정신신체의학 Vol.2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섬망의 오진과 관련된 임상적 특징 및 임상의를 오진으로 유도할 수 있는 증상적 특징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일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정신과에 협의진료 의뢰된 환자 중,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 의해 섬망으로 진단된 25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협진요청서에 명시된 사유를 검토하여, 의뢰의사의 진단이 섬망인 경우 진단일치군으로 섬망이 아닌 경우 진단불일치군으로 구분하였다. 결 과 69명(27%)이 진단불일치군으로, 섬망이 아닌 다른 진단으로 협진이 의뢰되었다. 진단불일치군에서 항정신병약물의 사용, 기질성 정신질환의 과거력이 많았다.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DRS-R-98) 중 증상의 변동 항목의 점수가 진단일치군에서 더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질환의 낮은 심각도, 항정신병약물 사용력, 적은 증상의 변동이 임상의가 섬망 외에 다른 진단을 고려하는 예측인자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항정신병약물을 복용중인 경우, 섬망증상의 변동이 적은 경우 오진의 위험이 높았다. 지연된 섬망의 진단과 치료는 환자의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임상적 관심이 필요하다. Objectives : Delirium of hospitalized patients is common and it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rate. Misdiagnosis rates of delirium are reported in a range of 36.7 to 63% in clinical setting. We aimed to identify the clinical features and symptomatic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misdiagnosis of delirium. Methods : Subjects were 256 inpatients who were referred for psychiatric consultation and diagnosed with delirium by a psychiatrist at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 and June 30, 2012. Clinical data were obtained with retrospective chart review. Patients were divided into misdiagnosed group and correct diagnosed group, after reviewing the reason which were described in the consultation request form. Results : Sixty nine(27%) subjects of the 256 patients were referred for other reasons(mood, substance, anxiety, dementia etc.) than "delirium/confusion" by clinician(misdiagnosed group). In misdiagnosed group, use of antipsychotics was more common.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ge, gender, and department of referring clinician. Fluctuation score of DRS-R-98 was higher in the correct diagnosed group. Conclusions : In this study, the risk of misdiagnosis was higher when the patients have taken antipsychotics or less symptom fluctuation. Careful clinical attention is needed for diagnosis for delirium in these patients.

      • KCI등재

        교육공동체의 핵심 가치·역량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준구(Kim, JoonKoo),이은상(Lee, EunSang),오유진(Oh, EuGen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서울 C여자중학교에서 사용할 교육공동체의 핵심 가치·역량(core values·competencies)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교육주체들(학생, 교사, 학부모)로부터 상향식(bottom-up)으로 도출된 학교가 추구해야 할 5가지 핵심 가치·역량(협력, 공감, 도전, 건강, 즐거움)중 협력, 공감, 도전을 본 연 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헌 및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협력, 공감, 도전을 각각 3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이에 상응하는 예비문항 29개를 1차적으로 도출하였다. 1차 전문가 검토를 통해 각 요인의 타당성에 대한 평정을 받았고 모든 요인에 대해 FVI(Factorial Validity Index)값 0.8이상이 나와 타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2차 전문가 검토에서는 29개 예비문항의 내용 타당도와 문항 수정의견을 받았으며 모든 문항에 대해 CVR(Content Validity Ratio)값 0.2이상이 나와 타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공통성 (communalities)과 수렴 타당도(convergent validity) 및 판별 타당도(discriminant validity)를 근거로 요인 탐색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5개 구성 요인(협력, 공감적 정서, 공감적 사고, 공감적 행동, 도전)과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 도구를 최종 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확정된 20개 문항은 모두 크론바흐 알파 계수(Cronbach alpha coefficients) 0.6이상으로 신뢰도(reliability)에 문제가 없었으며,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결과 다중공선성(multicolinearity)의 문제도 없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5요인 모형의 적합도(goodness of fit)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적합도 지수인 CFI와 TLI가 0.9이상, RMSEA가 0.1이하로 나타나 본 연구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ating scale to measure the school community’s core values·competencies for ‘C’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This study aimed specifically at developing a scale to measure three core values·competencies of collaboration, empathy, and challenging spirit out of five original ones derived from the collective opinions of it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hat additionally included joy and health as well. Each of the three selected core values·competencies were operationally defined as consisting of three sub-elements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literature review and rigorous logical reasoning, which led to the initial derivation of 29 questions regarding the constructs. Then, the constructs were assessed by the selected 5 expert panelists and turned out to be valid with each construct’s FVI(Factorial Validity Index) score reaching above 0.8. The 29 question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constructs, also underwent expert panelists’ thorough review not only for checking its content validity but for obtaining feedback on question revisions. As a result, all of the questions reached 0.2 score of CVR(Content Validity Ratio) that was set as a cut-off point for content validity. Subsequently, the scale was statistically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two yardsticks of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by conducting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EFA reduced the 29 questions belonging to the 9 factors to the 20 questions and 5 factors. In addition, the scale was found to be highly reliable as the questions’ Cronbach alpha coefficients reached above 0.6,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provided robust evidence that there was no problematic issue of multicolinearity. As for the goodness of fit, the CFA confirmed that the 5-factor-scale satisfied 3 indices of CFI, TLI, and RMSEA respectively.

      • KCI등재

        학교 내 ‘실천가이자 연구자로서의 교사’ 프로젝트 사례 연구

        이은상(Lee, EunSang),김준구(Kim, JoonKoo),오유진(Oh, EuGen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학교 내에서 현장연구하는 교사들의 경험과 이들을 바라보는 학생들의 인식을 이해함으로써 학교 내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단위학교에서 ‘실천가이자 연구자로서의 교사’ 프로젝트에 참여한 교사들의 연구활동에 대한 인식과 경험의 특징, 촉진 및 저해요인, 학생들이 경험한 효과와 인식을 교사 10인과 학생 4명을 대상으로 5개월 간 심층인터뷰를 통해 살펴 보았다. 그 결과, 교사들이 참여한 현장연구의 특징은 현실문제 개선으로부터 출발 한 연구, 실용성과 과학성 사이의 다양한 스펙트럼, ‘공유에 의한, 공유를 위한’ 연구로 나타났다. 단위학교 내에서 교사들의 연구활동을 촉진하는 요인은 도전을 허용하는 자유로움, 연구가 일상이 되는 학교문화, 멘토로서의 연구동반자였으며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바쁜 일상, 동료에 대한 의식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교사와 학생과의 공감대 형성, 수업개선, 연구결과 공유에 대한 기대감과 더불어 실천가이자 연구자로서의 교사들을 롤모델, 평생학습자, 미래교육 발전의 밑거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단위학교 차원에서 현장연구를 촉진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실천가이자 연구자로서의 교사상을 정립하고, 교사 연구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제도적 지원 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as to action research by trying to understand the teachers’ experiences of it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teac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hich adopted qualitative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in order to ensure vivid and detailed descriptions, examine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ction Research Teacher Project’ in relation to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action research, factors that facilitate or impede it, and students’ perspectives on those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an action research was largely motivated by the perceived immediate needs to improve the local reality facing the teachers in their own contexts of teaching, and it ranged from immediate practical value to rigorous scientific/academic standards in terms of what each teacher put an emphasis upon in their quest for a research. Another thing to consider regarding an action research was that the teachers thought the research findings should be shared. A factor that facilitated action research in a school was found to be an atmosphere where taking on a new challenging task was recommended and implementing research was regarded as a part of their pedagogical duties. The presence of mentors as a research partner also played a role in promoting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in action research. On the other hand, lack of time and consciousness of colleagues impeded an action research. Students had positive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the teachers who implemented action research. All in all,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construct a support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ystem that might lay foundation stones for expanding teachers’ role into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