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lveoloar Rhabdomyosarcoma of Tongue Base in an Infant : A Case Report

        김지성,연제엽,박재홍,이용문,이동욱,Kim, Jisung,Yeon, Je Yeob,Park, Jae-Hong,Lee, Yong-Moon,Lee, Dong Wook The Korean Society for Head and Neck Oncology 201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9 No.2

        영아의 설근부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은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연하곤란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의뢰된 17개월 남아의 설근부에 발생한 횡문근육종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외래에서 실시한 이학적 검사 상 설근부 전체가 돌출되어 있었으며 단단한 종괴가 촉지 되었다. 조직검사와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였으며 컴퓨터단층촬영,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그리고 뼈 스캔과 함께 염색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직검사 결과 폐포성 횡문근육종이 확인되었으며 전이의 증거는 없었다. 염색체 분석상 폐포성 횡문근육종에 상응하는 PAX7-FKHR 유전자 전좌가 발견되었다. 8 회의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 후 촉지되는 설근부의 종괴는 없었으며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도 개선되었다. 추적 관찰 시 시행된 자기공명영상 결과 확연한 종괴 크기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횡문근육종은 매우 드문 악성 종양으로 수술과 함께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 여러 치료 방법이 동원되지만 전이나 재발이 있을 시 예후는 매우 불량하다. 그러므로 영아에서 연하곤란,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있을 시에는 설근부를 포함한 상부호흡소화관을 적극적으로 검사하여야 하며 악성 종양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하겠다.

      •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of Thyroid Gland : A Case Report

        장철순,연제엽,박수경,이동욱,Jang, Chul Soon,Yeon, Je Yeob,Park, Soo Kyoung,Lee, Dong Wook The Korean Society for Head and Neck Oncology 201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9 No.1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골수에서 유래하는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의 이상 증식에 의해 발병하는 희귀한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모든 장기에서 발생 할 수 있으나 갑상선을 침범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18세 남자가 5달전부터 점점 커지는 갑상선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여 세침흡인 세포검사, 총샘검, 경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세침흡인 세포검사에서 악성신생물이 의심되었고, 총생검에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으로 나타났다. 경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는 우측 갑상선에서 윤곽이 잘 구분되는 저음영의 종괴와 우측 기관 주위 림프절의 종대가 관찰되었다. 갑상선 전절제술과 우측 중앙 선택적 경부 림프절 청소술이 시행되었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이 갑상선을 침범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갑상선 비대가 있는 환자가 뇌하수체 기능부전의 증상이나 뼈와 폐의 침범과 관련된 증상을 호소한다면 갑상선의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침범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다른 장기의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을 치료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는 갑상선 종괴를 감별 진단하는데 있어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을 고려해야 한다.

      • Alveoloar Rhabdomyosarcoma of Tongue Base in an Infant : A Case Report

        Jisung Kim(김지성),Je Yeob Yeon(연제엽),Jae-Hong Park(박재홍),Yong-Moon Lee(이용문),Dong Wook Lee(이동욱)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9 No.2

        영아의 설근부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은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연하곤란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의뢰된 17개월 남아의 설근부에 발생한 횡문근육종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외래에서 실시한 이학적 검사 상 설근부 전체가 돌출되어 있었으며 단단한 종괴가 촉지 되었다. 조직검사와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였으며 컴퓨터단층촬영,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그리고 뼈 스캔과 함께 염색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직검사 결과 폐포성 횡문근육종이 확인되었으며 전이의 증거는 없었다. 염색체 분석상 폐포성 횡문근육종에 상응하는 PAX7-FKHR 유전자 전좌가 발견되었다. 8 회의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 후 촉지되는 설근부의 종괴는 없었으며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도 개선되었다. 추적 관찰 시 시행된 자기공명영상 결과 확연한 종괴 크기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횡문 근육종은 매우 드문 악성 종양으로 수술과 함께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 여러 치료 방법이 동원되지만 전이나 재발이 있을 시 예후는 매우 불량하다. 그러므로 영아에서 연하곤란,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있을 시에는 설근부를 포함한 상부호흡소화관을 적극적으로 검사하여야 하며 악성 종양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하겠다.

      •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of Thyroid Gland : A Case Report

        Chul Soon Jang(장철순),Je Yeob Yeon(연제엽),Soo Kyoung Park(박수경),Dong Wook Lee(이동욱)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9 No.1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골수에서 유래하는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의 이상 증식에 의해 발병하는 희귀한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모든 장기에서 발생 할 수 있으나 갑상선을 침범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18세 남자가 5달 전부터 점점 커지는 갑상선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여 세침흡인 세포검사, 총샘검, 경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세침흡인 세포검사에서 악성신생물이 의심되었고, 총생검에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으로 나타났다. 경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는 우측 갑상선에서 윤곽이 잘 구분되는 저음영의 종괴와 우측 기관 주위 림프절의 종대가 관찰되었다. 갑상선 전절제술과 우측 중앙 선택적 경부 림프절 청소술이 시행되었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이 갑상선을 침범 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갑상선 비대가 있는 환자가 뇌하수체 기능부전의 증상이나 뼈와 폐의 침범과 관련된 증상을 호소한다면 갑상선의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침범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다른 장기의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을 치료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는 갑상선 종괴를 감별 진단하는데 있어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을 고려해야 한다.

      • 진행된 두경부암에서의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의 치료효과

        이주연(Joo Yun Lee),이동욱(Dong Wook Lee),최영석(Young Seok Choi),진홍률(Hong Ryul Jin),이현석(Hyun Seok Lee),연제엽(Je Yeob Yeon),신시옥(See Ok Shin)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2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8 No.2

        Background: To achieve the efficacy and toxic effects of concomitant FP chemoradiotherapy regimen by means of response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Patient and Method: Thirty-three previously untreated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hirty-one patients were evaluable for the tumor response. Total response rate was 93%(complete response 60%, partial response 33%). Disease free survival was 37 month and 3-year overall survival was 63%. Grade 3 or 4 stomatitis was observed in 83% and appeared as the dose limiting toxicity for this regimen. Conclusion: Concomitant chemoradiotherapy with cisplastin and 5-fluorouracil is effective as primary therapy for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The majority of patients experienced severe stomatitis. Identification of less toxic regiment and improved disease control emerge as important future research goals.

      • 비·부비동에 발생한 모균증 : 3례보고

        최영석,진흥률,연제엽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5 忠北醫大學術誌 Vol.15 No.1

        Sinonasal mucormycosis is a form of invasive fungal infection of the sinonasal track that often extends to the orbit, brain, and palate. It is caused by the order Mucorales and commonly associated with immuconcompromised conditions such as diabetic ketoacidosis, HIV infection, hematologic malignancy. Treatment includes aggressive debridement, systemic antifungal therapy and control of underlying factors. We experienced 3 cases of sinonasal mucormycosis: rhino-orbital, isolated sphenoid sinus, palatal mucormycosis. Each patients had undergone wide surgical debridement including a case with orbital exenteration and systemic antifungal therapy. We present our successful management with literature reviews. 비·부비동에 발생하는 모균증은 안와, 두 개내, 또는 구개 침범이 흔한 진균성 감염이고 mucorales종의 일종으로 당뇨병케토산증이나 AIDS환자, 혈액 악성종양과 같이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주로 발생한다. 치료로는 환자의 원인 요소를 치료하고 광범위한 수술적 절제와 장기간의 항진균제의 사용이 이용되고 있지만 치료효과가 만족하지 못하다. 저자들은 안구를 침범하여 안구를 제거한 경우, 장기간의 두통을 호소한 환자에게서 발견된 접형동 단독의 감염 사례, 그리고 구개를 침범하여 구개의 일부를 절제한 사례를 경험하였고 광범위한 감염부위의 절제와 장기간의 항진균제 치료를 이용하여 완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비강내 종괴로 진단된 형질세포 골수종

        연제엽, 최다빈, 송형근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5 忠北醫大學術誌 Vol.25 No.2

        71세 남자 환자가 2주전부터 시작된 우측 비출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영상의학검사에서 우측 비강에 서 시작된 종괴가 우측 부비강을 침범하고 전비강의 벽을 따라 연부조직까지 침범한 소견을 보였다. 비 강에서 실시된 조직검사에서 악성종양인 형질세포 골수종으로 진단되었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으로 람 다 경쇄의 단클론성 증식을 확인하였다. 비강과 부비동을 침범한 형질세포종은 발생빈도가 낮으나 악성 도가 높은 악성종양으로 비강과 부비동을 흔히 침범하는 악성 소세포 암들과의 감별 진단을 중심으로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