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교과서 개발 방향에 대한 고찰

        오세섭(Oh, Se Seop)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8 씨네포럼 Vol.0 No.29

        그동안 영화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연구의 영역이 확대되었지만 상대적으로 영화교육에 관한 연구는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더욱이 영화교육의 학습 내용을 담고 있으며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매개물이라 할 수 있는 영화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먼저 영화교과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동안 영화교과서는 인정교과서 방식으로 개발되었으며, 전문 교과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영화교육의 체계가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서술의 범위가 분명하지 않고 다양한 개념과 내용이 혼재되어 있다. 좋은 영화교과서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교과서 편찬 준거를 확인하고, 전문 교과, 독립 교과 그리고 통합 교과 형태의 영화교육에 따라 교과서를 구분해서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 집필진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현대 교육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필름 리터러시, 인성교육의 개념까지도 포함하여 쉽고 재미있게 기술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이러한 영화교과서를 만들기 위해서는 교과서 개발 전담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당분간 인정교과서의 방식으로 교과서를 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와 통합 교보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좋은 영화교과서를 만든다면 공교육 내에서 영화교육의 활성화가 촉진될 것이며, 영화연구의 영역 또한 확장될 것이다. Although there has been active progress and an expand in the area of research of film studies, less interest has been given to the study of film education relatively. Furthermore, the study of film textbook, which carries the content of education of film and could be said as a medium between the educator and the learner, is merely found. In this study, first of all, we will examine film textbooks in order to activate film education. Film textbooks have been developed in a form of an authorized textbook, and is used for professional education. However, since the system of film education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he scope of narrative is not clear and various concepts and contents are mixed. To make a good film textbook we should fundamentally identify the textbook compilation standards, and separately develop the textbook agreeable to the ways each as a film education as a professional art education, a film education as a regular subject, and a integrated film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And we should also try to secure a professional writing staff and should include the idea of the film literacy and human nature education and describe it easy and entertainingly. In order to create such a textbook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For the time being, it would be good to produce textbooks in the form of recognized textbooks.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teacher"s guidebooks and integrated learning resources. Making a good film textbook like this will stimulate the activation of film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and the field of film research will also expand.

      • KCI등재

        청소년 제작 영화에 나타난 자기표현으로서의 재현의 의미

        오세섭(Oh, Se Seop)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0 씨네포럼 Vol.0 No.35

        청소년이 영화를 만드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 자기표현이라는 목적으로 귀결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영화의 목적을 특히, 재현이라는 관점에서 탐구하고 있다. 재현은 단순히 되풀이하는 것이 아니라 사건이나 풍경을 반복해서 떠올리는 행위이다. 논픽션을 다루는 청소년영화에서 재현 행위는 청소년 자신이 경험한 사건에 대해 생각할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사건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영화에서의 재현 과정을 통해 청소년은 자신의 상처를 치유한다. 어떤 청소년은 자신이 경험한 사건을 다른 친구들과 공유하고 이를 통해 대리 만족을 경험하기도 한다. 영화를 만드는 청소년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재현 과정을 지켜보는 교사나 주변인 또한 영향을 받는다. 그들은 청소년이 영화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변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자신도 함께 변하는 경험을 한다. 이렇게 청소년영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의 양상은 얼핏 영화치료나 영화교육에서 추구하는 결과와 비슷해 보인다. 그러나 영화치료와 영화교육이 기성세대가 주축이 되어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육에 가깝다면, 청소년영화는 청소년이 자발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행위에 속한다. 따라서 청소년영화는 청소년 스스로 자신을 변화시키고 성장하려는 목적에서 자발적으로 실천한 표현 행위라는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앞으로 청소년영화에 대한 연구는 청소년 본질에 대한 탐구뿐만 아니라 영화 연구의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연구의 길잡이가 될 것이다. There are many reasons why teens make movies, but most of them have the purpose of self-expression.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ores the purpose of youth films made by teenagers from the perspective of representation them. Representation is not simply an act of repeating itself, but an act of repeatedly recalling cases or landscapes. In a youth film about nonfiction, the act of representation takes time to think about the cases experienced by the youth themselves. And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look at cases objectively Through the representation process in the movie, the teenager heals his or her wounds. Some teenagers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other friends and experience vicarious satisfaction. Not only the youth who make the film, but also the teachers and the others who watch the youth"s representation process are affected. They experience a change in themselves as they watch teenagers change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movies. At first glance, the effects of youth films seem to be similar to those who sought by cinema therapy and film education. However, if cinema therapy and film education are close to education for teenagers, then youth films are among the acts that teenagers voluntarily express themselves. Therefore, it may be meaningful to say that youth film is expressions that are practiced for the purpose of changing and growing themselves. Research into youth film can expand the scope of film research as well as exploring the nature of youth and will guide various studies going forward.

      • KCI등재

        고교학점제에서의 영화교육 방향

        오세섭(Oh, Se Seop)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5

        2025년 시행 예정인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교과 선택권을 존중하여 다양한 교과를 개설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다. 그러므로 영화 교과가 공교육에 진입할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서 영화교육은 다음과 같이 고교학점제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준비해야 한다. 첫째, 영화교육의 운영 유형을 생각해야 한다.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이 원하는 교과를 개설할 수 있으나, 신청자가 많지 않을 경우 다른 학교와 연계하거나 지역의 미디어센터, 대학과 협력하여 교육과정을 개설할 수 있다. 이렇게 지역 시설과 연계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영화교육의 교육과정을 정립해야 한다.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의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러므로 영화교육은 어떤 교과를 편성하여 진로 선택을 도울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셋째, 교육 방법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영화교육은 기본적으로 프로젝트 중심학습(Project-Based Learning)에 알맞은 교과이다. 이를 바탕으로 하되, 원격교육 등 다양한 교육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교재 및 교보재 개발에 노력해야 한다. 고교학점제는 보편적인 교육과정이므로 값비싼 장비 대신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교재와 교보재를 만든다면, 학생에게 더욱 쉽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교 · 강사 수급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먼저 기존 교원에 대한 연수 프로그램을 만들고, 영화전공자를 강사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영화교육이 활성화된다면, 청소년의 진로 선택에 큰 도움이 될 것이며 영화 전공자의 취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청소년과 교감하여, 미래의 영화 관객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is scheduled to take effect in 2025, is a curriculum that allows students to open various courses in respect of their choice of curriculum. Therefore, the film curriculum is also a good opportunity to enter public education. Accordingly, film education should prepare a curriculum that meet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follows: First, we have to think about the type of operation of film education. Unde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s can open courses they want, but if there are not many applicants, they can open curricula in conjunction with other schools or in cooperation with local media centers and universities. Such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link them with local facilities. Second, the curriculum of film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Unde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s’ choice of subjects based on their career path is important. Therefore, film education should consider which subjects to help students choose their career paths. Third, we should discuss the method of education. Film education is basically suitable for Project-Based Learning. Based on this, various educational methods, including remote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Fourth,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textbooks and learning resources. Sin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a universal curriculum, it would be easier for students to reach out to them if they made smart phone-based textbooks and learning resources instead of expensive equipment. Fifth, we need to prepare a supply and demand plan for teachers and instructors. First of all, we need to create training programs for existing teachers, and make plans to use film majors as instructors. If film education is activated through these efforts, it will greatly help youth choose their careers and affect the employment of film majors. And It could also foster future movie audiences by interacting with teenagers.

      • KCI등재

        SF 영화에서 기억의 재현 혹은 허구의 기억을 포장하는 방식

        오세섭(Se Seop Oh)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3 지식과 교양 Vol.- No.11

        인간과 복제인간,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인격체가 존재하는 SF 영화에서는 등장인물의 기억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들의 기억은 영화적 기법을 통해 회상 장면으로 재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억을 재현하는 방식을 시각적 형상화, 몽타주, 대사 등으로 분류하고 이에 해당하는 SF 영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억의 재현 기법이 어떤 식으로 관객에게 작용하는지 알아보았다. <산책하는 침략자>(2017)와 <오블리비언>(2013)에서는 시각적인 유사성을 통해 기억의 진실과 허구를 뒤섞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페이첵>(2003)과 <애프터 양>(2021)에서는 회상 장면을 등장하는 시간대를 달리하여 감춰진 기억을 찾는 과정을 담았다. 그리고 <토탈 리콜>(1990)과 <더 문>(2009)에서는 다른 사람의 말을 통해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는 장면을 담고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된 기억은 자아정체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거나 사건을 진행하는가 하면, 반전의 요소가 되기도 한다. 궁극적으로는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전달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회상 장면에서 나타난 영화의 표현 기법을 알 수 있으며, 재현의 완성도가 관객의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In science fiction (SF) films where various personalities such as humans, cloned humans, and androids exist, the memory of the characters often plays an important role. Their memories are represented as flashback scenes through cinematic techniques. In this study, the methods of representing memories are classified into visual imagery, montage, and dialogue, and corresponding SF films are examined. Then I look into how the representation technique of memory works on the audience. In Before We Vanish (2017) and Oblivion (2013), a method of mixing the truth and fiction of memories was used through visual similarity, and in Paycheck (2003) and Miss Yang (2021), the process of finding hidden memories appears by changing the time when the flashback scene is put in. In Total Recall (1990) and Moon (2009), there are scenes in which memories of the past are recalled through the words of others. Memories represented in various ways become a criterion for judging selfidentity, progressing an event, or becoming an element of reversal. Ultimately, memories convey the theme the film wants to talk about.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know the expression technique of flashback scenes shown in movies,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completeness of reproduction on the audience's immersion.

      • KCI등재

        Z세대 청소년영화에 나타난 영화교육의 시사점

        오세섭 ( Oh¸ Se-seop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1 아시아영화연구 Vol.14 No.3

        Z세대는 1990년대 후반 이후에 출생한 사람들로, 현재의 청소년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들은 타인보다 개인의 삶을 중요하게 여기지만, 사회 변화에 관심을 두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도 한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와 함께 성장하였으며, 스마트 폰이나 온라인 활동에 익숙하다. Z세대가 만든 청소년영화는 과거 청소년영화와 다르다. 자기 생각을 가감 없이 드러내는가 하면, 장르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한다. 제작 방법도 새롭다. 기존의 제작 방식에서 벗어나 있으며, 스마트 폰에 최적화된 영화를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Z세대 청소년과 청소년영화의 특성은 영화교육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물 위주의 제작 관행에서 벗어나 다양한 장르 영화를 제작하는 등 제작교육의 내용이 바뀌어야 한다. 둘째, 현재 영상미디어 환경을 반영하여 영화 형식의 유연화와 제작 방식의 다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셋째, 교수자의 인식이 변해야 한다. Z세대 청소년의 특성을 이해하고 충분히 지원하되, 스스로 성장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렇게 Z세대 청소년의 특성에 따라 영화교육이 달라진다면,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는 한편, 학습자의 욕구 또한 충족할 수 있을 것이다. Generation Z known as zoomers was born after the late 1990s, so most of them are still young. Particularly, they value individual life more than others, but they are interested in social change as well and actively participate in many fields. They have also grown with digital media and are familiar with smartphones and online activities. Films made by Generation Z are different from youth-made films in the past. They reveal their thoughts frankly and strive to rea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Their production method is also new and fresh. It deviates from the existing production method and sometimes makes movies optimized for smartphones. Thes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and their film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film education. In summary, it i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f production education should change, such as producing films of various genres, away from the production practice centered on a growth narrative. Second, it is necessary to pursue flexibility in film format and diversification of production methods by reflecting the current video media environment. Third, the perception of the instructor must change. Understand and fully support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but wait until they grow on their own. If film education va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it will be possible to meet learners’ needs by respon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 KCI등재

        유통자 중심의 영상문화운동 사례 연구

        오세섭(Se Seop Oh),한상헌(Sang Heon Han)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6 언론과 사회 Vol.24 No.4

        유통자가 중심이 되는 문화운동과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그동안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유통자는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능동적인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파급력 또한 매우 크다. 이러한 적극적인 유통자는 최근 독립서점이나 작은 영화관 운동 등을 통해 나타나고 있으며, 각 분야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영상문화운동에서 유통자 중심의 운동은 이미 1980년대 말 비디오 대여업계에서 시도되었다. 당시 부정적 인식이 팽배했던 비디오 대여업은 영상 산업의 발전 속에서 성숙한 비디오 문화를 위한 노력을 요구받았다. 당시 몇몇 비디오 대여점주들은 서울YMCA의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뒤 자발적으로 ‘으뜸과 버금’이라는 회원모임을 발족했다. 이들은 기본적으로는 자영업자였지만, 상업적 이익보다는 공익성을 우선시하여 다양한 영상문화운동을 전개했다. ‘으뜸과 버금’은 기존 비디오 대여점의 퇴폐성을 제거했으며, 지역의 영상문화 거점이 되고자 노력했다. 또한 ‘좋은 비디오’를 선정하여 추천했고, 고전영화와 예술영화를 직접 배급했으며, 비디오 유통 구조를 개선하고자 했다. ‘으뜸과 버금’의 이러한 활동은 동시대의 다른 비디오 대여점에 영향을 끼치면서 비디오 대여업 전체를 변화시킬 수 있었고, 더 나아가 1990년대 국내 영상문화의 확산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으뜸과 버금’의 활동과 그들이 남긴 시사점들은 문화자본의 독점이 심화되고 있는 현재, 문화운동의 지향점에 관한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It was not noticeable so far distributor’s cultural movement and its importance became the center. Distributors can be active bridge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ccordingly this, ripple effect is very high. These active distributor has appeared from independent bookstore or small theatre movement and rapidly expanded in various field. In visual-culture movement, movement by distributor already tried video rental industry in late 1980’s. At that time, video rental industry was received negative recognition and asked to create culture of mature video. Thereabout some video rental shop owner completed training education course, voluntarily has made a group ‘Eutteumgwa Beogeum’. Even if they have been owner, rather than commercial interests, in favor of the public interest, have evolved various video-culture movement. ‘Eutteumgwa Beogeum’ has removed the decadence of existing video rental store and tried to become a hub of local visual-culture. Also they have selected and recommended ‘good video’, distributed classic film and art film, and tried to improve video rental system. These Activity of ‘Eutteumgwa Beogeum’ affected the other video rental shops so changing entire video industry, besides they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domestic video culture in in 1990’s. Activities of ‘Eutteumgwa Beogeum’ and their footprints are possible to be deemed as a important point regarding as a direction of culture movement.

      • KCI등재

        비대면 영화교육에 대한 전망: 불편한 인식에서 적응으로의 전환

        오세섭(Oh, Se Seop)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8

        비대면 교육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교육을 지속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올랐다. 그러나 사람들은 여전히 비대면 교육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다. 비대면 교육은 뭔가 부족하고, 다가가기 어렵고, 낯설다는 인식이 크기 때문이다. 영화교육에서도 마찬가지다. 공동작업을 기반으로 하는 영화교육은 비대면 상황에서 영화교육의 특성을 드러내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대면 교육은 앞으로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교수자와 학습자는 이미 비대면 교육의 장점을 경험하였으며, 학교는 교육 기반을 구축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2025년에 실시될 고교학점제에서 비대면 교육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비대면 영화교육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비대면 영화교육을 향한 불편한 시선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참여자 인식의 혼란, 커뮤니케이션의 약화, 영화교육의 효과 감소를 이에 대한 원인으로 분석하였다. 더불어 비대면 영화교육의 정착 방안을 고찰하였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의 인식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화상 수업 프로그램 기능 활용, 현실감을 제공하는 학습공간 구축 등 비대면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셋째, 비대면 교육 환경에 적합한 교수법과 교육내용을 개발하여, 영화교육의 효과를 키워야 한다. 이렇게 비대면 영화교육이 안착하여 확실한 교육체계를 갖춘다면, 향후 영화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며, 교수자는 물론 학습자와 한국 사회를 위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Online education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continuing education in Covid-19 situations. But many people still does not like online learning. This is because there is a great perception that face-to-screen learning is lack and difficult to approach, and unfamiliar. The same is true of film education. This is because film education based on collaboration is difficult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film education in a face-to-screen situation. Nevertheless, online education is likely to continue in the future. This is because we have already experienced the advantages of face-to-screen education and have established educational infrastructure. Furthermore, this education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be implemented in 2025. Therefore, it is time for discussions to establish and revitalize online film education. In this study, we first looked at the uncomfortable view of face-to-screen film education and analyzed it as the cause of the confusion of perception, the weakening of communication, and the reduction of the utility of film education. And I considered the way to establish online film education. These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s need to be chang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promote communication-based on online environments, such as utilizing functions of online live classes and establishing a learning space that provides a sense of reality.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s suitable for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s to enhance the utility of film education. If face-to-screen film education is established and a solid education system is established, it will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film education in the future, and it can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for professors but also for learners and Korean society.

      • KCI등재

        코로나 혹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청소년 영화교육

        오세섭 ( Oh Se-seop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0 아시아영화연구 Vol.13 No.3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기존의 교육체계가 흔들리고 있다. 영화교육도 마찬가지다. 방역이 강화됨에 따라 공동작업을 중요하게 여기는 영화교육은 그 특성을 잃어버린 채 표류하고 있다. 그러나 위기는 곧 기회이다. 코로나 대유행 시대의 특이성을 바탕으로 오히려 영화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코로나 대유행 시대의 교육은 비연속성과 분절을 특징으로 한다. 방역상황에 따라 수업이 중단되거나 비대면 수업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대면 교육과정, 모듈형 교육과정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교육 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 특히 화상 수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교재와 교보재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유형, 무형의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무엇보다 교ㆍ강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교육이란 결국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이기 때문이다. 이런 사항을 고려하여 코로나19 혹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영화교육 방향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COVID-19 pandemic is shaking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The same goes for film education. As quarantine is strengthened, film education, which values collaboration, is drifting away with its characteristics lost. But a crisis is an opportunity. Based on the specificity of the COVID-19 era, a new paradigm of film education can be built. To that end,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measures. First, education in the COVID-19 pandemic era features non-continuity and division. This is because classes are suspended or changed to non-face-to-face classes depending on the quarantine situation. Therefore, non-face-to-face curriculum and modular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a new perspective on how to educate is needed. In particular, research on real-time video conference is needed. And we should break away from stereotypes about textbooks and learning resources and develop tangible and intangible textbooks. Above all, the role of teachers and instructors is important. Because educatio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fter all. With this in mi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youth film education in the COVID-19 or post COVID-19 era.

      • KCI등재

        청소년 영화교육 정책에 관한 고찰

        오세섭(Se Seop Oh),이아람찬(Aramchan Lee)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4 지식과 교양 Vol.- No.14

        본 연구에서는 2010년대 이후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화교육 정책연구를 중심으로, 영화 공교육 활성화 정책을 짚어보고 이에 대한 의의와 한계를 짚어본 뒤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화교육 정책연구는 영화 공교육을 공론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화교육 교육과정을 구축했으며, 영화교육 중점학교를 운영하는 등의 성과도 있었다. 그러나 한계도 존재한다. 연구 결과를 뒷받침할 실행력이 미흡했으며 영화교육 중점학교 또한 더 이상 확대되지 못한 채 중단되고 말했다. 또한 영화교육에 대한 영화진흥위원회의 인식이 산업적 차원에서 머무르고 있다는 아쉬움도 있다. 향후 영화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가용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정책연구와 교재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 둘째, 교‧강사 네트워크 구축에 노력해야 한다. 셋째 영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는 영화진흥위원회가 지금까지 추진했던 영화교육 정책의 아쉬운 점을 보완하고 영화 공교육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 방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Korean Film Council (KOFIC)’s film education policy research since the 2010s. Our examination delves into the policies aimed at revitalizing film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by highlighting their significance and identifying limitations, and ultimately proposes a new plan. Initially, KOFIC’s film education policy research is noteworthy for its role in making film education more accessible to the public. Achievements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a film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operation of a film education focus school. However, certain limitations exist. The implementation capacity to support the research findings was insufficient, and the film education focus school was discontinued without the possibility of further expansion. Additionally, there is a sense of regret regarding KOFIC’s perception of film education, which remains predominantly at the industry level. A shift in policy is therefore imperative to rejuvenate film education in the future. The proposed changes are as follows. First, focus should be on policy research and textbook development, effectively utilizing currently available resources. Second,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 establishing a robust network of teachers and lecturers involved in film education. Third, a fundamental shift is needed in the perception of film education. By implementing these changes, we aim to address the shortcomings identified in KOFIC’s film education policy and pave the way for a more comprehensive and effective approach to public film education.

      • KCI등재

        미디어교육이 사회의식에 미치는 효과 연구 : 학교뉴스 제작교육을 중심으로

        한상헌(Sang-Heon Han),오세섭(Se-Seop Oh)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20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10 No.3

        본 논문에서는 ‘학교뉴스제작경진대회’라는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수용자의 관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학교뉴스’ 제작이 청소년의 사회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회 참가자 158명을 설문조사 대상으로 설정하고, 참가자들과 같은 학교, 학년에 재학 중이면서 대회에 참가하지 않은 130명도 비교 집단으로 함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참가자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결과 ‘학교뉴스제작경진대회’ 참가자들은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하면서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소통, 미디어에 대한 신뢰감이 상승하였으며, 정치적 관심과 정치 참여 의식이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참가자들이 뉴스와 사회현상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가공된 뉴스에 대해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되었으며 비판적 사회 인식으로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용자의 관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연구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media literacy program called School News Production Competition and examine the effec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audience. Specifically, it examines how the production of school news affects the social consciousness of youth. For this purpos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158 participants in the survey and 130 students similar to 158 participants. In addition,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0 participants. Participants in the School News Production Competition appeared to have increased their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social communication through media, confidence in media, political aware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the interviews, participants became more interested in news and social phenomena and critically analyzed the processed news, and it was found that this was extended to critical social awar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ly to serve as a basis for studying media literacy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