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면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및 항염증 활성과 함유 성분의 HPLC 프로파일링

        김다은 ( Da-eun Kim ),김민선 ( Min-seon Kim ),안혜숙 ( Hye Suck An ),이재욱 ( Jae Wook Lee ),박진수 ( Jin-soo Park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21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4 No.1

        해면동물은 강력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함유성분으로 의약후 보물질 탐색의 중요한 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 해양생태계 보전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해면동물 확보는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대응하고 해양 천연물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해양생물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181개 해면동물 추출물에 대한 HPLC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항염증 및 신경세포보호 활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면동물 추출물간의 HPLC를 통한 함유성분에 따른 클러스터링이 가능하였고 또한 각각 17개, 14개 시료에서 항염증 활성과 신경세포보호활성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는 해면동물을 포함한 해양생물자원에서의 효과적인 생리활성 탐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Marine sponges contain pharmacologically attractive substances that exhibit strong cytotoxicity and are used as materials to isolate potential drug candidates. However, with a growing interest in marine ecosystem conservation, it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to gather a sponge for natural product research. To build a database to cope with this issue, we measured the neur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181 sponge extracts. As a result, we found 17 samples with neuroprotective effects and 14 samples with anti-inflammatory effects. In additio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omponents contained in each sample, and based on HPLC profiles, a dendrogram according to similarity was cre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iscovering the active compounds in the sponge and laid the basis for efficient research on the sponge.

      • KCI등재
      • KCI등재

        자동화 HPLC/SPE/HPLC 시스템(Sepbox system)을 활용한 고추 잎 (leaf of Capsicum annuum L.) 추출물 분리 및 α-glucosidase 억제 활성 물질 탐색

        김민선 ( Min-seon Kim ),진종범 ( Jong Beom Jin ),이정환 ( Jung Hwan Lee ),안혜숙 ( Hye Suck An ),판철호 ( Cheol-ho Pan ),박진수 ( Jin-soo Park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21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4 No.1

        식물 유래 화합물은 다양한 생리활성과 구조 다양성으로 많은 연구자에게 관심을 받고 있으나 화합물 분리는 많은 시간 소요, 과량의 유기용매 소모와 분리과정 중의 활성성분의 유실 등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HPLC/SPE/HPLC를 결합한 Sepbox 분리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추잎 추출물에서 288개 분획물을 획득하였고 이 중에서 alpha-glucosidase 저해효능을 가지는 화합물인 luteolin 7-O-glucoside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추잎에 풍부한 플라보노이드 다당체를 가수분해함에 따라 해당 활성이 증가함을 검증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는 Sepbox 시스템이 생리활성 평가와 결합할 경우 식물 내 유용물질 탐색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Phytochemicals include plant-derived natural products that promote and improve the human metabolism and physiological activity, and there is a lot of research to find the value of the molecules is in progress. Likewise, we obtained 288 fractions of Capsicum annuum L. extract in less than 20 h using HPLC/SPE/ HPLC coupling experiment through Sepbox system, an effective separation system to search for active substances in natural resources and ensure efficacy and reliability. Therefore, this experiment allowed rapid identification of biologically active molecules from the extract compared to traditional separation processes. Of the above fractions, eight fractions showed the α- glucosidase inhibitory (AGI) activity and subsequent LC-MS analysis revealed one of the active molecules as luteolin 7-Oglucoside. In addition, we proved the increase in AGI activity according to deglycosylation of flavonoid glycosid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pbox system can quickly separate and identify active components from plant extract, and is an effective technique for finding new active substances.

      • KCI등재
      • Molecular Identification of Drosophila Flightless Mutant : Mutant Actin 액틴 돌연변이

        An, Hye Suck,Kim, Young Shin,Yoo, Mi Ae,Lee, Won Ho 부산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3 분자생물학 연구보 Vol.9 No.-

        초파리를 돌연변이 유발제 EMS(ethylmethanesulphonate)로 처리하여 다수의 제3염색체연관우성비상불능돌연변이가 얻어졌다.^1) 우리는 이들 변이로부터 한 돌연변이를 해석하여 초파리의 간접비상근(Indirect Flight Muscle)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act88F 유전자의 돌연변이임을 밝혔다. 돌연변이의 DNA level에서의 변화를 용이하게 밝히기 위하여 PCR 직접염기결정법(polymerase chain reaction direct sequencing method)을 사용하여, 변이액틴의 단일 A-T의 T-A로의 변화에 의해 103번째의 발린(vallne)이 글루탐산(glutamic acid)으로 변화하여 있음을 밝혔다(V103E돌연변이로 표기함). 그리고 정상 act88F 유전자를 2개 갖는 P element-mediated transformant(4112.2/ry Sb)의 염색체와 hetero접합으로 하였을 때의 비상능력의 회복여부에 따라 정상 액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변이액틴의 영향을 해석하여, V103E 돌연변이에서는 비상능력이 회복되는 "hypomorphic"임을 밝혔다. 또한, V103E 돌연변이에서 변이가 일어난 아미노산잔기에 대하여 액틴의 분자구조를 고려함으로써 V103E돌연변이가 기능하지 않는 이유를 추측할 수 있었다. A large number of third chromosomal dominant flightless mutants of Drosophila induced with ethylmethanesulphonate(EMS) were isolated^{1)21)}. Among these defective alleles, we have characterized one mutation of the flight muscle - specific act88F actin gene. By using PCR(polymerasehain reaction) direct sequencing method, we have demonstrated that in this mutant allele, designated V103E, a single A T to T A transversion changed valine 103 to glutamic acid, Following introducing normal act88F transgene into heterozy gous mutant through a P element mediated transformant(4112-2/ry Sb), the effects of mutant actin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normal IFMs was examined. The mutant actin encoded by V103E mutated gene was "hypomorphic" or "amorphic" which show normal characters. And we further discussed about the role of the mutated amino acid residue of V103E mutation which was inferred from its position when it was mapped on the three dimensional atomic model of actin.

      • Studies on the function of murine DNA polymerase β using transgenic Drosophila

        Ha, Hye Yeong,Yoon, Dae Kyoung,Lee, Won Ho,An. Hye Suck,Yoo, Mi Ae 부산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3 분자생물학 연구보 Vol.9 No.-

        DNA polymerase β는 DNA 대사의 여러 측면에 관여할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in vivo에서의 정확한 기능은 아직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다. DNA actin 5C유전자의 promotor에 rat DNA polymerase β cDNA를 연결시킨 chimeric 유전자를 도입한 transgenic Drosophila를 이용하여 개체 수준에서 DNA polymerase β의 기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Southern analysis와 p[w : polβ]의 transmission 양상의 조사를 통해, 각 transformant line에 한 개의 p[w : polβ]element가 삽입되었음을 밝혔다. MMC, MMS와 UV에 의한 killing에 대한 감수성을 transgenic strain과 비교하였다. 또한, MMC와 MMS에 의해 유발된 mitotic recombination에 대한 감수성을 transgenic strain과 host strain에서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transgenic Drosophila에서 발현된 rat DNA polymerase β는 적어도 mitotic recombination의 생성과정에는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NA polymerase β has been implicated in the several aspects of DNA metabolism, but its precise role in vivo remains to be fifined. The biological function of DNA polymerase β in the whole organism was examined using the transgenic Drosophila bearing chimeric gene consisting of a promoter region of Drosophila actin 5C gene and rat DNA polymerase β cDNA. Southern analysis of genomic DNA of transgenic flies and the pattern of transmission of p[w : polβ]indicated that a single copy of p[w : polβ] was integrated in each transformant line. The sen sitivity of transgenic strain to killing after treatment of MMC, MMS and UV were compared with that of host strain. The sensitivity of transformant strain to mitotic recombination induced by MMC or MMS were also compared with host strain.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rat DNA polymerase β expressed in the transgenic flies role at least in the generation process of mitotic recombination.

      • SCOPUSKCI등재

        Efficient Genetic Scheme and Rapid Screening for Large Scale Isolation of ACT88F Mutants in Drosophila Melanogaster

        이원호,안혜숙,Mogami, Kaname 한국유전학회 1994 Genes & Genomics Vol.16 No.1

        In order to collect a large number of Drosophila act88F mutants for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the normal actin function, we have devised an efficient genetic scheme and a rapid screening method to obtain dominant flightless mutants of third chromosome. After mutagenesis with ethylmethanesulphonate(EMS), we screened approximately 120,000 individuals for Drosophila dominant flightless mutants of third chromosome by using these method and twenty-three mutations were isolated. Recombination mappings of mutated gene locus in these and additional twenty dominant flightless mutants of third chromosome isolated previously by K. Mogami and Y.Hotta(Mol.Gen. Genet. 183:409-417, 1981) revealed that twenty-five mutations among them were located near or at the act88F locus.

      • Drosophila melanogaster와 D, simulans의 유전적 유연관계

        김영신,최영현,안혜숙,이원호 부산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3 분자생물학 연구보 Vol.9 No.-

        Drosophila metanogaster 황체색 돌연변이체인 y와 D. simulans의 Kl8 덴 O9을 재료로 하여 두 종간의 종간교배를 통한 교배전 격리기작, 교배후 격리기작 및 Adh의 변이를 조사하고 중기 염색체의 관찰등을 통하여 이들 사이의 종간 잡종 형성에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유전자의 특징과 유연관계를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내 및 종간교배에 의한 수정률중, 종내교배에서는 melanogaster y와 simulans K18, simulans O9에서 약 96 - 100% 정도였고, D. melanogaster의 암컷과 D. simulans 수컷의 종간교배에서는 simulans K18의 경우 23%, simulans O9은 40%의 수정률을 나타내었다. 1일 동안의 vial당 평균 산란도는 melanogaster y 28-46, simulans K18과는 4-13, simulans O9과는 18-28정도의 변이를 보였다. 평균 생산력은 melanogaster y 종내교배에서는 28-46, 종간 교배에서 simulans K18과는 4-14, simulans O9과는 18-28정도의 변이를 보였다. 평균 생산력은 melanogaster y의 종내교배에서는 121개체였고, D. simulans 수컷과의 종간교배에서는 simulans K18과는 암 19개체와 수 19개체였고, simulans O9과는 암컷만 29개체로서 종간교배에서 simulans K18과의 경우가 simulans O9 보다 높은 생산력을 보였다. 종내 및 종간교배에 의한 생존도는 D. melanogaster의 종내교배에서는 약 78.6%였고, D. simulans 수컷과의 종간교배에서는 simulans K18과는 75.2%, simulans O9과는 31.6%의 생존도를 나타내었다. 종간잡종의 임성을 back cross로서 조사한 결과 simulans K18로부터 나온 암, 수 및 simulans O9으로 부터 출현된 잡종은 모두 불임이었다. D. melanogaster와 D. simulans의 Adh 전기영동상은 서로 다른 양상이었고, 두 종의 교배에 의한 잡종개체는 양 종의 영동상을 모두 포함한 형태로 나타났다. D. melanogaster와 simulans O9과의 교배에 의한 hybrid female과 simulans K18과의 교배에 의한 hybrid male의 중기염색체 조사에서 완전한 XX 및 XY등 염색체 수준에서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Genetic studies on the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Drosophila metanogaster mutant and D. simulans were undertaken by various measurements of hybridization ability such as premating isolation, postmating isolation, variation of alcohol dehydrogenase and observation of metaphase chromosome. The insemination rate within species was 100% in D. melanogaster y, 96% in D. simulans K18, and 100% in D. simulans 09, whereas the rate between D. melanogaster females and D. simulans males was 23.0% for simulans K18 and 40.0% for simulans 09. Fecundity per vial per day within species ranged from 28 to 46 eggs in D. melanogaster y during continuous five cultures. Variation of fecundity in interspecific cross with D. simulans ranged from 4 to 14 eggs for simulans K18 and from 18 to 28 eggs for simulans 09. Productivity per vial in intraspecific cross was calculated to be 121 in D. melanogaster y, whereas in the case of' interspecific cross with D. simulans, it was about 19 females and 19 males for simulans K18, 29 females for simulans O9. Viability was about 78.6% in D. melanogaster y, while in interspecific cross with D. simulans, was about 75.2% for simulans K18 and 31.6% for simulans 09. Fertility of all hybrids from the interspecific cross was recognized to be completely sterile. Electrophoretic mobilities of the alcohol dehydrogenase of D. melanogaster and D. simulans were different in banding patterns, and in the case of their hybrids were showed another one, including two patterns of D. melanogaster and D. simulans. Metaphase chromosome analysis by interspecific cross between D. melanogaster female and D. simulans malee was revealed to be complete XX of hybrid female for simulans O9, was showed complete XY of hybrid male for simulans K1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