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moeba proteus 공생주의 질소 및 퓨린 대사에 있어서 생화학적 특이성의 분화

        안태,최의열 한국유전학회 1985 Genes & Genomics Vol.7 No.2

        Diversification of the biochemical strain specificity between tD and symbiotic xD strain of A. proteus was studied by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ntermediates, the end products, and the related enzymes in purine and nitrogen catabolism. Among the purine catabolites, the levels of allantoin in the two strains were the same. The amount of carbonyl diurea-crystals in xD strain was reduced to 60% compared with that of tD strain. The levels of ammonia and biuret reactant in xD cytoplasm were reduced to 46% and 21% of those in tD cytoplasm, respectively. The specific activities of glutamate dehydrogenase, glutamine synthetase, and aspartate transaminase did not differentiate the two strains. The levels of cytoplasmic free ammonia, biuret, and carbonyl diurea could be the possible markers for diversification of biochemical strain specificity of the two strains. The symbiotic bacteria in xD strain appeared to utilize the metabolic wastes of nitrogen and purine catabolism of the host.

      • 아메바 세포막에 대한 단항체 생산 및 이를 이용한 막 조성 물질의 역할규명

        안태,최지영 한국통합생물학회 1989 동물학회지 Vol.32 No.4

        Monoclonal antibodies (MAbs) reacting with the plasmalemma of Amoeba proteus were produced. Specificity of the 3 MAbs was determined by transfer blotting of the SDS polvacryfamide gel. AMS antibody reacted with the mucopolysaccharide bands of the spacer gel, 220 KD and 50 KD proteins of the resolving gel. The maior glycoprotein bands (175 KD, 165 KD) and 50 KD protein of the plasmalemma were recognized by AUG antibody. A third, AMP antibody reacted with the 50 KD protein only. In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 of the enzyme treated cells, the antigens of these MAbs were sensitive to proteases, but not sensitive to neuraminidase. In the assay of cell to substratum attachment after binding with the antibody, AMG and AMP antibodies exerted no effect, but AMS hindered the attachment and cell spreading. Thus the effective components of the plasmalemma in cell to substratum attachment appear to be the mucopolysaccharides and 220 KD protein. The membranes of latex particle infested phagosomes did not show any distinction from the plasmalemma in fluorescence microscopy. Phagosome membranes of amoebae appear to be derived from the plasma membrane without selection in terms of the antigen composition. Amoeba Proteus의 세포막과 반응하는 단세포군 항체를 생산하였다. SDS polyacrylamide gel을 transfer blotting하여 이들 항체의 반응 특이성을 조사해 본 결과 AMS 단항체는 PAS로 염색되는 spacer gel의 mucopolysaccharide 린드, resolving gel의 220 KD 및 50 KD 단백질과 반응하였으며, 세포막의 주요 당단백질인 175 KD 및 165 KD 빈드와 50 KD 단백질은 AMG 단항체에 의해서 인지되었다. 그리고 AMP단항체는 공통인 50 KD 단백질과 특이하게 반응하였다. 효소처리한 아메바의 면역형광칠미경적 조사에서 이들 항체에 대한 항원분자들은 모두 단백질분해효소에 민감하였으며 neuraminidase에 대해서는 변화가 없었다. 이들 항체를 결합시킨 아메바의 용기표면 부착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AMP 및 AMG 단항체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AMS 단항체는 세포의 용기표면 부착 및 세포의 펴짐을 저해하였다. 따라서 아메바의 용기표면 부착은 mucopolysaccharide 및 220 KD 단백질에 의해서 매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atex particle을 담고 있는 식포막은 면역형광형미경적 조사에서 세포막과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겐포막은 항원 조성에 있어서 비 선택적으로 세포막에서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45nm CMOS 공정기술에 최적화된 저전압용 이득-부스팅 증폭기 기반의 1.1V 12b 100MS/s 0.43mm² ADC

        안태지(Tai-Ji An),박준상(Jun-Sang Park),노지현(Ji-Hyun Roh),이문교(Mun-Kyo Lee),나선필(Sun-Phil Nah),이승훈(Seung-Hoon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7

        본 논문에서는 주로 고속 디지털 통신시스템 응용을 위해 고해상도, 저전력 및 소면적을 동시에 만족하는 45nm CMOS 공정으로 제작된 4단 파이프라인 구조의 12비트 100MS/s ADC를 제안한다. 입력단 SHA 회로에는 높은 입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가 인가되어도 12비트 이상의 정확도로 샘플링할 수 있도록 게이트-부트스트래핑 회로가 사용된다. 입력단 SHA 및 MDAC 증폭기는 요구되는 DC 이득 및 높은 신호스윙을 얻기 위해 이득-부스팅 구조의 2단 증폭기를 사용하며, 넓은 대역폭과 안정적인 신호정착을 위해 캐스코드 및 Miller 주파수 보상기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였다. 채널길이 변조현상 및 전원전압 변화에 의한 전류 부정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캐스코드 전류 반복기를 사용하며, 소자의 부정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류 반복기와 증폭기의 단위 넓이를 통일하여 소자를 레이아웃 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ADC에는 전원전압 및 온도 변화에 덜 민감한 저전력 기준 전류 및 전압 발생기를 온-칩으로 집적하는 동시에 외부에서도 인가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시스템에 응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안하는 시제품 ADC는 45nm CMOS 공정으로 제작되었으며 측정된 DNL 및 INL은 각각 최대 0.88LSB, 1.46LSB의 값을 가지며, 동적성능은 100MS/s의 동작속도에서 각각 최대 61.0dB의 SNDR과 74.9dB의 SFDR을 보여준다. 시제품 ADC의 면적은 0.43mm2 이며 전력소모는 1.1V 전원전압 및 100MS/s 동작속도에서 29.8mW이다. This work proposes a 12b 100MS/s 45nm CMOS four-step pipeline ADC for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requiring high resolution, low power, and small size. The input SHA employs a gate-bootstrapping circuit to sample wide-band input signals with an accuracy of 12 bits or more. The input SHA and MDACs adopt two-stage op-amps with a gain-boosting technique to achieve the required DC gain and high signal swing range. In addition, cascode and Miller frequency-compensation techniques are selectively used for wide bandwidth and stable signal settling. The cascode current mirror minimizes current mismatch by channel length modulation and supply variation. The finger width of current mirrors and amplifiers is laid out in the same size to reduce device mismatch. The proposed supply- and temperature-insensitive current and voltage references are implemented on chip with optional off-chip reference voltages for various system applications. The prototype ADC in a 45nm CMOS demonstrates the measured DNL and INL within 0.88LSB and 1.46LSB, respectively. The ADC shows a maximum SNDR of 61.0dB and a maximum SFDR of 74.9dB at 100MS/s, respectively. The ADC with an active die area of 0.43mm2 consumes 29.8mW at 100MS/s and a 1.1V supply.

      • 지하철 역사내 기능실에 대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s in the Subway Station of Workroom)

        안태기(Tea-Ki An),신정렬(Jeong-Ryol Shin),김갑영(Gab-Young Kim),양세현(Se-Hyun Yang),최갑봉(Gab-Bong Choi),심보석(Bo-Seog Sim) 한국철도학회 2011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1 No.5

        지하철은 대표적인 교통수단으로 하루에도 수십만 명이 이용하고 있어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지하철의 각종 기능실에서의 화재 등으로 이하여 지하철 이용자들에게까지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가능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2010년에는 환기실에서의 화재로 환기구를 통해 연기 및 유해가스로 인해 인명 피해 및 열차 운행 중단사고 등의 사례까지 보도되기도 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지하철 역사의 경우에도 최신의 IT기술인 무선센서네트워크기술 및 지능형영상감시기술 등과 접목하여 화재 및 역사 건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시하는 도시철도지능형종합감시시스템 개발 및 연구 중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발 중인 도시철도 지능형 종합 감시시스템의 현장 역사 적용에 앞서 ZigBee 기반의 무선센서네트워크 성능 시험을 서울지하철 충무로 역사에서 수행하였고, 본 논문에 충무로역사 내부 통신기계실과 환기실, 전기실에서의 ZigBee기반 무선통신환경 시험결과를 정리, 분석하였다. (주)휴텍21에서 개발한 ZigBee 센서노드와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무선데이터 전송 시험 결과, 데이터 전송은 기능실 내의 각종 전자 및 기계설비로 인한 멀티패스 페이딩(multi-path fading)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신 기계실과 같이 여러 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분되어진 곳에 대한 게이트웨이의 안테나 및 센서노드 설치 지점선정 시 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 typical day in the subway transportation is used by hundreds of thousands are also concerned about the safety of the various workrooms with high underground fire or other less than in the subway users could be damaging even to be raised and there. In 2010, in fact, room air through vents in the fire because smoke and toxic gas accident victims, and train service suspended until such cases are often reported. In response to these incidents in subway stations, even if the latest IT technology,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and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technology by integrating fire and structural integrity, such as a comprehensive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to monitor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urban transit system and are under study. In this study, prior to the applic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into the field stations, authors carried out the ZigBee-based wireless sensor networks performance analyzation in the Chungmuro station. The test results at a communications room and ventilation room of the station are summarized and analyzed.

      • KCI등재

        EC 기준 순환식 파프리카 수경재배에서 시간 경과 및 배액율에 따른 이온농도 변화 분석

        안태인(Tae In Ahn),신종화(Jong Wha Shin),손정익(Jung Eek S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0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9 No.4

        EC 기준 순환식 양액재배에서 식물의 양분 흡수와 배액율은 재사용 양액 내의 이온 비율과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파프리카(Capsicum annum L. ‘Boogie’)의 EC 기준 순환식 양액재배에서 시간과 배액율에 따른 이온 농도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수집된 배액을 EC 2.2dSㆍm?¹로 조정하고 새로 조성한 양액과 혼합하여 재사용 하고 주기적으로 샘플링 하여 이온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7%, 16%, 39%, 51%의 배액율을 적용하고 배액과 배액을 원수로 희석하고 새로 조성한 양액과 혼합하였을 때의 EC 변화와 이온 농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재사용 양액에서의 K? : Ca²?와 SO₄²? : NO₃?와 같은 이온 간의 비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의 이온 농도의 변화 범위는 각각 K? 1.13, Ca²? 5.35, Mg²? 0.92, NO₃? 0.9 SO₄²? 1.10, PO₄³? 0.19meqㆍL?¹이었다. 이온 간의 비율 변화는 양 이온에서는 주로 K? : Ca²?을 중심으로 음이온에서는 NO₃? : SO₄²?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실험에서 배액율에 따른 배액의 배액율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배액 내 각 이온의 농도도 배액율의 증가에 따른 감소 경향을 보였다. 배액율에 따른 배액 내 이온 간의 비율 변화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배액을 희석하고 새로 조성한 양액과 혼합함에 따라 교정 효과에 차이가 나타났다. 7%의 배액율이 새 양액의 이온 비율에 가장 근접하였으며, 16%, 51% 39% 순으로 교정되었다. 교정에 따른 이온 비율 변화는 K? : Ca²?와 NO³?와 PO₄³?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Nutrient uptake by plants and drainage ratio in culture beds can affect ion balance and concentrations of nutrient solutions in electrical conductivity (EC)-based closed-loop soilless cul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ion concentration changes with time and drainage ratio under EC-based nutrient control in closed-loop soilless culture for sweet pepper plants (Capsicum annum L. 'Boogie'). At first experiment, ion concentrations of the nutrient solution were periodically analysed while collected drainage was being reused by mixing with fresh nutrient solution at a dilution rate of EC 2.2 dSm?¹. Changes in ion concentrations of K?, Ca²?, Mg²?, NO₃?, SO₄²?, and PO₄³? were 1.13, 5.35, 0.92, 0.9, 1.10, 0.19 meqㆍL?¹, respectively. Ion balance such as K?: Ca²? and SO₄²?: NO₃? were mainly affected during the recirculation of nutrient solution. At second experiment, ion concentrations and EC of drainage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replenishment under different four drainage ratios of 7%, 16%, 39%, and 51%. Ion ratios of the recirculated nutrient solutions such as K? : Ca²? for cation and SO₄²? : NO₃? for anion were investigated. ECs of drainage decreased with increase of drainage ratio and each ion concentration showed the same trends as EC did. Ion balances in drainage with drainage ratio were a littl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each ratio could be corrected by replenishment process. The ion balance at 7% drainage ratio was closest to initial ratio and followed by 16%, 51%, and 39% in the order. Ion balance such as K? : Ca²? and NO₃? : PO₄³? were mainly affected the correct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