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발성난관암의 1예

        서병희(BH Suh),이원기(WK Lee),양문호(MH Y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9

        본원 산부인과에서 희귀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으로 사료되는 원발성 난관암 1예를 치험하였기에 간략한 문헌고찰과 아울려 증례를 보고하였다. Primary carcinoma of the fallopian tube is very rare in the female genital carcinoma. A case of primary carcinoma of the fallopian tube found postoperatively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concerned.

      • KCI등재

        원발성 난관암의 1예

        이천훈(CH Lee),이원기(WK Lee),양문호(MH Y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6

        본원 산부인과에서 희귀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원발성 난관암의 1예를 1976년 9월 보고 후 금번 또한 예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rimary carcinoma of the fallopian tube is very rare in the female genital cancer. A case of primary carcinoma of right fallopian tube with infiltrated up to the myometrium, occured in a 56-years-old married woman, found postoperatively is reported.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is added.

      • KCI등재

        Brenner 종양의 1예

        김무원(MK Kim),황염(Y Hwang),이원기(WK Lee),양문호(MH Y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11

        저자들은 조직학적으로 Brenner종양이라고 확진된 희유한 난소종양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 이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하였다. Brenner tumor is a relatively rare tumor of ovary.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Brenner tumor.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and a discussion concerning Brenner tumor are presented in this paper.

      • KCI등재

        악성 Brenner 종양 1례

        류회현(HH Lieu),김기덕(KD Kim),오보훈(BH Oh),주갑순(KS Ju),양문호(MH Y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5

        저자들은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악성 Brenner종양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alignant Brenner tumor is extremely rare tumor of the ovary, which contains histologically malignant epithelium as well as areas of the typical Brenner tumor. One case of malignant Brenner tumor is presented with the brief review of literature. It was not able to find and korean report of malignant Brenner tumor

      • KCI등재

        난소임신의 1예

        손건부(KB Sohn),문형(H Moon),이재현(JH Lee),양문호(MH Y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9

        ovarian pregnancy is rare type of ectopic gestation. Authors presented a case of ovarian pregnancy and references are briefly reviewed.

      • KCI등재

        자궁경관임신의 1예

        박희원(HW Park),손건부(KB Sohn),이원기(WK Lee),양문호(MH Y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10

        저자들은 46세의 경산부에서 발생한 자궁경부임신을 조기진단하여 자궁전적출술을 시행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자궁경관임신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고찰과 함께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Cervical pregnancy is a rare complication of gestation. The cdiagnosis of cervical pregnancy is rarely made clinically, prior to Curettage or instrumentation. Once the diagnosis of cervical pregnancy is made, conservative vaginal treatment shoud be attempted first. If conservative treatment fail, hysterectomy must be performed without delay. A case of cervical pregnancy confirmed by microscopic study postoreratively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concerned.

      • KCI등재

        자궁부속기에 발생한 융모암 2예

        류회현(HH Lieu),최동수(DS Choi),오보훈(BH Oh),목정은(JE Mok),양문호(MH Y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9

        Choriocarcinoma arising in the tube or mesosalpinx constitutes an exceedingly rare phenomenon which is still the only malignant neoplasm generally accepted as curable after systemic spread has occured. Two cases of exterauterine choriocarcinoma one case arising in a tube the other arising in mesosalpinx, are presented with the brief review of literature. Authors were not able to find Korean reports of mesosalpingeal choriocarcinoma

      • KCI등재

        임신 33 주에 초음파로 진단된 천미골 기형종 1 례

        박원식(WS Park),이선경(SK Lee),이재현(JH Lee),양문호(MH Y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4

        저자등은 1994년 7월 23세 초산부에서 임신 33주에 천미골기형종을 진단하여 보호자와의 협 의하에 임신을 종결시킨 경우 1례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CT(Sacrococcygeal Teratoma)is the most common tumor of the neonate and the incidence rate is about 5% of all congental anomalies at birth. Although these tumors are usually benign, a potential for malignancy exists, and the rate increases as fetal age. Dystocia secondary to tumor bulk or tumor rupture may occur complicating delivery. The majority of fetuses in this series died of secondary effects of their SCT, massive hemorrhage into tumor, associate anomaly and malignant potentials etc. Therefore the early prenatal diagnosis is very important and we present a case of large SCT with brief review, relatively late than gestational period.

      • KCI등재

        무뇌증 및 다발성 기형을 동반한 무뇌아의 임상적 고찰

        서병희(BH Suh),목정은(JE Mok),이재현(JH Lee),양문호(MH Yang),이재구(CK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11

        저자들은 1971년 10월19일부터 1977년 6월 30일까지 약 5년 8개월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무뇌증 및 다발성 기형을 동반한 무뇌와 12예에 대하여 5예의 부검을 포함한 임상 및 문헌적 고찰을 하였다. 1) 본 보고에서 선천성 기형의 발생율은 0.6%이고 이중 무뇌증 및 다발성 기형을 동반 한 무뇌아의 발생율은 0.24%였다. 2) 무뇌증의 원인은 아직 불분명한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본 증예 2와 7에서 임신 초기 에 내용 미상의 한약제에 노출된 사례와 증례 8과 11에서 임신중기의 일산화탄소에 노 출된 사례인 환경인자와의 관련성 및 증례 8에서 2회에 걸친 무뇌아 분만예인 유전성 인자와의 관련성이 암시되는 사건을 병력에서 발견할 수있었다. 3) 태아의 남성과 여성의 비는 6:6으로 동수였고 계절적으로는 12월에서 3월사이에 분 만되는 경우가 많았다. 4) 산과적 합병증으로 빈혈이 4례, 영양상태 분량이 4례, 양수과다증이 5례, 임신중독증 이 1례, 전치태반이 2례였다. 5) 무뇌아와 동반된 다발성 기형으로 증례 1,2,3,4,8,10에서 수막류, 토순,흉부복부 결손, 구개열, 안장코, 비정상이엽, 음경형성부전, 곤봉상지, 곤봉발가락, 합지증, 내반족, 소음 경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X선상 소견으로는 증례 2,3에서 우측 상지 완전 결손, 우경 골결손,우전반슬과 우곡관절의 외반마족, 척추후측 만곡증 등이 발견되었다. 6) 무뇌아의 부검소견으로 증례 1,4,8,11,12에서 무두개중, 안구돌출, 안면기형, 대뇌, 소 뇌 및 뇌교의 형성부전, 척수의 발육부전, 뇌하수체의 발육부전 혹은 형성부전, 흉선의 비대, 부신의 발육부전 혹은 형성부전등이 공통적으로 발견되었고 증례 1의 골격계침범, 증례 4의 소화계침범, 증례 8의 생식비뇨계침범 등이 주된 특징적 소견이었다. 7) 무뇌아들의 체중은 적은 편으로 평균체중은 2,168g이고 , 500g에서 4.300g까지 넓은 분포를 보이며 이중 67%가 2,500g이하로 나타났다. 재태일수도 37주 이하가 42%, 42주 이상이 17%였다. 8) 진단상 11례가 복보촉진으로 두부를 발견치 못하여 그중 9례에서는 복부 X선 촬영 을 하여 입원시에 무뇌아임을 확인하였으며, 1례는 다른 병원에서 확진을 받은후 이소 되었고, 또 1례는 전개대된 자궁경구로 입원후 곧 분만이 되었다. 나머지 1례는 완전 전 치태반 및 둔부전진으로 응급제왕절개술을 실시한 후 무뇌아임이 판명되었다. 9) 분만방법으로는 전치태반이 합병된 2례에서 제왕절개술을, 6례에서 인공파수와 pitocin점적정주를, 2례에서 자연분만이, 1례에서 고장식염수와 pitocin 점적정주가, 1례 에서 laminaria pitocin점적정주가 시행되었으며 제왕절개술 2례와 자궁경구의 전개대로 입원후 곧 분만이 된 1례를 제외한 소요분만시간은 평균 5시간 48분으로 정상분만시간 에 비하여 비교적 짧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10) 산후 합병증 으로는 증례 8에서 자궁경관부 열상으로 인한 심한 출혈이 있었으며 출산된 환아들은 사산이 7례, 분만 24시간내에 3례, 분만24시간후에 2례가 사망하였다. Twelve cases of fetuses associated with anencephalus and other multiple fetal malformations, which have very rare incidence among patients of Dept. of Obstet. in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during 5 years and 8 months from Oct. 1971 to Hune 1977, are presented with five cases of autopsies and a review of litertures concer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