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웨어러블 인솔 센서의 보행 수 측정 타당도 검증

        양세종(Sei-Jong Yang),박정희(Jeong-Hui Park),정현철(Hyun Chul Jung),김정현(Jung-Hyun Kim),이정민(Jung-Min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1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웨어러블 인솔(Wearable insole)에서 측정된 보행 수를 준거 검사 도구인 계수계(Manual hand counter)와 보행계수계(Pedometer)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인솔의 타당도(Validity)를 검증하는 것이다. 실험 참가자 25명은 트레드밀에서 속도마다 3분 동안 걷고 2분간 휴식했으며, 속도의 변화는 1.5km/h부터 7.5km/h까지 7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야외 지면에서는 서로 다른 3가지 속도(보통속도, 보통보다 느린 속도, 보통보다 빠른 속도)에 대한 보행 수를 측정하였으며, 일상생활에서도 보행 수를 최대 6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모든자료는 SPSS 25.0으로 분석되었다. 같은 실험조건에서 두 측정 도구 간의 보행 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Paired t-test)이 실시하였으며, 두 측정 도구 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 웨어러블 인솔로 측정된 보행 수의 평균 절대 오차율(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측정 도구 간의 일치도(Bland-Altman Plot) 및 동등성 검정(Equivalence testing)을 통해 웨어러블 인솔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트레드밀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웨어러블 인솔의 보행 수는 준거 검사 도구와 비교하여 6∽13% 오차율을 보였으며, 야외 지면에서도 속도가 증가할수록 보행 수의 오차율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관관계 또한 트레드밀의 1.5km/h 속도를 제외한 대부분 조건에서 높지 않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0.29∽0.69, 특히, 야외 지면에서 속도가 증가할수록 10% 이상의 높은 오차율과 낮은 일치도 및 큰 차이로 벗어난 동등성 검정 구간을 나타냈고, 일상생활에서도 웨어러블 인솔의 타당도는 앞에 트레드밀과 야외지면 조건보다 더욱 높은 오차율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웨어러블 인솔의 타당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후속연구에서는 더욱 정확한 준거 검사 도구를 활용하고 다양한 웨어러블 보행계수계를 추가하여 비교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Wearable Insole by comparing the steps measured on the criterion measures (i.e., Manual counter and the Pedometer). Twenty-five participants in the study walked for three minutes at seven different speeds (from 1.5 km/h to 7.5 km) and rested for two minutes on the treadmill. Also, the steps were measured at three different speeds (normal, slower speed than normal, and faster speed than normal) on the overground, and the steps in free-living were also measured for up to 6 hours with the pedometer. In all conditions, except for 3.5 km/h of the treadmill and faster speed than normal on overground, steps measured by Wearable Inso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criterion measure (p<.01). In addition, moderate correlations (range from 0.30 to 0.84) were found in most conditions except 1.5 km/h, and higher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s (range from 6.48% to 13.11% were found as the speed increased.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 there was a large deviation in the agreements between the two measures in free-living and the overground conditions, and Wearable Insole showed inconsistent using the equivalence test with the criterion measures. Therefore, the wearable insole utilized in this study do not provide 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the validity in assessing the step counts.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examine the validity using more accurate criterion measures with a larger sample size in the controlled setting.

      • KCI우수등재

        해방 이후 최초의 수원시 도시계획과 그 의미

        김태오,양세종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9 國土計劃 Vol.54 No.6

        1960년대 수원시 도시계획은 알려진 바가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알려진 내용조차 불확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67년 고시도에 담긴내용의 추정이다. 이를 위해 1967년 고시도에 대한 상반된 기존주장을 검증하고, 신규 발굴 자료를 토대로 고시도에 담겼을 내용을 추정·보완하고자 한다. 둘째, 추정·보완된 고시도 내용을통한 1967년 도시계획의 의미 정립이다. 이를 위해 1967년 도시계획이 이후 수원시 도시계획 및 개발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공간적 범위는 수원시를 기준으로 하나 수원시의 행정구역과도시계획구역이 그간 많은 변화를 겪어 왔음을 고려해 수원시 인접 지역도 포함한다.2) 시간적 범위도 1960년대를 중심으로 하나, 계획 간 연관성과 도시개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일제 강점기와1970~80년대도 광의의 범위에 포함한다. 관련 선행연구는 극히 드물다. 지금껏 알려지지 않은 자료의발굴을 다룬 연구 자체가 드물 수밖에 없을뿐더러, 그 자료의 의의를 규명한 연구는 더욱 드물기 때문이다. 다만 관련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과거의 사건, 사업 또는 연구결과를 현대적으로재해석한 연구까지 이에 포함할 경우, 1980년 강병기가 제안한 로사리오 계획(Rosario Plan)을 대중교통 중심 개발(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과 연계해 재해석한 연구(Sung and Choi, 2017), 1960~70년대 광주대단지 조성사업을 공업단지 조성과 연계해 분석한 연구(김태오·최막중, 2018) 등을 유사 연구로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최막중·최봄이(2017), 김태오·최막중(2017)의 연구도 이에 해당한다. 이들 선행연구는 통계 자료를가공해 사용하는 등 일부 정량적 연구방법을 활용하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 문헌 조사를 기반으로 한 정성적 연구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는 확보 가능한 자료의 한계와 일치하지 않는 통계자료 간의 신뢰성 문제에 기인한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방법도기본적으로 문헌 조사이다. 관련 논문, 중앙정부와 수원시 정부및 관련 기관의 간행물 및 내부문서, 언론 보도자료 등을 총망라한다. 1960년대의 도시계획이라는 연구대상의 특성상, 확보 가능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고, 미발굴 자료도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가능한 다양한 자료를 통해 연구 질문의 답을 찾고자 한다. 이후 제Ⅱ장에서 1944년부터 1960년대까지의 수원시 도시계획을 고찰한 후, 제Ⅲ장에서는 1967년 고시도로 알려진 도면의 진위검증을 통해 실제 고시도 내용을 추정·보완한다. 제Ⅳ장에서는추정된 고시도를 기반으로, 우리 정부에 의한 첫 수원시 도시계획이 지니는 의미를 고찰하고, 마지막으로 제Ⅴ장에서 이를 종합하여 결론을 맺는다.

      • 난개발 방지와 계획입지 확대를 위한 산업단지·공장총량 배정 개선방안

        이상대,김군수,양세종 경기연구원 2022 정책연구 Vol.- No.-

        □ Current status of industrial locations and factory site area in Gyeonggi Province. As of 2020, there are 94,850 factories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and the total manufacturing facility area is 83,552,000㎡. The number of factory in individual locations is 49,686 as of 2020, accounting for 52.4% of all factories. In Gyeonggi Province, as of June 2019, the number of factories is 68,681, and the ratio of factories in individual locations is 71.3% of total. The total allowable amount of industrial complexes in Gyeonggi Province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 7,600,000㎡ from 2021 to 2023. As of December 2022, the amount of execution to local government (Shi / Gun) is 7,259,000㎡. The total allowable amount of industrial zone area outside of industrial complexes in Gyeonggi Province is 2,380,000㎡ for 2021-2023, and the remaining amount of execution is 689,000㎡. The total amount of factories site in individual locations in Gyeonggi Province is 2,754,000㎡ for 2021-2023, and remaining amount of permit is 551,000㎡. □ The main direction of allocation and execution of industrial land(industrial complex/industrial area/individual factory site) in Gyeonggi Province Firstly, in accordance with Gyeonggi Provinces innovative growth strategy, that is “improvement of innovation capacity → advancement of industrial structure → concentration of high value-added companies → regional growth”, allocating lots of volume of industrial area should be given to the high value-added industries. Secondly, acquiring additional amount of the industrial lands for industrial complexes and industrial zones needs to the rearragement of existing dis-orderd unfactories. Thirdly, it is evitable to allocate the amount of factory site lands in connec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governments Growth Management Plan. It needs flexible management of industrial site supply through the practical withdraw of unstarted construction volume. Fourtly, It needs continuously increase the allocation of industrial lands to the city and county (Shi and Gun) in the northern and eastern regions, which are underdeveloped areas. □ Industrial area management by 3 zones of the Capital Region Readjustment Plan In the Growth Management Zone, industrial area allocation should be linked the investment demand of factories and the balance of job-housing ratio. In the Natural Conservation Zone, the develpment project size of industrial complexes should be amended and planned development for factory site should be encouraged. □ Improve the allocating and executing system of industrial land (industrial complex/industrial area/individual factory site) It needs to link allocation among the industrial complex, industrial area, and individual factory site. And, in order to minimize speculative demand for industrial complexes and factory site area and to reflect demand to the allocation program of industrial area, it needs submitting the Shi and Guns ‘factory demand survey report’ to Gyeonggi Provincial Goverment by annual. Finally, It needs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ion and processing system for the Geonggi Provincial Government for the efficent allocating and executing system of industrial l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