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왈슈의 모델에 기초한 비서구 미술비평에 대한 고찰

        안혜 한국조형교육학회 1998 造形敎育 Vol.0 No.1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pedagogical methods of art criticism for non-Western art by explor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of teaching art criticism in the United States. In this paper several pedagogical art criticism formats are reviewed: Feldman(1973), Broudy(1988), Mittler(1980), Hamblen(1984), Lankford(1984), Anderson(1993), and Fehr(1994), Because current methods of art criticism focus more on pluralistic or multicultural approaches, external cues such as historic and contextual information is broadly emphasized and evaluated in this paper. Walsh’s ten-step DBAE model is used for art criticism of non-Western art. This model encourages students to study non-Western art by search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cues. This paper also shows how each step of Waish’s model can be applied to Korean folk paintings, hwacho (Bird and Flowers) screens.

      • KCI등재

        은행의 서비스 디자인 개선 사례 연구

        안혜신(Hye Shin Ahn),정희정(Hee Jeong Jeong),김홍찬(Hong Cha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고객의 경험과 감성을 사는 경험경제가 도래하면서 오늘날의 산업은 제품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개인적인 요구가 증대되면서 보다 혁신적인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 경제 또한 선진국형 서비스 경제화가 이루어지면서 서비스시장의 확대 및 제조기업의 서비스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경쟁을 심화시켜 고도화된 차별화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서비스 영역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보이지 않는 서비스를 차별화하는 서비스 디자인 시대가 온 것이다. 이처럼 디자인에서의 서비스는 새로운 사업의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정의 및 분야, 방향성에 대한 개념의 정립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혁신을 디자인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인 서비스 디자인의 정의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서비스디자인의 툴(Tool)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하며, 은행의 서비스 디자인 개선을 사례로 들어 사용자에게 일관된 이미지와 방향성 있는 경험을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함으로서, 디자인교육 및 산업전반에 있어 서비스 산업에 디자인학문이 공헌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연구 되어졌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해 서비스 디자인의 정의와 특성, 서비스 디자인의 개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와 서비스 디자인 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국내외 학위논문과 서적을 포함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덴마크 맥스 은행(Max Bank), 미국 움프쿠아 은행(Umpqua Bank) 그리고 독일의 도이취 은행의 공간구성과 고객을 위한 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데에는 특별한 조건들이 요구되는데 서비스 혁신을 위해 유, 무형의 요소를 총체적으로 배열하고 리서치에 근거하여 디자인하는 것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프로세스와 서비스디자인 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객에게 적절하고 유익한 서비스를 창조하려면, 먼저 사용자의 상황과 니즈, 사고방식 그리고 원동력을 충분히 이해해야만 하며, 고객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고객에게 고객 관점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s industries today rapidly shift from manufacturing products to providing services and various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personal needs rise the industries are pressed to provide better and more innovative services. The Korean domestic market is also experiencing rapid changes like the advanced nations. Such change heightens competition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ion. Thus, the importance of design is becoming larger in the service area and as such method of differentiation increases it can be said that the age of service design has started. Service in design is gaining attention as a new business area.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direction established for the fields of service design. This study has approached service innovation in the perspective of design to review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new fields of service design, conduct in depth research on the service designing tools, using examples of service design improvements of banks to establish a general concept for the field of service design by providing unified image and experience to users, and in the end contribute to the fields of design education and the overall service industry by providing a base guideline. For this purpose, study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service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service design tools were conducted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including graduate research papers. Also, a case study of the Max Bank, the Umpqua Bank and the Deutsche bank were conducted to view service design in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space designs, services, etc.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eed for special process and service design tool was found to be a key requirement in order to reorder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and design in accordance to research data for service innovation. To create valuable services for the customers, the needs and condition of the customer must be clearly understood. Base on such understanding and collaboration with the customer service design improvement can be achieved.

      • KCI등재

        미술사교육의 관점으로 본 초·중학교 미술교과서의 한국현대미술 도판 분석

        안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2 No.-

        This study examines Korean modern artwor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textbooks(From the 1st National Art Curriculum to 2007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approach to art history education. The Korean modern artworks in elementary art textbooks had been poor, while those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had been presented by chronological approach focusing on changes in art styles and movements. Althoug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textbooks began to actively include more Korean modern artworks from the 7th national art curriculum period. Nevertheless, several problems still exist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approach to art history education.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study discuss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ly, more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includ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Secondly,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focus on it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being integrated into other content areas. Thirdly,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expanded through connecting students’everyday cultural experiences. Fourthly,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presented with diverse methods of art history educa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중학교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 속 한국현대미술 도판을 현대미술사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화적 층위 안에서 형성되는 현대미술의 의미를 읽어내는 시각적 문해력이 미술교육의 주요 목표가됨에 따라 미술교육 안에서 미술사교육은 문화소양교육으로 간주되며 그 비중이 점차커지고 있다. 특히 오늘날의 미술사교육은 시대의 변천에 따른 작품의 양식적 변화를추적하는 연대기적인 접근보다는, 미술작품이 문화적 맥락 속에서 사회적 의미를 구성해가는 다양한 방식들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미술교과서 안에 현대미술을 제시할때 맥락을 강조하는 최근의 경향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경우,전통미술을 강조하는 흐름에 밀려 오랫동안 현대미술이 비중있게 다루어지지 못하다가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중학교 미술교과서는 주로 해방 이전 세대의 미술작품을 제시하는데 머물러 있다가 제7차 교육과정부터 해방 이후의 한국현대미술을포함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제시 방법은 주로 연대기적인 접근을 벗어나지 못한채, 맥락주의적인 접근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국현대미술 도판을 제시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한국현대미술 도판의 비중을 더 늘려야 한다. 둘째, 최근 미술계의 동향을 보여주는 다양한 현대미술을 사회적 문화적 맥락 안에서 다른 영역과 통합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일상적인 문화적 경험과 연결하여 한국현대미술의 내용을 확장해야 한다. 넷째, 한국현대미술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탐구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 KCI등재

        EFL환경에서 Writing 평가 기준에 대한 제고 -텍스트성을 기반으로-

        안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23 텍스트언어학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L2 English writing evaluation criteria in general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r them, specifically by considering textuality. The goal is to find ways to use these criteria as a tool to help college students improve their English writing skills. Through a thorough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trends in writing improvement, it was determined that the writing evaluation items should be presented before writing assignments, and that the existing evaluation items should be enhanced. In this paper, a method is proposed to achieve high-quality writing by prioritizing the evaluation and presentation of evaluation items within a process-centered approach. To accomplish this, it suggests enhancing evaluation items based on the principles of textlinguistics, which emphasize information, intertextuality, and contextuality as crucial aspects of a text. In summary, it is suggested that evaluation items should be presented in advance before writing and the evaluation items should be considered in a reader-centered paradigm. As an alternative, intertextuality and informativeness among text properties mentioned in textlinguistics. It is proposed to insert it into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However, the specific results of this process will be explored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

        공공공간에서의 서비스 디자인 아이덴티티 정립에 관한 연구

        안혜신(Hye Shin Ah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고객의 경험과 감성을 사는 경험경제가 도래하면서 오늘날의 산업은 제품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개인적인 요구가 증대되면서 보다 혁신적인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 경제 또한 선진국형 서비스 경제화가 이루어지면서 서비스시장의 확대 및 제조기업의 서비스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경쟁을 심화시켜 고도화된 차별화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서비스 영역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보이지 않는 서비스를 차별화하는 서비스 디자인 시대가 온 것이다. 이처럼 디자인에서의 서비스는 새로운 사업의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정의 및 분야, 방향성에 대한 개념의 정립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혁신을 디자인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인 서비스 디자인의 정의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서비스디자인의 툴(Tool)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하며,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의 서비스 디자인을 사례로 들어 사용자에게 일관된 이미지와 방향성 있는 경험을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함으로서, 디자인교육 및 산업전반에 있어 서비스 산업에 디자인학문이 공헌할 수 있도록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연구 되어졌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해 서비스 디자인의 정의와 특성, 서비스 디자인 툴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학위논문과 서적을 포함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의 서비스정보디자인, 서비스제품디자인, 서비스공간디자인, 서비스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서비스아이덴티티 디자인과 고객을 위한 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독일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의 정보서비스디자인은 매우 직관적으로 사용자가 이해하고 정보를 받아들이기 매우 편했다. 이러한 특징은 서비스제품디자인에서도 나타났는데 독일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의 티켓자동발권기과 같은 제품들은 제품을 매개체로하여 고객과 상호작용하며 체험을 통해 서비스의 유형성을 강화시킨다. 또한 서비스디자인아이덴티티는 역내의 다양한 곳에 일괄적으로 적용되고 있어 방향성있는 아이덴티티를 보여준다.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데에는 특별한 조건들이 요구되는데 서비스 혁신을 위해 유, 무형의 요소를 총체적으로 배열하고 리서치에 근거하여 디자인하는 것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프로세스와 서비스디자인 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객에게 적절하고 유익한 서비스를 창조하려면, 먼저사용자의 상황과 니즈, 사고방식 그리고 원동력을 충분히 이해해야만 하며, 고객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고객에게 고객 관점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s industries today rapidly shift from manufacturing products to providing services and various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personal needs rise the industries are pressed to provide better and more innovative services. The Korean domestic market is also experiencing rapid changes like the advanced nations. Such change heightens competition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ion. Thus, the importance of design is becoming larger in the service area and as such method of differentiation increases it can be said that the age of service design has started. Service in design is gaining attention as a new business area.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direction established for the fields of service design. This study has approached service innovation in the perspective of design to review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new fields of service design, conduct in depth research on the service designing tools, using examples of service design improvements of Frankfurt central station to establish a general concept for the field of service design by providing unified image and experience to users, and in the end contribute to the fields of design education and the overall service industry by providing a base guideline. For this purpose, study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and service design tools were conducted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including graduate research papers. Also, a case study of Frankfurt central station was conducted to view service design in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service information design, service product design, service space design, service digital media design and service identity design. As a result of this study, information service design of Frankfurt central station is intuitive and understandable for users. This distinctive feature can be also shown in service product design. Service products such as ticket automate communicates and interacts with users through products and it enhances through corporeality of service through experience. Service design identity is consistently applied at the various part of Frankfurt central stations and also it indicates the unity of identity. The need for special process and service design tool was found to be a key requirement in order to reorder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and design in accordance to research data for service innovation. To create valuable services for the customers, the needs and condition of the customer must be clearly understood. Base on such understanding and collaboration with the customer service design improvement can be achieved.

      • KCI등재

        예술과 의학의 융합 가능성 - 시각예술 중심의 의료인문학 연구 -

        안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3 No.-

        Today, many academic disciplines have been actively interconnected and penetrated each other. To highlight the recent phenomena, the word,‘convergence’ as a key term, has been frequently used. Especially, It is believed that convergence between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can generate an innovative and creative knowledge to solve current problems of today’s society by providing insight. Based on this belief, the field of medical humanities have led an active discussion on the convergence of arts and medicine as an alternative to dehumanizing phenomena of modern medicine and medical practices. However, this topic has mostly focused o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and it has been on its beginning stage. The first integration of arts and medicine was found in religious and shamanistic origin in the ancient society. With modern scientific revolution, as modern scientific medicine developed, arts and medicine had been separated. The two fields have been reunited since modern medicine has become to pursue holistic medicine, and active communication and empathetic interac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Especially, visual arts and medicine have contributed to each other through its imagination and representation. This study examines cases of convergence of visual arts and medicine: visual arts in medicine and medicine in visual arts. These cases will be suggested as a foundation to medical humanities program focusing on visual arts. 오늘 날 학문 분과 간 결합과 상호 침투가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현상을 가리키는 ‘융합(convergence)’이 대표적인 키워드로 자리 잡으면서 융합 담론이 지배적이다. 특히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융합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전체적인 통찰을 제공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당면 문제 해결에 필요한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지식을 생성할 수 있다는 신념이 팽배하게 되었다. 이러한 신념을 토대로, 최근 의료인문학 분야는 현대 의학과 의료현장의 비인간화 현상에 대한 대안으로서 ‘예술과 의학의 만남’에 관한 논의를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예술과 의학의 첫 만남은 고대사회의 종교적,주술적 기원에서 찾을 수 있으나, 근대에 와서 과학적 의학이 발전하면서 두 분야는결별하게 되었다가 현대의학이 전인적 의료, 의사와 환자와의 소통과 공감을 지향함에따라 의료인문학 안에서 재결합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시각예술과 의학은 상상력과재현력을 매개로 서로의 영역에 공헌하였다. 이 논문은 시각예술과 의학의 역사 속에서 두 분야가 결합되었던 접점들과 그 융합 가능성을 다음의 두 가지 형태로 고찰해 봄으로써 시각예술 중심의 의료인문학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의학 안의 시각예술’은미술가와 의사들의 협업에 의한 해부도의 변천과 의료정보 애니메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시각예술 안의 의학’은 의사의 의료 행위를 작품의 소재와주제로 다루거나 의학 기술을 직접적으로 사용한 미술작품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같은 시각예술과 의학의 융합 사례들을 의료인문학의 내용으로 제안함으로써 이 연구는 시각예술 중심의 의료인문학의 기초 연구로서 가치를 지닌다.

      • KCI등재

        한약의 장내미생물 조절 효과에 대한 국내외 실험 연구 고찰

        안혜,송지현,이혜림,Ahn, Hye Ri,Song, Ji Hyun,Lee, Hye Lim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20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34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various herbal medicin on gut microbiota. Methods Electronic searches were performed using NDSL, OASIS, KISS, KMBASE, K-portal, Pub med, Cochrane, CNKI. Results we analyzed 25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on microbiota. Diabetes, obesity, inflammatory bowel disease have been frequently studied in micobiota-related disease. The most common experimental animal model used in the studies C57BL/7 mouse. Among the studies wherein single herbal medication were used, Gynostemma pentaphyllum was most commonly studies, and different herbal medications were used in the studies wherein complex herbal medications were studied. Next generation sequencing was performed using Illumina MiSeq system, and gut microbio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QIIME and Ribosomal Database Project (RDP). In most studies, the herbal medicines exerted regulatory effects on gut microbiota and improved the symptoms of the experimental groups. Conclusions This review provides basic data on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medicine and gut microbiota, as well as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양성기관에서 통합교육을 위한 미술교과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및 모형 고찰

        안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6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0 No.-

        The Need and Models for Integrated Art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ing Visual CultureAhn, HyeriThis study have examined why integrated approach to art education curriculum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needed and how it is possible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ing visual culture. As contemporary education theory supports holistic learning that relates students' life and their learning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art educators today also are encouraged to use integrated approaches to teaching art which lead to inclusion of various disciplines inside and outside art. However, If the integrated art curriculum are successfully implemented in classes, preservice teachers should experience and practice it in their preservice training.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s of integrated approaches to art education and suggest directions and useful models-connected, shared, and partnership - of integrated art curriculum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는 초등교사양성기관의 미술교과교육과정에서 통합교육이 왜 필요하며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지 시각문화의 관점에서 모색하였다. 현대교육이론들이 다양한 교과들의 융합을 통해 삶과 교육과정을 연결시킴으로써 총체적 방식의 학습을 지향함에 따라 최근 미술교육자들 사이에도 미술 안과 밖의 다양한 영역들을 포괄하며 통합적 접근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성공적인 통합적 미술교육이 이루어지려면 교사들이 먼저 이에 대한 충분한 훈련과 실제적 경험을 쌓아야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과간의 통합이 중등보다 비교적 용이하다고 볼 수 있는 초등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예비교사들을 위한 미술교과교육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고찰하였다. 이에 필요한 이론적 기초로서 통합교육의 개념과 정당성을 고찰하였으며, 초등교사양성기관의 미술교과교육에 적용 가능한 통합교육의 유형으로서 연결형(connected), 공유형(shared), 협력형(partnership)의 3단계 모형을 고찰하였다. 진보주의에서 시각문화교육까지 현대미술교육의 흐름 안에서 통합의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미술교과교육에서의 통합 방향의 역사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3단계 모형을 적용한 통합적 교과교육과정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팀티칭 사례연구 - 미술교육전문가, 미술가, 학급교사의 파트너십에 기초한 공공미술 수업 -

        안혜,이웅배,이민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8 No.-

        This is a case study of team teaching about public art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evate the professionalism of art education through team teaching of an art educator, an artist, and a classroom teacher, and to show the potential practicality of a closely linked partnership among the three groups. The case we executed and analyzed is composed of art lessons in which students extend and modify everyday objects to formulate their own public art which they could actually touch and play with. The study focuses on students' deeper understanding about public art through making murals in the school hallway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works and based on personal interviews and classroom observations, the study present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eam teaching and actual ways of practice. 본 연구는 초등미술교육에서 공공미술을 주제로 한 팀티칭 사례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미술교육전문가, 미술가, 학급교사의 팀티칭 수업을 통해 초등미술교육의 전문성을 높이고 각 분야 전문가들을 연계한 파트너십의 필요성과 실천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 수업은 생활 주변의 사물을 확대·변형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만지고 놀 수 있는 공공미술을 구상해보고, 이를 드로잉과 교내 벽화로 표현하는데 그 초점이 있다. 학생들의 작품과 면담 내용을 기초로 팀티칭 수업의 성과를 고찰해보고 미술교육에서 팀티칭이 갖는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시각문화(Visual Culture)로의 패러다임 변화와 미술교과 교사교육의 새로운 방향

        안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5 미술교육연구논총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aradigm shift towards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VCAE) and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art teacher education in this postmodern era. First of all, we have discussed changing concepts of art from traditional through postmodern social contexts and how this have been connected to paradigm shifts in our school art. Secondly, we have examined what teacher qualities and professionalism are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VCAE: (1) Visual literacy including abilities to understand formal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artwork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2) Insight of the their own identities and their culture; (3) The ability to develop, use, and reconstruct art curriculum derived from students' own cultural experiences; (4) Cognitive pluralism and openness to each student's learning styles; (5)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reate newer visual technologies and various media. Finally, we have suggested new direction for art teacher education: (1) Set goals and direction for curriculum of art teach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VCAE; (2) Visual culture should be included in thei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s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3) Various practical experiences should be included in art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o use their students' cultural experiences; (4) Keep providing preservice teachers with field trips or real experiences to connect theory and practice of visual culture; (5) Preservice art teachers' knowledge of and ability to teach visual culture should be included in an assessment system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미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시각문화에 기초한 미술교육(visual culture art education)이 미술교과 교사교육의 방향에 대해 시사하는 바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서구의 미술 개념 및 미술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라는 맥락 안에서 우리 학교미술교육 및 미술교과 교사교육의 현주소를 고찰함으로써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미술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이 무엇인지 논의하고 그러한 자질과 전문성을 길러줄 교사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 미술교육계는 국제사회의 미술교육 패러다임이 바뀔 때마다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그 영향을 받아왔으나 각 패러다임의 장점과 취지를 충분히 이해하고 현장으로 연결하지 못한 채 과거의 패러다임과 새로운 패러다임을 결합 또는 절충하는데 머물렀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미술교과를 가르치는 교사들을 양성하는 교사교육기관의 역할 및 교육과정에 그 원인이 있다고 생각된다. 즉, 교사교육기관이 미술교과 교사들에게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하는 지식, 기술, 환경을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먼저 시각문화에 기초한 미술교육이 미술교과 교사들에게 요구하는 자질과 전문성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은 다양한 시각적인 인공물과 현상의 의미를 해독하도록 돕는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 자신의 정체성 및 자신이 속한 문화에 대한 깊은 통찰력, 시각문화교육을 위한 교육실천력, 지식에 대한 다원주의적 관점과 수용적인 자세, 테크놀로지와 같은 다양한 매체와 방법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질과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교사교육기관은 시각문화교육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미술교과 교사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여야하고, 교사교육과정 특히 미술 교과교육학의 내용에 시각문화를 필수요소로 포함시켜야하며, 교과교육 이론과 실습 및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평가체제 안에 이러한 미술교육 패러다임이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