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공지능으로부터 설명된 자아 〈eXplainable Human〉

        양종훈(Jonghoon Yang),석정현(Jeonghyun Seok),김나은(Naeun Kim),탁나영(Nayeong Tak),한혜지(Hyeji Han),주다영(Da Young Ju)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본 작품은 관객과 인공지능 간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자아에 대해 설명받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이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미디어아트에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1]. 이러한 흐름 속 본 작품은 흔히 떠오르는 정교한 인공지능의 모습과 달리 단편적 데이터로 이루어져 명확한 한계를 의도적으로 드러내는 인공지능을 제작하여 그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던지는 것으로 시작된다. 또한 이런 인공지능의 한계를 작품의 메시지로 활용하여 단순하게 설명되지 않는 자아의 입체성과 모호성을 표현하였다. 특히 인공지능의 한 분야인 XAI(eXplainable AI)를 모티브로 삼아 이러한 자아의 설명 가능성을 다루고자 하였다. 작품 속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인공지능 대형언어모델인 GPT-3 가 활용되었으며 이는 자아에 대한 작품의 마지막 답변을 내놓는데 반영된다. 작품에 참여한 관객은 인공지능과 대화하며 자신의 자아에 대해 설명받고 이에 대한 일치와 충돌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자아는 설명 가능한가에 대한 질문을 관객에게 던진다.

      • KCI등재

        현대 “新 다큐멘터리 사진” 탐색의 길 : 양옌캉(楊延康)의 사진집 심상(心象) 에 대한 종교적 감정 표현

        두효미(Dou Xiaowei),양종훈(Yang Jongh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현대 다큐멘터리 사진의 한 트렌드는 사진작가의 독립적인 감정과 세계관을 표현하는 것이며, 이는 사진작가들에게새로운 과제와 더 높은 추구를 초래하였다. 본 논문은 중국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양옌캉을 연구한다. 그의 작품 심상(心象) 시리즈를 사례로 촬영할 때 사진작가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고, 그가 어떤 방식으로 사진을 통해 종교 사상을전달하는지 탐구하며, 이를 통해 사진작가의 창작에 참고할 수 있는 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호학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언어 정보 기호, 코드 정보 기호와 은유 기호 등 3가지 기호학 구조 측면에서 출발하여 사진작가가 사진을 통해 독자에게 전달하는 다양한 차원의 메시지 기호를 분석하고, 메시지와 독자의 감정 연결 방식을 고찰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전형적이고 대표적인 사진을 선정하여 양옌캉의 사진에서 티베트 불교와 관련 메시지 기호의 구축 과정, 작품 내용과 종교 사상의 표현 방식을 분석하고, 사진의 메시지 정보 요소에서 사진의 심층적 의미를 탐색하며, 이를 통해 미래 다큐멘터리 사진에 대한 더 많은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As we all know, another trend in contemporary documentary photography is to express the photographer’s self-independent emotion and worldview, which brings new topics and higher pursuits to photographers. In this paper, by studying the Chinese documentary photographer Yang Yankang, taking his series of works “Mind Image” as an example, this article analyzes the photographer’s emotional state during shooting, and explores the ways in which he expresses religious thoughts in his photos, in order to make a difference to the photographer’s creation. This article adopts semiotic analysis methods, starting from the three semiotic structural levels of “linguistic message signs”, “coded message signs”, and “metaphoric signs”, deconstructing photographers conveying different levels of information signs to readers through photos, interpreting messages and readers the way to create an emotional connection. The article selects typical photos, specifically analyze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ibetan Buddhism-related information symbols in Yang Yankang’s photos, analyzes the content of the work and the expression of religious thoughts, finds the deep meaning of the photos from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photos, and thinks based on this Documentary photography has more possibil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앙드레 바쟁의 영상 존재론과 허우샤오시엔 영화의 롱 테이크 유사성: 허우샤오시엔의 각 시기별 대표 작품을 중심으로

        서빈(XU BIN),양종훈(Yang Jonghoon),이상은(Lee Sang Eun)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8

        본 연구는 영화에 사용되는 롱 테이크(long take)의 표현 의미를 탐구하고, 또한 허우샤오시엔의 영화를 사례로 하여 앙드레 바쟁(André Bazin)의 영화 현실주의 이론의 영상 존재론을 기초로 허우샤오시엔 영화에서 롱 테이크와 앙드레 바쟁의 영상 존재론 사이의 유사성을 분석한다. 허우샤오시엔 영화에서 롱 테이크를 분석할 때 우선 연구 소재를 감독의 창작 시기에 따라 ‘성장’, ‘타이완’과 ‘세기말의 화려함’등 3시기로 나누고, 또한 영상 존재론에 따른 재현 세계의 완전성, 시공간의 진실성, 영상과 객관 현실에서 촬영 대상의 동일성 등 세 가지 측면을 분석 프레임으로 하여 각각 비교 분석하며, 이를 통해 양자의 유사성을 고찰한다. 연구 결과 허우샤오시엔의 각 시기별 대표 작품은 모두 바쟁의 영상 존재론과 일정한 유사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허우샤오시엔 롱 테이크는 현실을 중점적으로 재현하는 것이며, 그는 롱 테이크를 통해 영화의 기조를 설정하고 관객이 영화 시청과정에서 스토리에 대한 공감 발생을 유도한다. 아울러 관객은 할리우드식 몽타주 프레임에서 벗어나 롱 테이크가 발생시키는 깊은 의미를 새롭게 인식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 영화 창작자의 롱 테이크 사용에 대한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영화 화면 이론 체계에 기여 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expression meaning of long take in the film, we select Hou’s film as an example, The similarity between long take in Hou’s film and Andre Bazin’s image ontology is analyzed based on the image ontology in realism theory of Andre Bazin’s film.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long take of Hou’s film, based on the creative period,the research material has been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phases such as : ‘growth’, ‘Taiwan’ and ‘gorgeous at the end of the century’. The comparative analysis will be done and we are looking for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through various analysis carrier based on the image ontology to reproduce the integrity of the world, the authenticity of time and space and the consistence between film and objective reality . The results show that the representative works of Hou in different periods are similar to Bazan’s image ontology. It can also be seen from the study that the focus of the long take is to reproduce reality. Hou sets the tone of the film through the long take to guide the audience to resonate with the story while watching the film. At the same time, let the audience get rid of Hollywood montage framework, to help the audience re-understand the profound significance of long take.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inspiration for film creators to use long take and contribute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oretical discussion on film shot.

      • KCI등재

        영화 포스터의 서사적 재현 분석: 영화 <원 세컨드>의 ‘영화 연애편지’ 시리즈 포스터를 중심으로

        서빈(XU BIN),이상은(Lee Sang Eun),양종훈(Yang Jonghoon)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9

        본 논문은 영화 포스터에서 나타나는 서사 재현(narrative representations)의 역할과 표현 방식을 연구한다. 구체적으로 영화 <원 세컨드>의 ‘영화 연애편지’ 시리즈 포스터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시각 디자인 문법(visual grammar)의 재현적 메타기능(representational meaning)이 영화 포스터에서 어떻게 발휘되는지 분석하였다. 영화 <원 세컨드>의 연애편지 시리즈 포스터 분석을 위해 연구 소재의 서사 재현 과정(narrative process)에 대한 의미를 행위 과정(action process), 반응 과정(reaction process), 담화/심리 과정(speech/mental processes)으로 분류하고 이 세 가지 과정이 영화 포스터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행위 과정은 주로 영화의 주제를 표현하고, 반응 과정은 영화의 인물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담화/심리 과정은 주로 영화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화 포스터의 효과적인 정보 전달 방식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멀티모달 담론 분석(multimodal Discourse Analysis)을 통해 영화 포스터의 진정한 가치를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ole and expression ways of the narrative representations object to analyze the funchtion of the representational meaning of the visual grammar in the film poster. In analyzing the love letter series posters of the film “One Second”, the research material is firstly divided into action process, reaction process and speech/mental process according to the narrative reproduction process, and then respectively explore how the three parts are highlighted in the film pos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action process mainly represents the theme of the film, the reaction process mainly conveys the character relationship information of the film, and the speech/mental process mainly conveys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film.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nveying the poster message effectively, as well as try to analyze the real value of film posters from the multi-modal discourse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