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경전에 나타난 善終의 의미 : 『잡아함경』의 선종사례를 중심으로

        양정연 ( Jeong Yeon Y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3 禪文化硏究 Vol.15 No.-

        이 논문은 불교의 선종사례에서 나타난 가르침의 특징을 고찰하는 데 있다. <잡아함경> 선종사례를 보면, 붓다는 임종과정이나 중병에 든 출가자에게 오온과 육입을 여실하게 관찰할 것을 가르친다. 존재론적인 측면에서 세간의 모든 현상의 실상을 파악하고 무상하기 때문에 탐착할 것이 없다는 점을 인식 하도록 한다. 재가자의 선종사례에서 설명되는 사불괴정은 삼보와 계에 대한 믿음으로서 죽음과 후세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준다. 열반에 대한 직접적인 가 르침이 아니라는 점에서 낮은 단계의 교설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 굳건한 믿음을 성취하면 성인의 단계에 이를 수 있다는 점에서 불교 전체의 수행체계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초기경전에서는 선종을 맞이하기 위하여 후회하거나 걱정하는 마음이 잘못 된 사유에서 오는 것임을 스스로 깨닫도록 한다. 이러한 점에서 불교의 임종사 례를 호스피스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주어진 환경과 현상세계에 대한 각성의 돌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ings about good death in Buddhism. In the case of good death in Samyukta-agama, Buddha taught seriously ill or dying Monks how to take the Five Aggregates and the Six Entrances as they are. The teaching made them aware of the impermanence and transiency of all phenomena in the world through ontological inquiry and do not attach to the world. Four objects of unfailing purity, the solid faith in Three Jewels and the Moral Law, were taught to Lay Buddhists and the faith made them get rid of the fears about the eternal cycle of death and rebirth. This can be considered as the teaching for the man of low - level capability because it does not teach Nirvana directly. But the faith should be understood as an aspect of system of Buddhist practices because it is connected with the attainment of the stage of Saints. The teachings about good death make us realize that the scruples or worries come from misunderstanding. From the Buddhist view of good death, the care of awareness of all the phenomena is necessary for hospice patients.

      •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대화방법 특성

        양정연(Yang, Jung-Yeun),최예린(Choi, Yaelin) 한국통합치료학회 2010 통합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 집단을 언어연령으로 일치시킨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대화방법 중 차례지키기, 주제유지 여부, 주제유지 방법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언어연령 6세 3개월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 10명과 이들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0명으로 구조화된 상황과 비구조화된 상황에서 연구자와 말 주고받기를 하여 대화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집단과 차례지키기 유형 간 발화 빈도수 차이 결과, 집단과 차례지키기 유형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또한, 차례지키기를 인접발화, 불명료발화로 나누어 비교하였는데,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인접발화 빈도수가 많았으며, 비인접발화 빈도수는 적었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불명료 발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과 주제유지 여부에 따른 발화 빈도수 차이 결과, 두 집단 모두 주제유지 발화 빈도수가 더 많았다. 그리고, 두 집단 간 주제 유지 발화 빈도수는 차이가 없었지만, 주제 비유지 발화 빈도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이 더 많았다. 셋째, 집단과 주제유지 방법에 따른 발화 빈도수 차이 결과, 집단과 주제유지 방법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두 집단 간 주제유지 방법 발화 빈도수의 비교 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이 새로운 정보를 더하지 않는 방법의 발화 빈도수가 더 많았다. 넷째, 대화방법에서 차례지키기, 주제유지 여부, 주제유지 방법을 구조화된 상황과 비구조화된 상황으로 살펴본 결과, 차례지키기, 주제유지 여부, 주제유지 방법 모두에서 집단과 구조화 유무 간 상호작용의 효과가 없었다. 또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is research compared a group of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to general children accordant with linguistic ages and observed Turn-taking, keeping, topic-sustenance, and methods for topic maintenance in conversation situations. Research targets were 10 adolescents with ASD and general children who fall into the age 6 and 3 months for linguistic age. First,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frequenc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and type of turn-taking, there wer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the group and the type of turn-taking. Adolescents with ASD showed more adjacent utterances and less non-adjacent utterances than general children.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frequenc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and type of keeping topic sustenance, there wer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the group and the type of keeping topic sustenance.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frequency of sustaining the topic was higher than the frequency not sustaining the topic for both groups.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frequenc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and the topic maintenance method, there wer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the group and the topic maintenance method. Fourth, the results of dividing the observing conversation methods into structured and non-structured situations and studying it there were no correlative action effects between the group and the structualization in all of the observing conversation methods.

      • KCI등재

        파이프 체결을 위한 3차원 측정 및 기구적 구속조건 기반의 설계 방식

        양정연(Jeong-Yean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선박은 다양한 파이프 배관을 필요로 하는 거대한 시스템에 해당한다. 내부의 복잡한 파이프를 배치하는 것은 설계 도면을 따라 진행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측정 및 시공 오차에 의해 파이프간 체결 위치가 서로 맞지 않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연결할 양쪽 파이프의 위치를 측정하여 어긋난 위치를 보정하는 파이프 체결부를 새로 설계하여 연결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오차를 가진 파이프 체결 공정을 기술적 접근을 통해 보완하고자 한다. RGBD 센서의 질점 정보를 이용하여 파이프 위치를 측정하고 양쪽 파이프간의 상대적 위치, 방향의 틀어짐을 로봇의 역기구학으로 해석하여 체결부 파이프의 외관을 보정, 설계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파이프의 위치 측정을 위한 질점기반의 정합 과정 및 확률 기반 접근론인 RANSAC을 이용하여 파이프의 좌표계를 추정하고 실험을 통해 제시한 방법의 정확도를 논하고자 한다. 또한 파이프 체결부 설계를 위해 최소한의 자유도를 이용하여 연결가능한 기구학적 정보의 추출 방법론을 다루고자 한다. Ship is a huge system including a variety of pipe arrangements. Pipes a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design layout, however the end poistion of pipes are not well matched owing to its measurement and construction errors. In this situation, the customized pipe fitting is frequently designed to connect with both pipes, the position of which are manually measured. This paper focused that these two coordinates are measured by point cloud from RGBD sensor and the relative transformation induced by positional and orientational differences is calculated by inverse kinematics in robotics theory. Therefore, the result applies for the methodology of the pipe connection design. The pipe coordinate that is estimated by the matching and the probabilistic RANSAC method will be verified by experiments. The kinematic design parameters are computationally calculated by using the minimum degree of freedom that connects both pipe coordinates.

      • KCI등재

        상품 리뷰 요약에서의 문맥 정보를 이용한 의견 분류 방법

        양정연(Jung-yeon Yang),명재석(Jaeseok Myung),이상구(Sang-goo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36 No.4

        e비즈니스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소비자들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수많은 상품을 접할 수 있게 되었고, 상품구매 시 다른 사람들의 리뷰를 참고하게 되었다. 하지만, 리뷰의 수도 많아짐에 따라 소비자가 모든 리뷰들을 살펴보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리뷰의 상품에 대한 평가를 요약하고 성향을 파악하는 오피니언 마이닝 연구가 나타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상품리뷰를 대상으로 오피니언 마이닝을 수행하는 경우 어휘의 의견 성향을 파악할 때, 문맥정보를 활용하여 기존의 의견분류방법 보다 좀 더 정확한 의견 판단이 가능한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어휘가 사용될 때의 문맥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의견분류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기존 연구보다 상황별 알맞은 의견분류가 가능함을 보였다. 또한 수작업으로 말뭉치의 핵심 어휘들을 정의했던 기존 연구들에서의 방식에서 벗어나, 리뷰본문과 리뷰점수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상황에 맞는 말뭉치를 구축하는 방법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상품리뷰에 나타난 어휘들의 문맥에 맞는 의미 성향을 정확하고 쉽게 판별해 낼 수 있게 되었다. As the trend of e-business activities develop, customers come into contact with products through on-line shopping sites and lots of customers refer product reviews before the purchasing on-line. However, as the volume of product reviews grow, it takes a great deal of time and effort for customers to read and evaluate voluminous product reviews. Lately, attention is being paid to Opinion Mining(OM) as one of the effective solutions to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for opinion sentiment classification of product reviews using product specific context information of words occurred in the reviews. We define the context information of words and propose the application of context for sentiment classification and we show the performance of our method through the experiments. Additionally, in case of word corpus construction, we propose the method to construct word corpus automatically using the review texts and review scores in order to prevent traditional manual process. In consequence, we can easily get exact sentiment polarities of opinion words in product reviews.

      • KCI등재

        여자대학생의 식생활습관, 체형 및 체중조절 태도와 피로자각증상과의 관련성

        양정연(Yang, Jung-Yeon),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식생활 습관, 체형 및 체중조절태도와 피로자각증상과의 관련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대전광역시의 6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1~4학년 여자대학생 508명을 대상으로 2012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조사표(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에 의해 설문조사 하였다. 조사내용은 조사 대상학생들의 기본적 속성 및 일상생활 상황, 식생활습관, 체형 및 체중조절 태도, 피로자각증상에 관한 항목으로 구 성하였다. 연구결과, 피로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한 가지 음식만의 식사. 외식 빈도, 저녁식사의 섭취상 황, 인스턴트식품 섭취빈도, 시리얼 및 아이스크림 섭취빈도, 콩류 및 콩 제품류 섭취빈도, 우유 및 유제품류 섭취빈 도, 설탕의 과잉섭취에 대한 주의, 식염의 과잉섭취에 대한 주의, 체형의 자기평가, 체중조절의 지향 등의 식생활습관, 체형 및 체중조절 태도에 관련된 여러 변수들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건전한 식생활습관을 하기 위한 노력이나 보다 더 객관적인 평가에 의한 체형 및 체중조절의 자기평가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ccess the dietary habits and weight control attitudes in college women, and to correlate them to the subjective fatigue symptoms. The research subjects are 508 women enrolled for studies in undergraduate school from freshmen to senior year in Daejeon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Apr. 1st to May 1st to May 31st, 2012. In the questionnaire encompasses general characteristics, daily life style factors, dietary habits, attitude toward body type and weight control, and subjective fatigue symptoms. As a results,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subjective fatigue symptoms were selected various factors such as frequency of the one food, frequency of dining out, having dinner, frequency of instant food intake, frequency of cereal, ice-cream intake, frequency of bean, soybean product intake, frequency of milk, milk product intake, consider excessive intake of sugar, consider excessive intake of salt, self-perception on body type and desire to control weight. Therefore, we can find out that their subjective fatigue symptoms are correlated to the factors in dietary habits, attitude toward body type and weight controls. It is concluded dietary habits and attitude toward body type and weight control themselves cause one’s subjective fatigue symptoms, not because of each variables. So, it need efforts of having regular diets, making balanced body and controling body weights by objective ranges.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근대시기 "종교" 인식과 한국불교의 정체성 논의

        양정연 ( Jeong Yeon Y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2 No.-

        본 연구는 근대시기 기독교의 유입과 외부세계와의 교류 속에서 한국 불교계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보여줬던 인식과 대응을 고찰하는데 있다. 근대시기 기독교의 유입은 불교계에 있어서 위협이면서도 자성의 기회를 마련해주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불교의 근대화는 교육, 포교, 인재양성의 방향으로 설정되었으나 불교계 조직체계의 근대화가 아닌 인물위주의 변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전개되었다. 왜냐하면 불교계는 조선시대가 끝나면서 곧바로 일본불교와 일제의 영향을 받게 되면서 자주적으로 체계적인 조직을 갖추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대화에 따른 불교계의 존립문제는 개인의 변화를 통해 해결되어야 했다. 근대시기 한국불교계의 변화노력은 재가자가 배제된 채 출가승 주도로 이뤄졌다. 출가승들은 종교로서의 불교를 대(對) 사회적인 관점에서 파악하였으며 근대화된 사회와 교류하기 위해서 자신이 먼저 근대문명의 소양을 갖춘 인물이어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대중을 위한 활동에 출가승으로서의 계(戒)가 장애가 된다면 그 계는 바뀔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계는 종교수행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서 별해탈계(別解脫戒)는 가장 청정한 행이 된다. 계는 깨달음을 이루기까지 철저하게 수지되어야만 한다는 점에서 계를 버린다는 것은 결국 불교수행자가 아닌 것이 된다. 따라서 파계(破戒)의 문제는 근대성 인식의 범주 내에서만 논의될 수 있는 것이다. 근대시기 출가승들에게 종교수행의 완성과 종교의 대 사회적 역할은 절충의 문제가 아닌 선택의 문제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그 당시 계율을 지키면서 자신의 수행을 추구하는 모습은 오히려 대중을 여읜 것으로 간주되었고 대승 보살의 정신을 상실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들은 스스로 근대인이 됨으로써 종교인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자 했으며 이것이 대승의 가르침을 이루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perception and countermeasure against the influx of Protestantism and the contact with the outer world, which Korean Buddhist world took in the process of constituting its identity. The introduction of Protestantism was a threat to Korean Buddhism and also gave an impetus to the Buddhist self-examination in modern Korea. Education, propagation and nurturing talent were the targets for modernizing Buddhism but the change was made for discovering talented people not for modernizing the system of Korean Buddhism. The Buddhist world could not have the chance to establish its organization autonomously because it was directly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and Japanese Imperialism right after the fall of Joseon. So the problem of the existence of Buddhism should be solved by the individual change. Buddhist monks led the efforts to change the Buddhist world in modern Korea and lay practitioners were excluded. Monks looked at Buddhism from a social perspective and thought that they should be well grounded in modern culture to communicate with the modern society. So they thought that they could change the precepts which hindered their activities for people. The precepts are the most fundamental principles for religious practice and Pratimoksa is the most pure practice. Precepts should be kept thoroughly until practitioners attain the enlightenment so those who discard the precepts are not Buddhist practitioners any more. Thus, renouncing the precepts could be reviewed only for understanding modernity. Buddhist monks in modern Korea considered that the accomplishment of religious practices and its social roles were issues of choice, not comprise. Therefore, those who would keep their precepts and hold their religious practices were considered as Buddhist practitioners who would leave human beings and discard Bodhisattva ideal. They tried to perform roles of religion in society as religious practitioners by becoming modern people and they thought that they could accomplish Mahayana teachings by doing that.

      • KCI등재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확률적 분포 정책 모델링과 이에 기반한 추계적 전략

        양정연(Jeong-Yean Ya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16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1

        This paper describes a study on the locomotion of a cleaning robot through a stochastic strategy. Considering that a cleaning robot has the limitation of sensors and actuators, stochastic approaches are proposed to improve the locomotion performance in uncertain environment where unknown shaped objects exist. The proposed stochastic strategy, which is based on the policy that depends on probabilistic distribution, has the functionalities of obstacle avoidance, space searching, and wall-following. Each task is developed under the concept of probabilistic distribution, which does not depend on sensor and actuator accuracy. From the virtual and the actual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stochastic strategy is characterized by its robustness in uncertain environment. As a result, the proposed strategy is possibly extended into space estimation according to the continuous wall-following function.

      • KCI등재

        生前預修齋的死亡教育意義

        양정연 ( Yang,Jeongyeon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5 No.-

        최근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죽음교육과 자신의 생전 장례식은 자신다운 죽음이란 관점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지만, 생사학에서는 죽음의 무의미한 연장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이 문제를 다룬다. 장례식은 다음 세상으로 떠나는 통과의례의 표현이며 망자와 남은 자 사이에 영적 교류가 이뤄지는 현장이다. 이런 점에서 생전에 미리 자신의 장례를 치르는 재의식인 불교의 생전예수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생전예수재에는 의례적인 측면과 교육적인 측면이 있다. 재의를 통하여 우리는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한 인식과 함께 삶의 방향성과 의미를 성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전예수재는 죽음교육이 이뤄지는 장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생전예수재는 단순히 내생의 공덕을 위한 의식이 아니라 불도(佛道)의 실천이 요구되는 수행의 의례이다. 본 논문은 이런 점을 죽음교육과 연계하여 검토한다. Recentl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death education and living funerals, which are mainly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one’s own death. But life and death studies deals with this issue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unnecessary prolongation of death. A funeral is an expression of a rite of passage to the next world and a site of spiritual interaction between the dead and the bereaved.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Buddhist funeral ceremony in advance. There are ceremonial and educational aspects in the funeral. We can recognize the world after death and reflect on the direction and meaning of life through the ceremony, so it has meaning as a site where death education takes place. The funeral is not simply a rite for the next life but a religious training which requires the practices of the Buddhist teachings. This article examines the point in connection with death education.

      • KCI등재

        타이완 ‘러링’ 학습에 대한 생사학적 고찰: 노화와 죽음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양정연 ( Jeongyeon Y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논문은 타이완 노년 교육의 기반이 되는 노화와 죽음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여, 노년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에 따른 대책의 이론적 근거로 제시되는 성공 노화, 활동 노화, 생산 노화 등 기존의 이론을 검토하고, ‘러링’학습이라고 통칭되는 타이완의 노년 교육을 통해 그 이론의 한계성을 검토하였다. 러링학습에서 생명교육 교재의 내용을 보면, 죽음과 생명 교육은 기존의 노화 이론에 근거하여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생사학적 관점에 기반하여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rikson의 9단계 이론과 Tornstam의 노년 초월 개념에서는 삶의 만족과 긍정성, 삶의 의미 추구를 말한다. 본 논문은 생사학의 죽음에 대한 관점과 노년 초월 개념에서 노화에 대한 인식에 공유점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것은 노화에 대한 인식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노년을 위한 정책과 교육 활동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perceptions of aging and death, which are the basis of senior education in Taiwan, and seek for the direction of the senio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article considered the theories such as successful aging, active aging, and productive aging, which are presented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countermeasures against the problems with aging, and examined the limitations of the theories through Taiwanese senior learning, commonly referred to as ‘Leling’[樂齡].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s of life education textbooks in the senior education, it was found that education on death and life is not based on the theories of aging, but on the Thanatological perspectives. In Erikson's ninth stage and Tornstam's concept of Gerotranscendence, they refer to life satisfaction, positivity, and the pursuit of meaning in life. This article focused on the fact that there is common ground in the perceptions of aging between the viewpoint of death in Thanatology and the concept of Gerotranscendence. This means that the perception of aging needs to be re-examined, and this change of perception can help to find a new direction for polici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 KCI등재

        일본의 ‘종활’(終活)에 대한 생사학적 관점

        양정연 ( Jeongyeon Y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이 논문은 종활(슈카쓰)에 대해 생사학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종활은 일본에서 저출산, 고독사와 같은 문제들이 사회적인 문제로 등장하면서 나타난 사회현상이다. 관련 교재와 자료들에서는 그 주요 내용을 노후의 삶과 유언장 작성 그리고 장례의 방식 등에 대해 자신이 계획하고 준비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본 논문은 그 관련 내용들을 분석하여, 종활의 배경을 가족 관계의 변화, 장례와 죽음에 대한 인식 변화에서 검토한다. 종활 활동에는 죽음을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정의하고 그 처리는 남에게 성가시고 폐가 될 수 있는 생물학적인 삶의 결과를 치우는 것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다. 현재 일본에서 이루어지는 종활은 죽음에 대한 활동, 그리고 자신의 삶에 대한 마무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죽음에 대한 준비교육은 생사학의 죽음과 죽음의 과정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Syukatu from the perspectives of Life-and-Death Studies. Syukatu became a social phenomenon as the issues such as low birthrate and solitary death emerged as social problems in Japan. The related texts and materials explain that the main focuses in Syukatu are planning for the old age, making a will and preparing for a type of burial service etc. in your own way. This article reviews them and examines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s within the family and in the perceptions of death and funeral services. Syukatu activities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perceptions that death is defined by the biological aspects of death and the disposal of body as the remains of life can be troublesome. The death education in Syukatu which aims to prepare for death and the ending of your own life should be based on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death and dying process of Life- and-Death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