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Phentermine, Sibutramine and Affective Disorders

        안호영,손현주,정석훈 대한정신약물학회 2013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Vol.11 No.1

        A safe and effective way to control weight in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s is needed, and phentermine is a possible candidate. We performed a PubMed search of articles pertaining to phentermine, sibutramine, and affective disorders. We compared the studies of phentermine with those of sibutramine. The search yielded a small number of reports. Reports concerning phentermine and affective disorders reported that i) its potenc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may be comparatively low, and ii) it may induce depression in some patients. We were unable to find more studies on the subject; thus, it is unclear presently whether phentermine use is safe in affective disorder patients. Reports regarding the association of sibutramine and affective disorders were slightly more abundant. A recent study that suggested that sibutramine may have deleterious effects in patients with a psychiatric history may provide a clue for future phentermine research. Three explanations are possible concerning the association between phentermine and affective disorders: i) phentermine, like sibutramine, may have a depression-inducing effect that affects a specific subgroup of patients, ii) phentermine may have a dose-dependent depression-inducing effect, or iii) phentermine may simply not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Large-scale studies with affective disorder patients focusing on these questions are needed to clarify this matter before investigation of its efficacy may be carried out and it can be used in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s.

      • KCI등재후보

        교양 교육과 융합하는 글쓰기-수업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안호영,송현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1

        통합적 교양 교육은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고 전인적 인격체를 지향하므로, 진정한 의미의 교양인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제성 또는 융·복합적 글쓰기 교육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는 글쓰기가 여러 전공 분야에 공통적으로 기여하며, 전공 영역의 경계를 허무는 통합적 교과 내용을 지향한다는 의미를 모두 내포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융합하는 글쓰기’는 이런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교양 교과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융합하는 글쓰기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융합적 글쓰기를 위한 복잡성 개념을 소개한 후, 이를 융합하는 글쓰기와 연계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실제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융합하는 글쓰기를 어떻게 교수·학습하였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끝으로 융합하는 글쓰기 교육에서 예상되는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We could take the interdisciplinary or the convergence as key words, through the writing education, which are for programs to increase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toward strengthening the general education and also for the integrative general education to aim at the holistic personality. It would include meanings that the writing education could contribute to several specialties and could head for the integrative education course to crossover each specialty. It is the converging writing as one of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s that could realize these mean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ing writing. And then, after introducing the concepts of the complexity to do the converging writing, we could consider briefly to combine the complexity with the converging writing. We also discuss how we could teach the converging writing by way of analyzing the cases in the writing course. Finally we would notice several points which could be expected through the converging writing.

      • KCI등재후보

        인성교육과 나를 일깨우는 과학, 과학을 통한 시간성의 체험

        안호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2

        The history of philosophy, it is related from the question of Arche to that of human nature or humanity, and the clue of this question shows fundamentally the understanding of the temporality. That is, the humanity is belong to the temporality. This study would explain the new starting of the education of humanity through the cases of the history of science. If the education of humanity should be that of experience of temporality, revealing the meaning of the temporality, we should discuss the possibility of doing the role of the enlightening science. First, we would show the modern science, the quantum mechanics and the complexity, then discuss what these science form. Second in these stream, we would investigate ‘the scientific examination’ by addressing various temporalities in each science. Third, through ‘the scientific examination’ the experience of the temporality is the enlightening science, then we would discuss the elevation of our mind. Finally, based on these discussion, we would assert the contribution to the education of humanity by the science. 철학의 역사는 아르케의 물음에서 인간성 또는 인성의 물음으로 이어져있으며, 이 물음의 실마리는 근본적으로 시간성의 이해에 달려 있음을 보여준다. 즉, 인성은 곧 시간성인 것이다. 본 논의는 지금까지 인문학의 전유물로만 여겨지는 인성교육이 과학을 통해서도 새롭게 시작될 수 있는 것임을 과학의 역사 속에 등장하는 예를 통해서 설명하려는 것이다. 인성교육이 시간성을 체험할 수 있게 하는 교육이어야 한다면, 과학의 개념에 내포되어 있는 시간성의 의미를 들추어냄으로써 나를 일깨우는 과학, 나아가 우리의 심성을 일깨우고 고양시키는 과학으로서의 역할이 가능함을 논의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근대과학을 태동시킨 뉴턴으로 대표되는 과학, 이런 뉴턴 과학을 극복한 양자역학과 복잡계 과학이 어떻게 대두하게 되었으며, 무엇을 설명하고 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둘째, 이러한 일련의 흐름 속에서 각각의 과학이 내포하고 있는 시간성의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를 논의함으로써 ‘과학적 반성’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 ‘과학적 반성’을 통해서 시간성을 체험하는 것이 곧 나를 일깨우는 과학이며, 나의 심성을 고양시키는 과학임을 논증할 것이다. 끝으로 이런 논의를 바탕으로 과학이 인성교육에 기여할 수 있음을 주장하려고 한다.

      • KCI등재

        체험된 직접성, 최제우의 시(侍)와베르그송의 직관(直觀)

        안호영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9

        The western philosophies or thoughts are based on the different languages and concepts to the korean ones, though the quest is very analogous each others, which is given by the Bergson’s philosophy as good example. He is underestimated though his philosophy gives to the enormous consequence to the contemporary thought, but not in Korea. The reason for this is due to several clues how we understand his philosophy in our spiritual traditions. In this case, the clues come from Donghak. The first clue i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the thought’s reversion by the ‘mythical experience’ not by the text or concepts. The second one is that, as Bergson’s intuition is discussed through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investigation on the ‘distance’, also Choi Cheu’s Si(侍) at the ‘sicheonju’(侍天主) could be discussed by the ‘translation’(移). After we experience our born nature through the experienced immediacy, then we do the meaning itself toward the sympathy between you and I, when we feel strongly the similarity between these two spiritualities, the third one comes out. The aim of this discussion, as demonstrating the meaning of immediacy for both the ‘distance’ and the ‘translation’ respectively, is to show that both the Si(侍) and the intuition sympathize and are the experienced immediacy which is immediate and absolute. 서양의 철학이나 사상이 우리와는 다른 언어와 개념에 근거하지만 그 지향점이 매우 유사하다는 견해들이 있는데, 베르그송 철학이 좋은 예가 된다. 베르그송은 그의 철학적 영향에 비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철학자이기도 하지만, 한국에서만은 그렇지 않다. 논자는 한국에서 베르그송이 널리 읽히고 또 사유되는 이유가 우리의 전통 속에 그의 철학을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가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고, 그 실마리를 동학에서 찾았다. 첫 번째 실마리는 최제우와 베르그송이 언어나 문자가 아닌 ‘신비체험’을 통해서 사유의 전회(轉回)를 체험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두 번째 실마리는 베르그송의 ‘직관(直觀)’이 ‘거리’에 대한 인식론적이고 존재론적인 고찰을 통해 논의되는 것처럼, 최제우의 ‘시(侍)’도 ‘옮김’에 대한 인식론적이고 존재론적인 고찰을 통해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체험된 직접성’을 통해서 이 두 거인들의 사상의 친연성(親緣性)을 강하게 느낄 때, 우리는 세 번째 실마리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본 논의의 목적은 ‘거리’와 ‘옮김’에 대한 직접성의 의미를 논증함으로써, 베르그송의 直觀과 동학의 侍가 공감하는 것이며 무매개적이고 절대적인 ‘체험된 직접성’임을 보이는데 있다.

      • KCI등재

        모심[侍]과 앎[知]의 동일성 문제에 관한 시론

        안호영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0

        In the moving world, the motionless is a case of the motion. Though the knowledge is related with the motion, it is misunderstood as fixed thing for a long time. Even the knowledge has fluctuated constantly in the form of the logic, this misunderstanding which is formed by generalizing the logical thing as the fixed one has been come from both the fixed idea and the habits of our thinking. Therefore ignoring consequences of these ones, our knowledge is just similar to the black images on the white papers. And as we also confine the meaning of motion as which our body just moves, we commonly ignore the fact of constantly moving our consciousness. But the movement of our consciousness makes the knowledge to move, then the knowledge is a kind of the motion. As if the Si(侍) of the ‘sicheonju’(侍天主) is understood as the motion, we address the knowledge as the motion, this study is the essay on the identity of the Si[侍] and the knowledge[知]. We would insist that it is possible to know only in the conduct as follow. Firstly we distinguish the forms of the knowledge by examining how to use the knowledge in 『東經大全』(Chondogyo Scripture). Then after giving a question that we could not know always to conduct we discuss the process from the knowledge to the conduct. We would confront the idea of cheonju(天主) or god, for Suwoon(水雲) thinks that god is served in human body. Therefore this delivers to the discussion that to serve[侍] is to know. We would re-define the concepts of the subject, the object, the contents, and the conduct of the knowledge. Finally through this discussion, it is get joined on the tradition as the union of knowledge and conduct with Socrates and the other philosophers, then self-reflects for knowing what does not know. Through self-awakening the cheonju(天主) which could not originally knowing, it gives the occasion that has extended the Donghak as the religion to one as the living. 움직이는 세계에서는 정지도 움직임의 한 형태일 뿐이다. 그렇지만 앎[知]은 운동과 관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세월 동안 앎이 정지해있는 것이고 고정되어있는 것이라는 오해를 받아왔다. 앎은 논리적인 형태로 또 육체적인 형태로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지만, 논리적인 것은 정지해있고 고정되어있다는 생각을 일반화함으로써 형성된 이런 오해는 우리의 오래된 고정관념과 습관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므로 스스로 이런 고정관념과 습관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앎은 한갓 흰색의 종이위에 묻어있는 검은색일 뿐인 것이다. 또한 우리는 자신의 몸을 움직이는 것에 운동의 의미를 국한시킴으로써 끊임없이 움직이는 의식적 사실을 외면하기 일쑤다. 그러나 우리의 의식은 쉼 없이 흘러가고 있으므로 앎은 곧 운동일 수밖에 없다. 侍天主의 시(侍)가 운동으로 이해되는 것처럼 앎[知]도 마찬가지임을 논증함으로써, 본 논의는 앎[知]의 문제를 侍의 문제와 연결시키려는 시론적인 성격의 글이 될 것이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논의를 통해 아는 것은 오직 실천일 때에 가능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먼저 『東經大全』에 등장하는 앎[知]이 어떻게 쓰이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앎의 형태를 구분하였다. 이어서 언제나 실천할 뿐인 것을 우리가 스스로 알아차리지 못했다는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앎에서 실천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논의하고 있다. 이때 天主 또는 하늘님의 관념을 직면하게 되는데, 水雲은 하늘님을 인간의 몸에 모셔져 있는 존재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天主를 모시는 것이 곧 아는 것이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검토로 나아간다. 이로부터 동학과 관련해서 앎의 주체, 앎의 대상, 앎의 내용 그리고 앎의 실천 등에 대한 개념을 다시 규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소크라테스와 더불어 수많은 철학자들이 주장하는 지행합일(知行合一)의 전통에서 ‘모르는 줄 아는 것’에 대한 자기반성으로 이어지고, 삶이 무엇인지를 다시 묻는 질문으로 나아간다. 이를 통해 天主는 본래 알 수 없는 것임을 스스로 깨닫는 것을 통해 종교로서의 동학을 삶으로서의 동학으로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줄 수 있음을 보여 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정주대학(RC) 구축과정에 대한 현황과 전망 -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 사례를 중심으로

        안호영,강성배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2

        These days, it gets more and more attention that various attempts should be made to cultivate students with humanity, creativity, and common sense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There seems to be a consensus about the reason: students have exclusively devoted themselves to study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during the period while they should have internalized their own experiences.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ir attitudes fundamentally, a new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a living-learning community has been proposed and a residential college (RC) is considered as one of such environments. Dongguk University has launched the RC in 2014 as an attempt to renew the undergraduate education. We have tried to organize various in-class and out-of-class educational programs that students eagerly participated through experiential education activities in the living-learning community. We also have tried to provide the localized educational programs to promote students’ awareness of the Gyeongju history as a millennium-year-old city, which have expanded and improved the infrastructure of the general education for the public in the city. This paper concludes with the retrospect and the prospect of what we have done: the trials and errors to solve the problems met while running the RC and the tentative plans for the future. 오늘날 교육현장에서 인성과 창의성 그리고 보편적 상식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날로 커지고 있다. 그 원인이,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이것들을 내면화해야 할 시기에 주로 입시를 위한 공부에만 전념했던 것에 있다는 지적에는 큰 이견이 없는 것 같다. 따라서 오랜 시간 고착화된 학생들의 이런 태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생활공간과 접목된 교육환경을 새롭게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그 중에서도 정주대학에 많은 관심이 쏟아졌다. 2014년 동국대(경주)도 이러한 흐름에 동참하여 정주대학을 출범시켰으며, 기숙공간과 학습공간이 연계된 다양한 체험형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천년고도라는 명성에 비해 열악한 경주의 교육적 상황을 미약하게나마 개선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교양교육의 저변 확대라는 지역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였다. 본 논의는 동국대 정주대학이 직면한 다양한 어려움들과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울인 노력들, 그리고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여러 시도들과 앞으로 진행될 교육에 대한 전망들을 담고 있다.

      • KCI등재

        선불교(禪佛敎)와 평화의 두 원천: <금강경(金剛經)>을 중심으로

        안호영 한국종교교육학회 2019 宗敎敎育學硏究 Vol.59 No.-

        논문의 목적은 종교(宗敎)와 더불어 평화(平和)를 모색하려 할 때, 우리가 마주한 평화는 어떤 모습이고 또 우리의 삶에서 평화가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가를 선불교(禪佛敎)의 주된 경전인 『금강경(金剛經)』을 통해 검토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교를 만날 때 우리는 ‘종(宗)’의 호소력에 감응함으로써 일상의 앎에 의문을 제기하며 끝없는 구도의 길로 나아가기도 하지만, 끝내는 그 종교 자체마저도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宗’의 호소력에 공감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의문을 제기하는 것 자체가 종교의 ‘생명성’으로부터 나온다는 것에서 ‘宗’의 견고함과 엄중함을 실감하게 된다. 더욱이 “의문에도 불구하고 종교를 계속 의지해야 하는가?”라는 물음은 오히려 ‘종’의 호소력에 지속적으로 귀를 기울이게 한다. 그렇다면 이런 태도를 평화에도 그대로 적용한다면 어떤 논의가 가능한가를 탐구하는 것이 논문의 주된 내용이 될 것이다. 논자는 평화란 ‘지금 여기’의 현실이어야 한다는 당위로부터 이 현실을 살아내는 우리의 육근(六根)의 중요성에서 그 실마리를 찾으려 한다. 의문을 품고 물음을 제기하는 것은 우리의 육근이 일상적으로 마주하는 경계(境界)와 다르지 않다는 것에 주목해보자. 육근의 경계를 따라 수많은 상[諸相]들이 일어나고 또 소멸하는 것을 우리는 경험하는데, 『금강경』에서는 이를 사상(四相)이라 부른다. 그러나 우리의 삶은 이 四相에 둘러싸인 ‘지금 여기’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四相에 머물지 않고 마음을 내라는 선불교의 가르침과 모순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처럼 보인다. 본 논문은 평화의 두 원천이 이러한 모순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밝힐 것이다. 먼저 이 모순이 지니는 의미를 ‘여시아문(如是我聞)’을 통해 강조한 후, 종교와 평화가 육근의 경계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검토한다. 이어서 선불교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이기도 한 『금강경』에 나타난 ‘범소유상(凡所有相)’은 육근의 경계로서 四相이 됨을 논구한다. 이를 통해 육근의 경계가 ‘相들로 둘러싸인’ 것과 ‘相들에 머물지 않고서 마음을 낸’ 것으로 구분될 수 있는 데, 이 경계에 의지하여 ‘四相’과 ‘비상(非相)’이 뜻하는 바를 살펴봄으로써 평화의 두 원천이 의미하는 바를 구체화할 것이다. 끝으로 非相의 실천이 평화로운 걸식(乞食)과 세족(洗足)이자 환지본처(還至本處)하는 것임을 밝힐 것이다.

      • KCI등재

        수운과 체용적 사유의 모험

        안호영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7

        Being captured by the divergent materiality, it is the mobility of Nature which is consistently flowing, it has been revealed by the metaphors as ‘Giki(至氣)’ of 'Life'. Then is there any possibility that after reversing the change of materiality's direction at these metaphors, they could return to originally contained or newly growing and creating mentality? Through the logic of Neither Chae nor Yong(卽體卽用) that is internalized the thought of Suwoon which is aiming not at the philosophy on the fixed and conceptualized entity but at that on the live and dynamic experience, we would expect that the question above could be realized. First of all, nevertheless we could not find the Chae and Yong as the letter itself at his thought in which Suwoon had been transformed creatively the combination of the three religions(儒·佛·道), we would show that it is already internalized the relation of Chae and Yong and the logic of Chae and Yong in his thought. Especially, we could investigate the logic of Neither Chae nor Yong at his thought with the thinkings both of Huì-Neng(慧能) which has the essence of the logic of Neither Chae nor Yong and of Wang Yangming(王陽明) which has the spirit of the union of knowledge and conduct(知行合一), this should lead to the adventure of the freely thinking which is not fixed by anything else. At his thought, we would address that it is the union of Si and knowledge(侍知合一), namely logic of Neither Chae nor Yong, that is immediately experienced the Giki by every human being without the seeking one’s own interests(各自爲心), according to the way of Heaven(天道) and the virtue of Heaven(天德) which is attributed to the all of the creature including human from the thought of Suwoon. 쉼 없이 유동하는 자연의 운동성이 분기하는[氣化] 물질성으로 포착되는데, 이것은 ‘至氣’ 또는 ‘생명’의 은유로 드러난다. 그렇다면 이러한 은유에서 물질성의 방향을 역전시켜서 이러한 은유가 본래 가지고 있던 혹은 새로이 성숙하고 창조하는 정신성으로 되돌릴 가능성이 없는 것일까? 논자는 고정되고 개념화된 존재에 대한 철학이 아니라 살아 숨쉬는 동적인 체험의 철학을 지향했던 水雲의 사유에 내재하는 즉체즉용의 논리를 통해 이 문제가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먼저, 유·불·도(儒·佛·道) 삼교의 합일을 창조적으로 변용하는 水雲의 사상에서 비록 체용이라는 문자를 찾을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상 속에는 이미 체용관계와 체용의 논리가 깊이 내재화되어 있음을 보일 것이다. 특히 ‘즉체즉용의 논리’의 진수를 보여준 혜능과 知行合一의 정신을 드러낸 왕양명(王陽明)의 사유를 통해 수운의 사유에서 즉체즉용의 논리를 검토하는 것은, 그 어느 것에도 고정되지 않은 자유로운 사유의 여정으로 우리를 이끌 것이다. 水雲의 사상에 따르면, 인간과 모든 만물에 부여되어 있는 천도와 천덕을 따라 인간 개체가 각자위심에 빠지지 않고 至氣를 직접 체험하는 것이 侍知合一이며, 이것이 곧 즉체즉용의 논리임을 보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