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통업체의 판매장려금 의존도가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양주희(Yang Joo Hee),장명균(Jang Myoung Gyun),임채운(Lim Chae un) 한국상품학회 2016 商品學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힘-의존 이론을 기반으로 판매장려금을 유통거래상 힘의 원천으로 보았으며, 유통업체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가 공급업체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중대형 개인 소매점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개인 중대형 슈퍼마켓에 직접 방문 및 Fax를 통하여 총 110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유의한 99개의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smartPLS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8개의 가설 중 2개가 기각되고 6개가 채택되었다. 개인 소매점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는 주거래 공급업체에 의한 영향력 수용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영향력 행사와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향력 수용 및 행사는 신뢰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영향력 수용과 신뢰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 와 만족이 결속에 정의 영향을 미쳐, 판매장려금에 대한 개인 소매점의 의존도는 주거래 공급업체와의 관계의 질에 정의 영향을 보였다. 즉, 비록 중대형 개인 소매점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가 클수록 공급업체에 의한 영향력 수용이 커졌지만, 개인 소매점과 주거래 공급업체와의 관계의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 소매점과 공급업체 관계에서 판매장려금은 불공정거래의 수단이 아닌 판매촉진 및 충성도 향상 수단임을 밝히므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Sales promotion allowances(SPA) were originally a form of incentive offered by manufacturers to retailers, for the purposes of sales promotion. However, as giant chain retailers have increased in both size and power, some have engaged in unfair trade practices by maliciously using these sales promotion allowances. For this reason, the majority of studies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have their focus set solely on giant chain retailers. Drawing on power-dependence theory,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ependence by medium and large private supermarkets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and the effect this has on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suppliers and retailers. SPA can be accessed fromdependence theory perspective due to the fact that, the greater the reliance on retail sales incentives, sales incentives to support manufacturers can grow the force is relatively. It also means that SPA could be used as a source of power that can exert a force on the distribution channel. In general, larger dependence on manufacturers of the distribution channel distributors, retailers will not be able to relatively inferior status of forces but to accommodate the needs of manufacturers in the lead force. For this investigation, the author has obtained 99 data sets fromfax and personal visit record which were then analyzed using smartPLS. This study has found four following: (1) the dependence on allowances results in a positive impact on the influence by supplier, (2) the retailer s influence by supplier has a positive effect satisfaction, but (3) the influence by supplier has negative effect on trust is rejected. (4) Trust and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Al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this study implies that dependence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positively affect the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personal retailers and suppliers.

      • 유통업체의 판매장려금 의존도가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양주희(Yang, Joo-Hee),장명균(Jang, Myoung-Gyun),임채운(Lim, Chae-Un) 한국경영학회 2015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08

        본 연구는 자원-의존 이론을 기반으로 제조업체가 유통업체에게 제공하는 판매장려금을 영향력 수단으로 보았으며, 유통업체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가 공급업체와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중대형 개인 소매점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유통업체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가 클수록 신뢰와 만족은 떨어질 것이라는 주요 가설을 설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개인 중대형 슈퍼마켓에 직접 방문 및 Fax를 통하여 총 110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유의한 99개의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smartPLS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가설 1개가 기각되고 4개가 채택되었다. 중대형 개인 소매점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는 주거래 공급업체에 의한 영향력 수용에 정(+)의 효과를 미쳤다. 그러나 영향력 수용은 신뢰와 관계가 없으며, 만족에는 기존 가설과는 반대인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만족은 결속에 정(+)의 효과를 주어, 판매장려금에 대한 개인 소매점의 의존도는 관계의 질에 정의 영향을 보였다. 즉, 비록 중대형 개인 소매점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가 클수록 공급업체에 의한 영향력 수용이 커졌지만, 개인 소매점과 주거래 공급업체와의 관계의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 소매점과 공급업체 관계에서 판매장려금이 관계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본래의 목적인 판매촉진 및 충성도 향상 수단임을 밝히므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Sales promotion allowances were originally a form of incentive offered by manufacturers to retailers, for the purposes of sales promotion. However, as giant chain retailers have increased in both size and power, some have engaged in unfair trade practices by maliciously using these sales promotion allowances. For this reason, the majority of studies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have their focus set solely on giant chain retailers. Drawing on power-dependence theory,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ependence by personal retailers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and the effect this has on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suppliers and retailers. For this investigation, the author has obtained 99 data sets from fax and personal visit record which were then analyzed using smartPLS. This study has found four following: (1) the dependence on allowances results in a positive impact on the influence by supplier, (2) the retailer’s influ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 and satisfaction, but (3) the influence by supplier has negative effect on trust is rejected. (4) Trust and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Al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this study implies that dependence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positively affect the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personal retailers and suppliers.

      • KCI등재

        이란의 정부에 따른 핵 개발 기조 변화

        양주희 ( Yang Joo-hee ),김은비 ( Kim Eun-bee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23 지중해지역연구 Vol.25 No.2

        Iran is a theocratic republic in which the supreme leader and the president coexist. The supreme leader, ranked No. 1 in the constitution, is indirectly elected by a group of clerics and serves for a lifelong period, while the president is directly elected by the people and serves a four-year term. Based on the rule of Islamic jurists, the supreme leader can be described as having absolute power internally, and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many policy issues will consistently reflect the supreme leader’s intentions. However, when it comes to nuclear issues, Iran has exhibited different reactions under different governments, despite having the same supreme leader in power. This study examines the nuclear development stances of each Iranian government based on Solingen’s “Political Economy of Nuclear Restraint.” The theory posits that the cost of nuclear proliferation varies according to the economic systems adopted by the ruling group. With this understanding, the study argues that the inconsistency in Iranian nuclear policies is influenced by the check and balance structure between the supreme leader-centered winning coalition and the president-centered winning coalition.

      • 유통업체의 판매장려금 의존도가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양주희(Joo Hee, Yang),장명균(Myoung Gyun, Jang),임채운(Chae Un, Lim) 한국유통학회 2015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08

        본 연구는 자원-의존 이론을 기반으로 제조업체가 유통업체에게 제공하는 판매장려금을 영향력 수단으로 보았으며, 유통업체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가 공급업체와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중대형 개인 소매점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유통업체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가 클수록 신뢰와 만족은 떨어질 것이라는 주요 가설을 설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개인 중대형 슈퍼마켓에 직접 방문 및 Fax를 통하여 총 110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유의한 99개의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smartPLS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가설 1개가 기각되고 4개가 채택되었다. 중대형 개인 소매점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는 주거래 공급업체에 의한 영향력 수용에 정(+)의 효과를 미쳤다. 그러나 영향력 수용은 신뢰와 관계가 없으며, 만족에는 기존 가설과는 반대인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만족은 결속에 정(+)의 효과를 주어, 판매장려금에 대한 개인 소매점의 의존도는 관계의 질에 정의 영향을 보였다. 즉, 비록 중대형 개인 소매점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가 클수록 공급업체에 의한 영향력 수용이 커졌지만, 개인 소매점과 주거래 공급업체와의 관계의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 소매점과 공급업체 관계에서 판매장려금이 관계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본래의 목적인 판매촉진 및 충성도 향상 수단임을 밝히므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Sales promotion allowances were originally a form of incentive offered by manufacturers to retailers, for the purposes of sales promotion. However, as giant chain retailers have increased in both size and power, some have engaged in unfair trade practices by maliciously using these sales promotion allowances. For this reason, the majority of studies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have their focus set solely on giant chain retailers. Drawing on power-dependence theory,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ependence by personal retailers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and the effect this has on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suppliers and retailers. For this investigation, the author has obtained 99 data sets from fax and personal visit record which were then analyzed using smartPLS. This study has found four following: (1) the dependence on allowances results in a positive impact on the influence by supplier, (2) the retailer"s influ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 and satisfaction, but (3) the influence by supplier has negative effect on trust is rejected. (4) Trust and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Al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this study implies that dependence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positively affect the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personal retailers and suppliers.

      • KCI등재

        A. Halprin의 동작중심 표현예술교육에 대한 일고

        양주희(Yang, Joo 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9 문화산업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미국의 움직임 교육자이자 예술가인 안나 할프린에 의해 만들어진 Life-Art Process를 현상학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이를 예술창작의 근원으로 활용하고, 인간의 변화와 성장을 돕는 동시에 움직임을 통한 ‘의식의 알아차림’을 극대화하고 창조적인 삶의 표현으로 기여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이론적 고찰이다. 이에 Halprin이 제안했던 동작중심 표현예술 교육의 본질적 가치와 의미를 이해하고, 철학, 심리학, 심신학 등을 통해 삶과 예술을 변형시키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첫째, 춤과 예술이 융합되어 인간의 삶을 변형시키는 동력으로 체화되는 HLAP에 대한 의미와 이론적 배경 등을 살펴보고, 둘째, Halprin의 동작중심 표현예술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내용 등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셋째, 동작중심 표현예술교육의 독창성과 창의성이 발현되는 동작중심 표현예술교육의 방법론을 적절하게 다룸으로써 삶을 성장시키고 예술로 변형시키는 타말파 연구소의 삶·예술 과정(Life-Art Process)라는 방법론을 조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This theoretical study approached Life-Art Process created by Anna Halprin, who was an educator of movement and artist in the US, from the phenomenological standpoint. In doing so, it sought to identifywhether it can be used as the source of art creation, help humans change and growand at the same time maximize the "awareness of consciousness" and contribute to human"s creative expression of lives. For this, the study examined following poi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tial value andmeaning of education of movement-focused expressive arts as suggested by Halprin and explore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life and art through philosophy, psychology and science of human mind and body. Firstly, it examined the meaning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HLAP (Halprin Life Art Process) that becomes a driving force to transform human lives following the integration of dance and art. Secondly, it conducted analysis and investigation mainly on overall concept and content of movement-focused expressive arts of Halprin. Thirdly, it properly dealt with methodology of education of movement-focused expressive arts that might manifest itself creativity and originality. As such, the study sought to shed light on the methods of Life-Art Process by Tamalpa Institute thatmay help our lives growand transformto art.

      • KCI등재

        HLAP의 상상력, 의사소통능력, 자아탄력성 개념을 적용한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양주희(Yang, Joo-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9 문화산업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Halprin의 HLAP 방법론을 적용하여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한 구성요소인 ‘상상력·의사소통능력·자아탄력성’에 대한 프로그램의 매커니즘을 제시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상상력·의사소통능력·자아탄력성을 위한 선행연구와 문헌을 토대로 무용 교육 전문가, 표현예술 교육가, 동작중심 표현예술 교육전문가 3인과 함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에는 Halprin의 HLAP 방법론의 요소들을 적용하고 전체의 틀을 5단계, 즉 발견하기, 직면하기, 해소하기, 변화하기, 성장하기 단계에 걸쳐 진행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구성의 객관적 의미를 부각시키는 것으로 HLAP 방법론 적용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교육 현장에서 확대적용이 가능한 교육프로그램임을 입증한 것에 의미를 낳고 있다.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rt education program using Halprin"s HLAP methods and focused on suggesting and developing mechanism of programs of "imagination, communication ability, resilience" - main components of this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on imagination, communication ability, resilience, the study organized the program together with three persons - a dance education expert, an expressional art educator and a movement-focused expressional art education expert. The program applied the elements of Halprin" HLAP methodology and organized overall frame with five phases of Discover, Confront, Solve, Change and Grow. And as a result of using research methods as su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rt education program, the study highlighted its necessity and composition objectively, and meaningfully proved that art education programs using HLAP methods could be further applied in actual educational fields.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SNS(Social Network Services) 이용동기가 무용전공대학생들의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

        심현화 ( Hyun Hwa Shim ),이지연 ( Ji Yeon Lee ),양주희 ( Joo Hee Yang ) 한국무용과학회 201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3 No.1

        이 연구에서는 무용전공대학생의 SNS이용동기가 관계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교의 무용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참여자 238명을 표집하여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학년, SNS접속시간), 이용동기(자기확인, 대인지향, 정보탐색, 엔터테인먼트), 관계형성(관심보이기, 놀이하기, 공유하기, 관계맺기)의 변인에 대하여 설문조사 방법으로 SPS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이용동기(자기확인, 대인지향, 정보탐색,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분석 결과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학년)에서 집단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관계형성(관심보이기, 놀이하기, 공유하기, 관계맺기)에 대한 분석 결과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학년, SNS접속시간)에서 집단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이용동기가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용동기의 하위변인 중 자기확인은 관계형성의 하위변인인 관심보이기, 놀이하기, 공유하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동기의 하위변인 중 대인지향은 관계형성의 하위변인인 관계맺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동기의 하위변인 중 정보탐색은 관계형성의 하위변인인 관심보이기, 놀이하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동기의 하위변인 중 엔터테인먼트는 관계형성의 하위변인 중 관심보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is to establish what effect SNS usage motivation has on relationship building of dance majors. The selected 238 dance majors of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the variable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gender, age, grade and SNS connect hours), usage motivation(self-affirmation, interpersonal orientation, information search and entertainment) and relationship building(showing interest, playing, sharing and making relationship).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usage motivation(self-affirmation, interpersonal orientation, information search, entertainment) by personal characteristics(gender, age and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Second,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uilding(showing interest, playing, sharing and making relationship) by personal characteristic(gender, age, grade and SNS connect hou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ird,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NS usage motivation on relationship building showed that self-affirmation, a sub-variable of usage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howing interest, playing and sharing, sub-variables of relationship building,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on making relationship. Information sear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howing interest and playing, and entertainment on showing interest.

      • KCI등재

        워라밸정책, 개인취업역량 및 대학취업지원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취업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충북지역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정수현, 양주희, 임종혁 충북대학교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2019 기술경영 Vol.4 No.2

        본 연구는 노동시장의 공급자인 대학 및 특성화고 재학생들이 취업에 대한 의사결정 에 있어,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워라밸정책, 대학생 개인이 취업을 위해 준비하는 개인취업역량, 그리고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취업결정요인들과 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충북에 위치한 18개 대학(2년제, 4년제)의 졸업예정자들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 및 조절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워라밸정책요인은 취업결정요인에 영향을 끼치며, 일가정양립사각지대 지원정 책이 취업결정요인에 대해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취업 역량요인은 취업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직무 관련 자 격증 보유가 취업결정요인에 대해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취업지원프로그램요인은 취업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취업처 정보제공이 취업결정요인에 영향을 가장 많이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원거주지와 현거주지에 대한 분석 결과, 원거주지와 현거주지가 다른 응답자들이 워라 밸요인이 취업결정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공계열에 따른 분석결과, 비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들이 워라벨정책요 인들에 더욱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