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산 무선 통신시스템 기반의 Dual Virtual Cell 시스템의 제안 및 성능분석

        양주영,김정호,Yang Joo-Young,Kim Jeong-Ho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6B

        본 논문에서는 가상 셀(Virtual Cell)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셀(Cell)이 동적으로 바뀌어서 핸드오프의 문제가 없으며, 사용자 간, 셀 간에 야기되는 간섭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또한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서 기존 셀룰라 시스템이 안고 있는 간섭 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분산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하여 소개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산무선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통신의 링크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용량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Dual Virtual Cell(DVC) 개념과 운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DVC 시스템은 단말의 실제 트래픽을 위한 Active Virtual Cell 외에, 사용자 통신의 다음 시점의 도달 범위 예측과 사용자 무선링크의 품질저하 및 단절을 방지하기 위한 후보군의 분산안테나들의 집합인 Candidate Virtual Cell을 도입하여 이러한 이중구조의 가상 셀을 동시에 관리함으로써, 채널정보 획득에 대한 단말의 부담을 줄이고 채널추정정보에 대한 시간지연과 단말의 이동으로 인한 무선링크 단절 및 품질 저하를 방지하며 신속한 통신채널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DVC의 안테나 구성을 위하여 안테나 선택기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시스템 오차 확률 개선을 위하여 Space-Time Trellis Code를 도입하였다. In order to achieve high capacity and reliable link qua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the significant efforts should be concentrated on mitigating interference between cells. To solve the interference problem, the newly introduced concept of a Distribu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WCS) can provide the capability of joint control of the signals at multiple cells. This paper proposes a new concept of virtual cell: the Dual Virtual Cell (DVC), and also proposes DVC employment strategy based on DWCS network. The proposed system manages two kinds of virtual cell. One is the Active Virtual Cell which exists for user's actual data traffic and the other is the Candidate Virtual Cell which contains a set of candidate antennas to protect user's link quality from performance degradation or interruption. The proposed system constructs DVC by using antenna selection method. Also, for multi-user high-rate data transmission, the proposed system introduces multiple antenna technology to get a spatial and temporal diversity gam and exploits space-Time Trellis Codes known as STTC to increase a spectral efficiency.

      • KCI등재

        닌텐도 위를 활용한 흉부 흔들림의 자세 안정성 측정

        양주영(Juyeong Yang),유재하(Jaeha Yoo),김동연(Dongyon Kim),박준모(Junmo Park),김수찬(Soochan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1 No.7

        병원이나 검사실 등에 널리 이용되는 평형 기능 검사법은 고감도 압력센서를 이용한 균형감각조절임상검사(CTSIB,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gration on balance)이다. 바로 선 자세에서 발바닥의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흉부 흔들림을 객관적으로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정에서도 손쉽게 흉부의 흔들림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위 밸런스보드(Wii balance board, WBB)는 게임기임에도 불구하고 흉부 흔들림과 상관관계가 높은 압력중심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임상용 제품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하지만 위 리모트 컨트롤러(Wii remote controller, WRC)는 WBB보다 저렴하고 손쉽게 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흉부 흔들림 분석에서는 압력 측정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기대만큼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 10명(남자:5명, 여자:5명)을 대상으로 WRC의 가속도 정보로부터 convex hull 혹은 ellipse area분석법을 이용하여 WBB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The CTSIB(Clinical Test of Sensory Integration on Balance) using high sensitive pressure sensors is normally used to assess the sense of balance in hospital. It takes an objective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sway that occurs in the body trunk by observing the change in the center of pressure (CoP) on the foot at the upright postur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propose method to easily measure trunk sway in home. Although the Wii balance board(WBB) is used for games, it can measures the center of pressure, which is highly correlated. The Wii remote controller(WRC) is inexpensive compared to the WBB, but it has problems with estimation of trunk sway because in can’t measure pressure directly like WBB. We collected data from 10 normal subjects (5 males, 5 females) from two devices in order to compare the CoP from WBB and the center of mass (CoM) from WRC. The results of WRC and WBB was similar when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convex hull and ellipse area.

      • 보행자도로의 합리적 분석공간 설정 연구

        양주영(Yang, Joo Young),김응철(KIM, Eung Cheol),최은진(Choe, Eun-Jin)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2 No.-

        현재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분석방법론은 국토교통부의 '도로용량편람'의 보행자시설편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보행자도로의 보행교통류율, 보행밀도, 보행자점유공간, 보행속도를 주요 효과척도로 하여 서비스수준별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 용량편람에서는 보행교통류율에 관한 정형화된 산정방법론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보행밀도, 보행자점유공간, 보행속도에 대하여 정형화된 방법론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보행자도로의 분석시, 분석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보행밀도, 보행자점유 공간, 보행속도가 산정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3가지 효과척도에 대하여 보다 정 형화된 산정방법론을 제공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분석공간이란 타보행교통류의 간섭이 없이 연속성이 확보되고, 동일한 기하구조 를 갖는 동질성구간의 최대길이임을 가정하고 이와 같은 가정이 성립함을 증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 결 과, 합리적 분석공간의 길이란 타 보행교통류의 간섭이 없이 연속성이 확보되고, 동일한 기하구조를 갖는 동질성구간의 최대길이 임이 증명되었다. t검정에서 분석공간의 길이를 다르게 함에 따라 보행속도, 보행밀도가 다르게 관측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으며, 상관분석과, 회귀분석결과 연속성이 확보되는 동질성구간의 최대길이에서 상관계수와 결정계수가 가장 높게 분석되어 위의 가정 이 성립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보행밀도, 보행자점유공간, 보행속도를 이용한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분석 시, 분석가 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설정한 분석공간의 길이와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자료를 추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추후 보행자도로의 효과척도에 관한 현실적이고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제품 정보의 출처에 따른 소셜 커머스 소비자의 정보 신뢰도 : SNS기반의 선 구매자 사용정보 제공 유무를 중심으로

        양주영(Ju-young Yang),홍보람(Boram Hong),이우용(Wooyong Yi),조광수(Kwangsu Cho)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웹 2.0 시대를 반영하는 소셜 커머스는 '소비자 간 소통'이라는 사회적 관계를 특징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전자 상거래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시장에서 능동적인 모습을 보이는 현대의 소비자와 같은 맥락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소셜 커머스 소비자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제공되는 선구매자의 사용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실험 진행은 참가자들에게 소셜 커머스에서 직접 물건을 구매하는 것과 같은 가상의 웹 페이지를 보여준 후 참가자가 직접 판매자 정보와 함께 선구매자 사용정보의 유무에 따라 정보 신뢰도를 결정하고, 설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로 상품의 종류와 선 구매자가 제공하는 정보의 유무에 따라 정보 신뢰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이 입증되었다. 이 연구는 소셜 커머스라는 상황 아래에서 소비자들이 선구매자 사용정보를 신뢰하고 선호한다는 것을 보였다. 결과에 뒤이어, 실험의 의의와 향후 연구과제 또한 논의하였다. As one of the 'web 2.0' figures, the social commerce is known as a new type of e-commerce with 'communication among consumers' via interaction among users. It can be said that the social commerce has common thing with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users who is active in a market.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Korean social commerce users' acceptance of information which is from social network service(SNS). In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imitated images of existing social commerce web site. The independent measure were information from former users and type of products. The dependent measure was perceived reliability on inform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wo independent variables are significant for reliability on information in social commerce environmen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nd future works a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가 국가간 상품 생산분할에 미치는 영향

        양주영 ( Jooyoung Yang ),이영수 ( Youngsoo Lee ),김한성 ( Hansung K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8 질서경제저널 Vol.21 No.1

        본 연구는 수출 및 경제성장과 관련하여 상반된 기대효과를 갖고 있는 지적재산권 강화가 특허집약적 산업의 상품 생산분할 패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국가간 생산분할 측정을 위해 1995년~2011년간의 WIOD(world input output database) 데이터를 이용하여 총수출, 부가가치 수출, 부가가치 수출비율(VAX ratio) 등을 계산한다. 이와 함께 지적재산권 보호 정도를 측정하는 IPR 지수와 산업별 특허집약도를 이용하여 각국의 지적재산권 강화가 상품 생산분할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토한다. 40개국 23개 산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적재산권 강화로 인해 특허집약적 산업의 부가가치 수출과 총수출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음이 나타났다. 또한 지적재산권 강화는 특허집약적 산업에서 VAX ratio로 측정된 상품 생산분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strengthen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ich are expected to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n exports, affects the production fragmentation of patent-intensive industry. We first measure total export, value-added export and value-added-export ratio (VAX ratio) from WIOD (world input output database) during 1995~2011. In addition, using the IPR index and industry- level patent intensities, we empirically test the effect of strengthening of IPRs on international production fragmentation for 23 industries in 40 countries. The results first answer the question if strengthen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ave a positive impact on value added exports and total exports of the patent-intensive industry. According to the results, as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strengthened, the value added exports and total exports in the patent intensive industry are relatively increased compared to the patent intensive industries. That i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patent protection system is biased toward the patent-intensive industry, and it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industry. Secondly, we empirically test if the strengthen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trengthened the production fragmentation in the patent-intensive industry.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duction fragmentation in patent-intensive industry was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that in patent-intensive industry. Therefore, as the patent protection system is strengthened, the domestic technological innovation of the patent-intensive industry is promoted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production fragmentation is relatively weakened by promoting the production of the technical material used as the intermediate inputs. These results provides policy implication that in order to cultivate a patent-intensive industry domestically, the strengthen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as a positive effect. However, these results may be due to the industry-specific characters in patent-intensive industry and to see the impact of strengthening of IPRs on other industries, further detailed investigation should be follo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