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과 직무열의에 대한 구조모형: 확장된 직무요구-직무자원 모델의 적용

        양은옥,구미 한국노인간호학회 2022 노인간호학회지 Vol.24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test a structural model for burnout and work engagemen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expanded Job Demand -Job Resources Model by Xanthopoulou, Baker, Demerouti, and Schaufeli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nurses’ burnout and work engagement .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232 nurses working in seven long-term care hospitals with over 100 bed located in Jeollanamdo and Jeollabukdo.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6 to February 16,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Results: The final model showed a good fit to the empirical data: The factors that influenced burnou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were resilience(β=-.37), emotional demands(β=.29), work overload(β=.24), organization-based self-esteem(β=-.19), and social support(β=-.18) explaining 60.5% of the varianc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work engagement for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were resilience(β=.44), burnout(β=-.32), and career-growth opportunity(β=.18) explaining 66.4%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is recommended as a model to explain and predict the burnout and work engagemen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results suggest that strategies for decreasing the burnou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should focus on resilience, emotional demands, work overloa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In addition, strategies for increasing nurses’ work engagement should focus on resilience, burnout, career-growth opportunity, and social suppor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은옥(Eun Ok Yang),최인령(In Ryung Choi),김성민(Seong-Min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7 스트레스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수면장애와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J도의 J시, G시, N시에 있는 3교대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175명이 편의 추출되었으며, 일반적 특성, 수면장애, 직무 스트레스, 간호사 이직의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포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수면장애와 이직의도 간,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 수면장애와 직무스트레스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임상경력, 직무 스트레스의 하부영역 중 직장문화, 급여수준, 수면장애 총합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대근무 간호사 이직의도의 예측요인 뿐 아니라 이직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Background: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hat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that can contribute to reducing turnover rate among nurses,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sleep disorder and job str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shift working nurses and understanding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ir turnover inten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88 nurses working 8-hour shifts in J-city, G-city and N-city, of which 13 respondents who produced unreliable answer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making the total number of valid questionnaire 17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 12.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s for correlation between domains, sleep disorder and turnover inten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 total job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Variable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among the subjects were; the more clinically experienced, and in regards to job stress, the less adapted to workplace climate, the lower the level of payment and the more serious the sleep disorder. Conclusions: In conclusion, as a nurse in shift work, the more clinical experience, the less the salary, the more sleeping obstacles, the less the job adaptation to the work culture, the more the degree of turnover is found to be high.

      • KCI등재

        직무요구-자원모형을 기반으로 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양은옥(Eun-Ok Yang),구미(Mee-Ock G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는 Xanthopoulou 등(2007)의 확장된 직무요구-자원모형을 기반으로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요양병원 간호사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8월 25일부터 2018년 9월 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Maslach Burnout Inventory, Copenhagen Psyco-social Questionnaire version II,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및 Thomas & Ganster (1995)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은 직무요구(r=.24, p=.002)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회복탄력성(r=-.43, p<.001)과 사회적지지(r=-.41, p<.001)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회복탄력성(β=-.28, p<.001), 사회적 지지(β=-.20, p=.016), 직무요구(β=.17, p=.016)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2.0%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 예방 및 감소를 위해 직무요구를 줄이고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의 수행을 적극적으로 권장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burnou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based on the expanded JD-R model (Xanthopoulou et al, 2007). Participants were 167 nurses who worked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version II,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and the instrument developed by Thomas and Ganster (1995).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5 to September 6, 2018 and analyzed based on frequency,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Nurses" burnout in long-term care hospital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demands (r=.24, p=.002)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r=-.43, p<.001) and social support (r=-.41, p<.001).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burnout were resilience (β=-.28, p<.001), social support (β =-.20, p=.016), and job demands (β=.17, p=.016) ), which together explained 32.0% of the total variance in burnout. Therefore, we strongly recommend interventions that reduce job demands and enhanc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o prevent and reduce the burnou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SCOPUSKCI등재

        자연휴양림 이용자의 의료비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박병화,김성기,양은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4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7 No.6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에 따른 스트레스와 인구 고령화로 인해 의 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당뇨 및 고혈압 등의 만성질 환으로 인한 의료비가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산림을 활용한 건강증 진 활동에 대한 수요 및 공급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주 5일제 시행 및 웰빙과 힐링에 대한 사회적 관심사로 인해 캠핑이나 등산, 휴양림 등 숲을 방문하고자 하는 수요증가와 함께, 자연휴양림 및 산림 치유의 숲등을 통한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산림청의 산림휴양서비스 제공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를 바탕으 로 자연휴양림에서의 활동이 주관적인 의료비 절감효과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였다. 피톤치드 등의 산림의 치유인자들에 대한 건강증 진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지만 실제 자연휴양림에서의 휴양 및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증진 효과가 어느 정도이며, 이에 따른 의료비 절감효과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통계가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자연휴양림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 수집을 통해 자 연휴양림에서 활동과 의료비 관계를 밝힘으로써 미래에 지출 될 의 료비용을 감소시킬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설문에 참 여한 자연휴양림 이용자의 54.1%가 의료비가 감소되었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자연휴양림 이용 후 연간 병원 방문횟수는 평 균 5.8회가 감소하였다. 또한, 자연휴양림 이용을 통해서 연간 130,162원의 의료비 감소효과를 느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추계된 의료비 감소액을 통해 2012년 자연휴양림 이용자 11,614천 명의 의료비 연간 절감액을 추정해보면 약 1조 5천억 원의 의료비 감 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2010년도 우리나라 국민 총 의료비 지출 금액 82,927십억 원(MH&W, 2011) 대비 1.8%의 의료비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앞으로 더 많은 국민이 자연휴양림 을 이용한다면 의료비 감소효과는 더욱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자연휴양림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것으로 이용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의료비 감소효과를 추계한 연구로 실제 산림을 통한 건강증진 및 질병치유에 따른 의료비 절감효과와 는 구분되어야 한다. 자연휴양림 방문자들의 의료비지출과 관련한 자료가 전무한 까닭에 연구의 한계가 있으나 설문의 통한 주관적인 의료비 절감효과를 분석한 것에 따라 방문자들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자료가 구축되어 진다면 추후 실증적 이고 다각적인 방법으로 연구가 가능할 것이며, 본고가 이에 대한 선 행연구로 도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s to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r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medical expenses, and number of hospital visit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using natural recreation forests in reducing medical expenses.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users of 14 natural recreation forests around the nation in 2013; then, 927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54.1% of the respondents felt the reduction in medical expenses due to health improvement through the us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the number of hospital visits per year decreased by an average of 5.8 times after using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the yearly average medical expense reduction amounted to 130,162 won. Given the effectiveness in reducing medical expenses for 11,614,000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rs in 2012, the effectiveness in reducing medical expenses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5 trillion won on a yearly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