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M440의 내마모성 평가에 관한 연구

        양준환,김은성 한국기계기술학회 2016 한국기계기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In this study, SCM440 alloys are investigated to research the effect of wear resistance. For this purpose, three wear factors which are friction force, wear loss and coefficient of friction applied to test wear-resistance. For the wear test, ball-on-disk was used to assess the variation of wear characteristics. Lastly, the coefficient of wear was calculated by using the Archard's wear equation in SCM440 alloys. The applied normal load was fixed at 30N in all test.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SCM440 alloy's Vickers hardness average value is near 671.4Hv, the friction force is 4.11N through the Ball-on-disk test,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the wear loss are 0.431 and 0.080 respectively. Finally, Archard’s wear value of SCM440 alloys could be shown approximately 0.1514.

      • KCI등재

        한·중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양준환,첨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5 국제경영리뷰 Vol.19 No.4

        중국은 1978년부터 시작된 개혁, 개방정책을 통해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룩해 왔다. 2013년 현재 교역량 측면에서 중국은 미국과 일본을 누르고 우리나라의 가장 큰 교역 상대국이 되었다. 본 연구는 양국 간 상호 경제의존도가 날로 커져가는 시점에 미래 기업가로 성장할 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았다. 또한 창업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와 자기 효능감에 각각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 대학생들의 기업가 정신은 한국 대학생들에 비해 창업의도와 자기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 사이에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과 중국 남녀 대학생들 간에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leading national prosperity, the factors of production are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in merely aggregating those factors. Entrepreneurship is recognized as an essential mechanism to combine these inputs into efficient and profitable manners. Because of this reason, entrepreneurship has been spotlighted enormously from policy makers and educational authorities across the borders. Korean government has put greater efforts in promoting entrepreneurship among young people than ever. Chinese government has also strived for supporting entrepreneurial activities among university students to catch up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growth and the effective way to mitigate jobless rate as well.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s a cross-cultural study, amid increasing economic interdependency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also tests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known as a key variable in entrepreneurial process. In summa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ship affects positively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both countries. Second, entrepreneu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in respective country. These findings supports on-going arguments with regards to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in promoting entrepreneurial activities among university students regardless of country of origin. Finally, self-efficacy exhibits mediating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tudents of each countr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were presented for policy makers and educational authorities based on the findings and discussions.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양준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1

        Plenty of prior studies emphasize the impact of education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on individual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a creation of new business. The implications of recent researches also indicate that the start-up process has been formed by interaction between entrepreneur’s personal traits and the environments surrounded him or her over time.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e three contextual factors simultaneously;entrepreneurial education, perceived structural support and perceived relational support, which was proposed by Turker and Selcuk(2009) through ESM (Entrepreneurial Support Model). Followings refer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alyzed with a multi-regression method. Firstly, the educational support aimed at fostering entrepreneurship by universities affects positively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ly, a perceived structural support for promoting start-up among university students does not give any influence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young people. Thirdly, the perceived relational support from parents, close relatives and friends is also positively related to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여러 국가에서 이루어진 창업관련 선행연구들은 창업교육과 창업의 활성화가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대학생들의 실업률을 해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이 창업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들임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창업이라는 과정은 기업가 개인의 특성과 기업가를 둘러싼 환경요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13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환경요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으로서 선행변수인 교육적 지원, 지각된 구조적 지원 그리고 지각된 관계적 지원 등 세 가지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여 실증연구를 시도하였다. 가설검증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청년창업활성화를 위한 대학교의 교육적 지원은 대학생들의 창업의도 형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창업활동 촉진과 관련된 지각된 사회의 구조적 지원은 대학생들의 창업의도 형성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활동과 관련하여 부모를 포함한 가까운 친지들로부터의 지각된 관계적 지원은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의 선행변수로 작용을 하여 창업의도 형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에 대한 이론적 기여와 실무적 함의를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

        How Entrepreneurial Role Model Affects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양준환,정대용,김춘광 한국경영교육학회 2017 경영교육연구 Vol.32 No.3

        [Purpose]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role model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Methodology]This empirical study employ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PASW Statistic 18 to test established four hypothesis. Total 176 students from 8 different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o have joined in entrepreneurship program more than one time during past three years. [Findings]The presence of entrepreneurial role model has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lso serves as a mediating role between entrepreneurial role model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Implications]This study has taken one small step forward into the recent entrepreneurial motivation research by identifying the link among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the key entrepreneurial variables.

      • KCI등재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양준환,Yang, Jun-Hwan The Korean Society of Business Venturing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3

        창업기업가는 혁신제품의 개발과 동시에 팀을 조직하고 창업한 후 그 창업 기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는 측면에서 기업가정신을 리더십의 한 부분으로 보아야 한다는 '기업가적 리더십' 논의가 해외학자들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기업가정신 및 창업요인과 관련된 연구들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지만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기업가정신교육과 기업가적 리더십 관계에 대한 연구는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3개 대학 22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기업가정신교육이 기업가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탐색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기업가정신교육은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기업가정신교육은 대학생들의 진취성, 혁신성 그리고 위험감수성과 모두 유의한 정(+)의 관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가정신교육이 미래 창업기업가육성이라는 차원에서 청년대학생들의 기업가적 기본 소양인 기업가리더십을 함양시킨다는 측면에서 더욱 강화되어 나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결론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기여점과 교육당국 및 정책입안자들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해 두었다. This study aimed at ascertaining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fostering entrepreneurial leadership in the contex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tal 224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nationwide. In order to acquire clear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three key variables that include proactiveness, innovativeness and risk-taking were focused on the study in line with the prior stud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roactiveness, innovativeness and risk-taking, all of which are known as the key elemen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The findings imply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be reinforced to foster the basic competence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for university student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give guidelines the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down the 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