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악산과 지리산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다람쥐의 연중 관찰 양상과 행동 패턴

        엄태경,이재강,이동호,고현규,배호경,김규중,황현수,박고은,최원일,임종환,박찬열,임신재,Eom, Tae-Kyung,Lee, Jae-Kang,Lee, Dong-Ho,Ko, Hyeongyu,Bae, Ho-Kyoung,Kim, Kyu-Jung,Hwang, Hyun-Su,Park, Go Eun,Choi, Won-Il,Lim, Jong-Hwan,Park, Chan-R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는 2019년 5월부터 2021년 5월까지 무인센서카메라를 이용하여 설악산과 지리산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다람쥐(Tamias sibiricus)의 연중 관찰 양상과 행동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주차별 관찰빈도를 지표로 하여 관찰빈도의 연중 변화를 파악하였고 봄과 여름, 가을의 시간별 관찰빈도를 이용하여 계절별 일일 행동 패턴을 분석하였다. 다람쥐의 일일 행동 패턴은 지역 및 계절에 따른 차이 없이 주행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지역에 서식하는 다람쥐는 연중 관찰 기간에 차이가 있었다. 설악산에서 18~45주차에, 지리산에서는 7~48주차에 다람쥐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동면시기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두 지역에서 다람쥐는 가을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계절에 따른 다람쥐의 개체군 동태 및 활동량 변화가 무인센서카메라 관찰빈도에 반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무인센서카메라의 관찰빈도는 간접적인 지표로서 대상종의 서식 밀도와 활동량을 구분해낼 수 없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지만, 방법이 쉽고 조사자에 따른 편차가 적어 효율적인 모니터링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nual variation of observation and activity pattern of Korean chipmunk (Tamias sibiricus) using camera traps in the Seoraksan and Jirisan National Parks, South Korea from May 2019 to May 2021. The annual variation was identified based on the observed frequency through weekly observations. Daily activity patterns of the species were also analyzed by season. The daily activity pattern of chipmunk appeared to be constantly diurnal across the years regardless of habitat or season. The Korean chipmunks living in the two different regions were observed in different time periods throughout the year. While the chipmunks inhabiting the Seoraksan were observed from 18<sup>th</sup> to 45<sup>th</sup> week, the chipmunks inhabiting the Jirisan National Park were observed from 7<sup>th</sup> to 48<sup>th</sup> week. This may be influenced by the hibernation period of chipmunks in the two different regions. In both regions, chipmunks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in autumn. It is considered that seasonal variation on population dynamic and activity patterns of chipmunks were reflected in the observation frequency. Although the observation frequency of camera trap is an indirect indicator and thus having a limitation that it cannot distinguish the population density and amount of activity for the target species, camera trapping is still an effective survey technique for monitoring mammals due to its high accessibility and easy us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영어, 한국어 구어성 담화의 선호 논항 구조 분석

        엄태경 ( Tae Kyung Eom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2 언어사실과 관점 Vol.30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set the preferred argument structure constraints within the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and examine diverse types of texts. The research findings an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two or more lexical arguments appearing in a single clause was very low both in English and Korean. Second, the frequency of pronouns was very high in English than in Korean, and so was the frequency of the subjects of transitive verbs appearing as pronouns. In spoken Korean, the frequency of pronouns being used was much lower than omitted arguments. In written Korean, however, the cases in which arguments were expressed lexically were considerably many, which indicates that the constraints on the subjects of lexical transitive verbs are too strong to be applied to written Korean. Third, the constraint that the number of new information arguments should be one or less was well observed across all types of texts both in English and Korean. Fourth, the frequency of the subjects of transitive verbs conveying new information was very low. The syntactic completion of sentences related to pragmatic characteristics can be enhanced by analyzing the argument structures and then tracing annotations escaping the typical preferred argument structures.

      • KCI등재

        일반논문 : 영문법 교재에 적용된 이해 중심 발견 학습

        엄태경 ( Tae Kyung Eo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6

        본 연구에서는 최근 영문법 교수의 큰 흐름인 형태 초점 교수법과 의식고양 과제를 ``발견학습`` 이라는 교과 교육 이론의 큰 틀 안에서 분석하고, 영문법 학습 교재에 수록된 발견 학습의 예를 ``문법발견연습``과 ``구별연습``의 두 가지로 크게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해 중심, 산출 중심, 검사 유 형의 연습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1955년부터 2014년까지의 기간 동안 국내에서 발 간된 상업적 영문법 학습 교재 21권을 대상으로 연습의 유형 및 빈도를 분석하였다. 특히 시제 와 태 항목에 대해 교재에 실제로 수록되어 있는 이해 중심 발견 연습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기 술하였으며, 해외 교재에 수록된 발견 연습의 예를 함께 제시하여 국내 교재에서는 찾아보기 어 려운 유형의 연습과 영어 교수·학습 연구의 성과물이 교재에 반영된 사례를 검토하였다. 한국의 영문법 교재에 수록되었던 ``문법발견연습``이 주로 문법 구조의 지식에 대한 발문 위주의 것이었 다면, 최근 해외의 문법발견연습은 진정성 있는 읽기와 듣기 자료를 활용하고 문법 구조의 사용 맥락을 발견하게 하는 등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다채로운 연습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 었다. ``구별연습``은 국내 교재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었는데 형태상으로는 선택형 문항 등을 포함 하게 되어 단순한 검사 문항으로서 분류되기 쉬우며, 아직은 구조화된 입력 및 이해 중심 연습 에 대한 국내 교재 개발자들의 인식이 높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 학습에서 성공하기 위 해서는 산출 형태의 연습만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더욱이 언어 습득 이론에 근거한 연습이 아닌 세환효과(washback effect)에 영향 받은 검사로만 교재의 연습이 구성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 국의 상황을 잘 알고 있는 교재 집필자와 교사가 함께 논의하여 교수·학습 이론에서 나오는 다 양한 아이디어를 실행 가능한 형태로 구체화하고 이를 교재에 반영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성공적 인 언어 습득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focus on form approach`` and ``consciousness-raising task``, which are a major flow of recent English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were analyzed within the framework of ``discovery learning``. For this, the cases of discovery learning in English grammarbook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f ``grammar discovery`` and ``discrimination`` practice. And the application of the discovery learning to grammar learning materials in the context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was suggested. While grammar discovery practices in English grammarbooks published in Korea were mainly focused on questioning on the knowledge of grammatical structures, grammar discovery practices of overseas materials were using authentic reading and listening materials or had learners discover the appropriate context for using the grammar structures. Discrimination practices were hardly observed in domestic grammarbooks. This practice type is often misunderstood as a multiple choice question and textbook developers in Korea still seem to lack the awareness about input-based and understanding-based practices. In order to succeed in learning English,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various forms of practices based on the results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es. Material writers and teachers should try to develop practices and tasks that help realize a variety of research results in the classroom. And they should strive to include and employ those practices in learning materials.

      • KCI등재

        상업적 영문법 학습 교재의 과제 분석

        엄태경(Tae-Kyung Eo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공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교과서가 아닌, 출판사에서 발간하는 상업적 학습 교재에 교수·학습이론에 대한 기존 연구의 성과가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사용자 중심의 교재 분석을 위해 문법 교수·학습법에 기초한 과제 분석용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교재의 과제를 크게 ‘문법연습’ 유형과 ‘형태 초점 과제’로 구분하고 국내·외에서 출간된 총 20권의 영문법 학습 교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화식 교수법에 기반을 둔 출력 중심의 문법연습은 여전히 대부분의 교재에서 높은 비율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법연습 중에는 ‘유의미 연습’ 유형이 가장 많았고, 국내 출간 교재에서 ‘의사소통 연습’은 매우 낮은 비율로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고등 학습서’로 분류할 수 있는 교재의 경우 의사소통 연습은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 둘째, 국내 교재의 경우 ‘문법 의식고양과제’가 ‘입력 처리 과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는 문법 의식고양과제가 문법 용어와 문법 교수요목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한국의 교육 상황에 가장 적용하기 쉬운 형태 초점 과제임을 보여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입력 처리 과제의 빈도가 낮은 것은 ‘시험’ 유형의 문장 선별 과제나 문장 수정 과제가 대신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해외 출간 교재의 경우 단원의 설명부에 입력 처리 과제와 문법 의식고양 과제가 다수 수록되어 있어, 학습자의 ‘주목 끌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과제를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형태 초점 과제는 학습자에게 양질의 입력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이 문법에 주목하도록 하는 다양한 기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력 과제와 시험 유형 과제 위주의 영문법 학습 교재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교재 개발 단계부터 입력 처리와 문법 의식고양과제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형태 초점 과제를 수록할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 on learning and teaching theory are reflected in the commercial grammar textbooks. A checklist based on grammar teaching methods is made in order to conduct task analysis of textbooks. The task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grammar practice’ and ‘focus on form task’. The research finding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despite a recent upsurge of interest in focus on form instruction, output-based ‘grammar practices’ were still overwhelmingly used in the majority of grammar textbooks. Among them ‘meaningful practices’ took up the biggest proportion. ‘Communicative practices’ accounted for only a small percentage of all grammar practices. Second, grammar books published by foreign companies showed some ‘input processing tasks’ and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s’, which reflected the efforts to include the focus on form tasks ‘to draw learners’ attention’. Third, although only a few focus on form tasks emerged in the domestic grammar books,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s’ were often used. It showed that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s would be most applicable to Korea's education system because of the use of metalanguage and structural syllabus in Korea’s classroom. Focus on form tasks provide a richer quality of input in the form of various techniques that allow learners to notice grammar features. New types of tasks such as input processing or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s need to be considered from the development stage of materials so as to make up for the weakness of current grammar books which are composed of output assignments and exam type exercises.

      • KCI등재

        한국 영문법 학습 교재의 변천 : 영어 교육과정 및 평가의 맥락에서

        엄태경(Tae-Kyung Eo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한국 영어 교육사의 사실(史實)을 바탕으로 영문법 학습 교재의 시기별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및 입시제도의 구체적 내용과 대학 입시의 기출문항을 교재의 외적 체제, 문법 설명 방식, 연습의 유형과 비교·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연역적 문법 설명, 번역과 영작, 청화식 교수법을 기반으로 한 산출 중심의 연습은 한국 영문법 학습 교재의 전통적인 ‘설명-연습’의 구조 안에서 큰 변화 없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었다. 또한 새로운 교수·학습 이론의 흐름이 그 논의의 시기에 맞추어 자연스레 교재에 반영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국내 교재에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 의식고양 과제 등이 수록되어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이는 영미권을 중심으로 발전해 온 교수·학습 이론의 흐름이 국내의 영어 교육 맥락에서는 수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한국의 영문법 학습 교재는 영어 교육과정에서 강조했던 ‘언어 재료’와 같이 문법 형식을 강조하는 교육 정책과 대학 입시, 각종 영어 인증시험의 세환효과라는 또 다른 요인들에 크게 영향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교재 집필자는 연구자들의 성과물을 교사·학습자에게 전달하는 중개자로서 정확한 학습 문법의 체계를 정립하기 위해 이론 문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영어 교수·학습의 다양한 연구 성과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및 교육 정책에 주의를 기울여 현실적으로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재의 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grammar learning material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Korean education history. For this reason, the research focused on why and how the materials were made and used in the context of the English curriculum and evaluation. Deductive study, translation and composition, production-based practices based on the audiolingualism have been prevalent in grammar learning materials. Unlike the expectation that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would be reflected in the learning materials, new approaches such as consciousness-raising tasks or techniques of focus on form instruction were very rare in the domestic materials. It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English education theories have been developed in the ESL context of Anglo-American bloc, so it is difficult to accommodate these theories in Korea where English has a position as an entrance examination subject. Rather, the grammar learning materials published in Korea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factors, such as English education policies focusing on grammar forms, and the washback effects caused by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and other English certifications. Material writers should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oretical grammar as a linguistic science in order to establish a pedagogical grammar system for learning materials. Also, they should strive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realistically to the education field by paying attention to the goal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