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프로젝트 리더십 역량 차이와 성과 간의 관계

        염준규 한국프로젝트경영학회 2014 한국프로젝트경영연구 Vol.4 No.1

        본 프로젝트 운영이 기업의 전략적 도구의 일환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그 결과가 언제나 긍정적이지는 못하다. 실패하는 프로젝트의 경우 기술적인 측면 외에 인적 측면의 요인도 매우 주요하게 작용하며,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량은 성공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 소재한 IT 서비스 회사에 종하는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리더십 보유 역량과 참여했던 프로젝트의 성과에 관한 설문을 실시한 후 수거된 자료를 분석했다. 프로젝트 성과 수준에 의거하여 구성 한 두 집단(고성과 집단-저성과 집단)을 토대로 프로젝트 리더십 역량 수준과 성과 간의 판별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리 더십 역량 보유 수준이 높으면 고성과 집단에, 반대로 리더량 역량 보유 수준이 낮으면 저성과 집단에 포함되는 정도가 유의 미했다. 또한, 고성과 집단과 저성과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리더십 역량의 8요소 각각에 대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했 다. 그 결과, 두 집단 간에는 리더십 개별 요소 별로 역량 보유 수준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집단 간에 가장 역량 차이를 많이 보인 요소는 동기부여와 성공확신 및 몰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프로젝트 리더십 역량이 프로젝트 성 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다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며, 아울러 프로젝트 고성과 집단과 저성과 집단을 구분하는 역량의 특성을 설명한다.

      • KCI등재

        프로젝트 리더십 역량 진단 도구 개발 연구: IT 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염준규,정은경,손영우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4

        A project is being importantly applied to many companies in order to achieve their business objectives effectively such as developing new product, improving production process, and creating new organizational culture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management environment, as well as an enterprises whose business is substantially operated with project-based teams. Significance and weight that a project possesses in enterprise got bigger. And the project management became key activities. However, what a project maintains high performance is a challenging task owing to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project itself and to the challengeable external environments. Therefore many projects did not meet the goals and objectives. A reason that projects fail to obtain the expected achievement is especially attributed to human factors. In other words, many projects were unsuccessful when team members ignored principle of management. A project manager, who is placed in the environment of performing a complex and technology-intensive task is asked to have social capabilities as well as merely having technical ones. A project manager needs to be thoroughly equipped with capabilities for well dealing with diverse and sometimes conflicting demands. The effective leadership displayed by these people is very important in being successful in project. This is because a project manager’s leadership has influence upon giving motive to team members and upon making devotional effort and action. Is a project manager’s leadership same as leadership of guiding the first-line functional organization, if so? The leadership of being exerted by a project manager can be considered to essentially belong to big category of general leadership. The leadership competence for project manager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for line manger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project managers and line managers are originally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missions, roles, and responsibilities. A functional unit team is characterized by being in charge of the programmed task, by performing with establishing a unit goal, and by being operated continuously in the long term. On the other hand, a project team performs task of centering on achieving a relatively new and non-programmed goal or solving problem compared to the functional unit team. This study has two main purposes. The one is to develop the diagnostic tool of leadership competence for project managers. The other one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dership competence of project managers on performance outcomes of the projects they have carried out. To develop the diagnostic tool of the competence level of project leadership, project managers who have worked for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in Korea were interviewed and surveyed. As a result, a diagnostic tool composed of 8 competencies and 34 behavioral indexes was developed.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diagnostic tool was evaluated as compared with the other diagnostic tool used to measure the general leadership competence. In addition,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diagnostic tool was evaluated by relating the measures of project leadership competence to the performance measures of project leaders. The results supported that our diagnostic tool of leadership competence is a valid tool especially for evaluating the competence level of project lea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First, The competence, which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are the key leadership elements that a project leader needs to express with action by having the focus in light of performing project. Second, it suggested a valid diagnostic tool for diagnosing project leadership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irst attempt of proposing competence elements and diagnostic indexes on leadership that a project manager expresses with action. Third, the diagnostic tool can be used to dev... 기업 내에서 프로젝트가 갖는 전략적, 사업적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전반을 이끄는 프로젝트 관리자는 과업 성패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그런데,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과 역량은 일선의 리더와 매우 다르다. 이는 프로젝트 관리자와 일선 리더는 그들의 임무, 역랑 및 책임 측면에서 근본적으로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으로 진행됐다. 하나는 프로젝트 리더십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진단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만들어진 진단 도구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먼저, 프로젝트 리더십 역량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해 국내 대형 IT 서비스 업체에 종사하는 프로젝트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8개 요소의 34개 진단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가 개발됐다. 이 도구에 대해서 신뢰도, 변별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기존의 일반 리더십 진단 도구와 차별성이 있는 도구임이 검증됐다. 다음으로, 개발된 진단 도구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리더십 역량 수준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했다. 회귀분석 결과, 프로젝트 리더십 역량 보유 수준은 프로젝트 성과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일련의 분석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단 도구가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을 측정하는 타당하고 유용성 있는 도구임을 지지하는 것이라고 판단됐다.

      • KCI등재

        지적 원격조작시스템의 일환으로서 에러회복 전문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이순요,염준규,오제상,이창민 대한인간공학회 1987 大韓人間工學會誌 Vol.6 No.2

        If an error occurs in the automatic mode when the advanced teleoperator system performs a task in hostile environment, then the mode changes into the manual mode. The operation by program and the operation by hyman recover the error in the manual mode. The system resumew the automatic mode and continues the given task. In order to utilize the inverse kinematics as means of the operation by program in the manual mode, Lee and Nagamachi determined the end point of the robot trajectory planning which varied with the height of the task object recognized by a T.V monitor, solved the end point by the fuzzy set theory, and controlled the position of the robot hand by the inverse kinematics and the posture of the robot hand by the operation by human. But the operation by human did take a lot of task time because the position and the posture of the robot hand were separately controlled. To reduce the task time by human, this paper developes an error recovery expert system (ERES). The position of the robot hand is controlled by the inverse kinematics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to the end point which is deter- mined by the fuzzy set theory. The posture of the robot hand is controlled by the modulality of the robot hand's motion which is made by the posture of the task object. The knowledge base and the inference engine of the ERES is developed using the muLISP-86 languag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task time by human the ERES which was performed by the integration of the position and the posture control of the robot hand is shorter than that of the research, done by the preliminary experiment, which was performed by the separation of the position and the posture control of the robot hand. A further study is likely to research into an even more intelligent robot system control usint a superimposed display and digitizer which can present two-dimensional coordinate of the work space for the convenience of human interaction.

      • KCI등재후보
      • 유통산업에서의 e-Transformation 전략 : e-Marketplace 구현 방안 e-Marketplace Implementation Plan

        이문희,김주희,염준규 한국경영과학회 2002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1(1)

        전통기업의 e-Transformation을 위해서 온라인/오프라인 기업들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수립을 모색하고 있으며, 정부는 업종별 B2B 전자상거래사업을 추진하는 등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B2B Marketplace들의 경영 부진 및 저조한 시장참여도 현상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국내 유통산업의 B2B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선진국의 유통산업 동향을 고려하여 국내 유통산업의 바람직한 e-Marketplace 구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상거래 활용 및 대응을 위한 e-Marketplace의 역할 및 의의를 살펴보고, 선진유통업계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e-Marketplace 구축 사례 분석 및 국내 유통산업 entities의 needs분석을 바탕으로 유통산업에서의 e-Marketplace 구현방안을 수립하였다. 특별히 본 논문에서는 유통산업 전자상거래 ISP에서 검토된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KCI등재

        정서인식과 권력의 관계: 정서지능과 목표관련성의 조절효과 검증

        이수란 ( Su Ran Lee ),이원표 ( Won Pyo Lee ),김가은 ( Ka Eun Kim ),염준규 ( Joon Kyoo Youm ),손영우 ( Young Woo Sohn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4

        본 연구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서지능 수준의 차이와 타인이 표현하는 정서가 가지는 목표관련성의 차이에 따라서 권력이 타인정서 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의 정서지능을 측정한 후, 권력을 조작하여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가 가지고 있는 목표관련성을 조작 한 후, 실험 1과 동일하게 권력을 조작하고 정서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권력을 가진 집단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권력을 갖지 못한 집단보다 타인의 정서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의 정서지능이 높은 경우에는 권력이 타인정서 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았으나 중간 정도의 정서지능을 가진 참가자들은 권력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또한, 사진 속 정서의 목표관련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권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수준의 정서판단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권력과 타인정서 인식능력의 관계를 밝힌 기존의 연구들이 살펴보지 않았던 개인의 정서지능과 정보의 목표관련성의 역할을 밝혔다는 것에 있다. 또한, 능력으로써 정서지능의 역할을 확인하였고 권력을 가졌다 할지라도 타인의 정보에 대한 동기수준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공헌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EI) and goal-relev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emotional awareness.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ask to correctly indicate presented facial expressions of others after completing EI survey.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power" condition and the other half to the "powerless" condition. In Study 2, goal-relevance of expressed emotion was manipulated. The results showed that EI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emotion decoding ability. While participants with high and low levels of EI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ower condition, participants with middle level of EI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effect of power. In addition, the role of goal-relevanc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emotional awareness. When correctly indicating other`s emotion became important and thus emotional awareness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participants` goal, those who had power performed better than bef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