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속 바로크 음악의 서사적 기능 연구

        안준희(Jun-Hee Ahn),전윤한(Yoon-Han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근대 음악이 탄생하고 성장했던 바로크 시대의 음악은 영화를 위해 작곡된 음악은 아니지만 영화에 다양한 형태로 삽입되어 영화 전체의 분위기와 서사를 이끌어가고 등장인물의 감정과 내면세계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기능적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 〈친절한 금자씨〉에 사용된 테마곡인 비발디(A. Vivaldi)의 Cantata Rv.684를 포함한 5곡의 바로크 작품을 조성, 템포, 다이내믹, 음형, 음정, 화성, 리듬, 악기 편성, 장르 등의 다양한 관점을 통해 분석한 후 바로크 음악이 영화 속에서 어떠한 서사적 기능과 역할을 가지는지에 대해서 연구해 보고자 한다. Baroque music was the birth and growth era of modern music, but it was not composed for movies. Baroque music, however, is a fea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movies in many different forms, leading to the overall mood and narrative, and the ability to express the characters` feeling and inner word. Therefore, in this study, five Baroque music works, including the main theme song `Vivaldi Cantata RV.684` in the movie 〈Sympathy for Lady Vengeance〉, are produced, and analyzed through tonal, tempo, dynamics, musical notes, tones, rhythms, musical instrument, and genre. Through analysis, we will study what epic functions and roles Baroque music plays in movies.

      • KCI등재

        이야기 관습의 언어사회화: 한국과 미국 아동 사례의 비교

        안준희 ( June Hui Ahn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1

        본 논문은 한국과 미국의 유아원 교실에서 실천되는 이야기 관습에 관한 비교 분석을 통해, 두 문화의 아동들이 노출된 언어적 환경의 특성과 서로 다른 이야기 관습에의 참여를 통해 아동들이 습득하는 문화적 의미와 가치들에 주목한다. 두 문화의 이야기 관습은 소재의 제약성, 교실 담화 질서의 습득에 대한 강조, 교사와 아동간 이야기의 비대칭성이라는 측면에서 유사성을 띠고 있었다. 이러한 유사성은 이야기 관습이 교실담화로써 지니는 특성들로, 이는 두 문화의 이야기 관습이 공식 교육에 진입하는 전 단계인 유아원에서 교실의 말하기 유형을 학습하는 장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두 문화의 이야기 관습은 이야기의 순환 구조, 말하기 순서 취하기, 교사의 권위라는 측면에서는 차이점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의 이야기 관습은 이야기의 공유, 협력적 발언의 중요성, 아동 행동의 평가자로서의 교사의 권위라는 특성, 미국의 이야기 관습은 개별 아동의 생각과 느낌의 표현에 대한 강조, 경쟁 담화의 허용, 규칙의 집행자로서의 교사의 권위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논문은 이야기 관습의 구조적, 내용적 차이로 인해 아동들이 습득하게 되는 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분석하여, 기존 이분법적 사회화 논의에서 문화특수적 가치들로 간주된 사회화 가치들이 두 문화 모두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되고 있으며, 이 때 차이를 보이는 것은 다양한 가치들이 각 문화에서 지니는 구체적인 모습과 그 실천 방식에 있음을 논의한다. This article comparatively analyzes narrative practices enacted in the preschool classrooms of Korea and the U.S.A. Building on the view that narrative practices are crucial sites and means of early childhood socialization, I examine how children from two different cultural traditions are socialized into classroom discourses and culturally specific values and orientations through their everyday participation in narrative practices. The findings show that the narrative practices of the two cultural traditions share similarities as classroom discourses, including restrictions in subject, emphasis on classroom discourse rules, and asymmetrie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t the same time, the narrative practices of the two cultures have their own culturally specific features in terms of circulating structures of stories, turn.taking patterns, and teachers’ authority. The article, overall, discusses the heterogeneity and multiplicity of socialization themes and values enacted through narrative practices of the two cultures, thereby articulates the inherent dynamism of language socialization.

      • KCI등재

        농촌지역 거주 노인의 통합적 인권보장 실태에 관한 연구

        안준희(Joonhee Ahn),김미혜(Kim MeeHye),정순둘(Chung SoonDool),김수진(Kim SooJin)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This study purpor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human rights of older adults residing in rural areas of Korea. The study utilized, as an analytic framework, 4 priority directions (1. “older persons and development”, 2. “rural area development”, 3. “advancing health and well-being into old age”, and 4. “ensuring enabling and supportive environments”) with 13 task actions recommended by 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MIPAA).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all items included in the analytic framework. Data was collected by the face-to-face survey on 800 subjects aged 65 and over.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TATA 13.0 program. The main results were summarized in order of 4 priority directions as follows. First,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were 6.2, and men reportedly participated in economic activities and needed job training more than women, while women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more than men. Awareness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was low in both genders. Second, accessibility to the support center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s well as protective services for the vulnerable elderly was found to be low. IT-based services and networking were used more by men than women, and specifically, IT-based financial transactions and welfare services were least used. Third, medical check-ups and vaccinations were well received, while consistent treatments for chronic illnesses and long-term care services were relatively less given. In addition, accessibility to mental health service centers was considerably low. Fourth, although old house structures and the lack of convenience facilities were found to be circumstantial risk factors for these elders, experiences of receiving housing support services were scarce. The elderly were found to rely more on informal care, and concerns for their care were higher in women than men. Plus, accessibility to elderly abuse services was markedly low.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ed wer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policies and practical interventions to raise the levels of the human rights for this population. 본 연구는 마드리드 고령화 국제행동계획(MIPAA)의 노인 인권보장 관련 기준이 제시하는 1) 노인과 발전, 2) 농촌개발 3) 노년까지의 건강과 안녕증진, 4) 독립된 생활을 지원하는 환경확보라는 주요 방향과 13개의 세부 과제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농촌 노인 인권관련 실태를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북, 경기, 충남, 전남의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기술통계분석과 T-test 분석을 STATA 13.0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과 발전: 경제활동은 참여율과 노동시간이 남성이 높았으며, 일평균 노동시간은 6.2시간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은 여성의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직무교육의 필요성은 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긴급 상황에서 화재 및 방재시설에 대한 인지 정도는 남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농촌개발: 독거노인지원센터 및 취약계층이 받는 보호지원 서비스의 접근성이 낮았고, 정보기기 기반 서비스 이용률 및 정보기기 통한 교류 여부는 여성이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정보기반 서비스 중 금융거래 및 행정/복지서비스 관련 이용률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노년까지의 건강과 안녕증진: 보건의료서비스의 경우 1회성의 건강 검진 및 예방 접종의 이용률은 높은 반면 만성질환의 정기적 관리 및 중증질환을 관리하는 장기요양서비스 이용률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정신건강관련 기관의 접근성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독립된 생활을 지원하는 환경확보: 주택안전에서는 주택구조와 편의시설 부족이 가장 위험하다고 응답했으나, 주거서비스 지원을 받은 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돌봄 환경에서는 여전히 비공식적 돌봄에 의지하며, 돌봄에 대한 여성의 걱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대서비스는 접근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농촌노인 인권보장상황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및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컴퓨터/인터넷 게임 활동이 노인의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안준희(Joonhee Ahn),임경춘(Kyung-Choon Lim),이윤정(Yoon-Jung Lee),김경식(KyungSi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7

        본 논문은 노인의 컴퓨터/인터넷 게임 활동이 자아통제감을 매개로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237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경로분석을 통해 구성 개념간 인과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의 컴퓨터/인터넷 게임 활동은 자아통제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게임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은 자아통제감은 우울을 감소시키고,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 결과, 컴퓨터/인터넷 게임활동은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자아통제감을 매개로 노인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통제감은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보다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들의 새로운 여가활동 형태인 컴퓨터/인터넷 게임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구조적으로 증명했다는 의미가 있고, 노인들을 위한 게임을 개발할 때 인지적, 신체적 특성을 고려할 뿐 아니라 노인들이 자아통제감을 얻을 수 있는 방향에서 접근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uter/internet game play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via perceived self-control among older adult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237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65) who reported internet users. A path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main constructs. Results showed that the computer/internet game play had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self-control. Perceived self-control was found to decrease depression and improve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Addi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mputer/internet game play in older adults did not directly affect mental heal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but indirectly affected it via perceived self-control. Furthermore, perceived self-control had greater effects on depression than on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have crucial implications in that perceived sense of self-control needs to be seriously considered when we develop mental health games for older adults.

      • KCI등재

        "우리는 같은 피부색을 가졌어, 그렇지?"

        안준희(June Hui Ahn)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8 비교문화연구 Vol.14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s in which American middle-class children learn and reproduce various social categories such as race, ethnicity, language, and ag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children`s peer culture shows that children do not imitate or passively internalize social categories of the adult world, but actively appropriate, manipulate, and transform them to address concerns of their peer worlds such as alliance formation and exclusion and the pursuit of power and authority. Exposed to two potentially conflicting ideas about social categories, one that emphasizes the idealized world where everyone is equal, welcomed, and included, and the other that provides the idea of categorization, children selectively choose information on categorization, and actively reinterpret, reconstruct, and reformulate it in ways that are sensitive to the social contexts of their world. I contend that social categories become significant tools for social use through their significance in children`s social worlds as well as the meaning of them in the larger social world. The findings of this article reveal that socialization is not a unidirectional process wherein the beliefs and practices of adult worlds are passively transmitted from adults to children, but a constant negotiation of learning wherein children play a significant role as active participants. The perspective this article takes will force social science theories of learning to note the inherent dynamism involved in cultural learning and the contribution that children make to socialization and cultural reproduction.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장기요양인력의 스마트 기술 사용의도에 대한 탐색적 분석

        안준희(Joon Hee Ahn),이선형(Sun Hyung Yi)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노인복지연구 Vol.0 No.68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장기요양인력을 대상으로 스마트 기술 사용의도를 파악하고 이에 관련되어 있는 요인들과 그 관계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기술수용모델(TAM)을 사용하여, 스마트 기술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사용의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연구모형 1). 또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을 사용하여, 스마트 기술사용에 대한 주관적 규범, 직무 관련성, 지각된 유용성, 사용의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연구모형 2). 조사대상자는 충청남도와 경기지역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의 장기요양인력 127명이었으며,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조사대상자 중72.4%가 스마트 기술에 대한 사용의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이러한 사용의도에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이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규범, 물리적환경 지원 및 건강지원 직무관련성은 사용의도 뿐 아니라 지각된 유용성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은 연구모형(1, 2)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요양시설에서 스마트 기술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증거 기반적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tributors to the usage intention of smart technology by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1),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PEU), perceived usefulness(PU), and usage intention(UI).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xternal variables (subjective norm, job relevance), PU, and UI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2).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cross-sectional survey of 127 care workers. Results showed that PEU and PU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care workers’ employed at long-term care facilities. UI, with PU having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PEU and UI. Subjective norm, physical support job relevance, health support job relevance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both PU and UI. PU also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ose three external variables (subjective norm, physical support job relevance, health support job relevance) and UI.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at smart technology should be developed in ways to be usefulness and easy to use in order to be introduced into long-term care facilities. Efforts should be also focused on forming a positive social norm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mart device and developing smartifact application to assist services for physical adjustment as well as health support for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 KCI등재

        한국어 공손성의 언어사회화 관습 연구

        안준희(Ahn June hui) 한국사회언어학회 2016 사회언어학 Vol.24 No.1

        This paper examines language socialization practices regarding politeness in a Korean preschool. In particular, it analyzes linguistic and paralinguistic features of politeness that teachers emphasize in their everyday discourses with children, and examines the ways that children reproduce or reconstruct these features and other linguistic resources in their peer talk. The analysis of teacher-children discourses shows that teachers emphasize pragmatic features of politeness such as polite forms of request, politeness routines, soft voices, high pitch, and rising intonations while not correcting inappropriate and ungrammatical uses of honorifics. Moreover, the analysis of children's peer talk demonstrates that children strategically use various linguistic and paralinguistic features of politeness to address goals of their culture-laden peer worlds such as pursuit of power and authority, alliance formation, or evasion of adult control.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s to language socialization research, studies on Korean politeness, and research on peer talk.

      • KCI등재

        갈등과 사회적 관계의 사회화: 미국과 한국 유아교육 기관의 갈등사회화 관습 비교를 중심으로

        안준희 ( Junehui Ah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1

        본 논문은 미국과 한국의 유아교육 기관에서 실천되는 갈등사회화 관습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이에 투영된 두 사회의 문화특수적 사회관계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두 문화의 갈등사회화 관습은 교사의 갈등에 대한 태도, 역할, 개입 빈도, 갈등의 책임을 다루는 방식, 그리고 갈등을 둘러싼 행동의 의도와 감정이 형상화되는 방식에 있어 문화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의 갈등사회화 관습은 교사의 적극적 개입과 중재자로서의 역할,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체화, 갈등에 있어서 감정의 중요성, 한국의 사회화 관습은 교사의 무개입, 갈등의 책임을 갈등 당사자 공동에게 부여하는 방식, 갈등에 있어서 의도의 중요성을 각각 특성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은 이러한 문화적 차이를 두 문화에서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사회적 관계, 사회성, 공동체의 특성과 연계하여 분석, 논의한다.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teachers’ involvement with peer conflict in preschool classrooms of the U.S. and Korea to illuminate culturally specific ways of conflict management in the two cultures. The analysis of conflict discourses shows that conflict management practices of two cultures differ in terms of teachers’ attitude toward conflict and their roles in conflict management and the ways responsibilities, intentionalities, and feelings involving conflicts are dealt with. The conflict socialization practices of the U.S. are characterized by teachers’ active intervention in children’s conflicts as mediators, the specification of the offender and the victim, and the importance of feelings in conflicts, whereas the Korean ones are featured by teachers’ non-intervention tendency, the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to all parties involved in conflicts, and the significance of intentionality. The paper contends that children, through participation in conflict management practices, not only learn culturally specific ways of carrying out, managing, and resolving conflict, but are also socialized into societal values of social relationships, social and moral order, and socialities.

      • KCI등재

        놀이 중심 교육의 토착화와 딜레마: 한국 유아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안준희 ( June Hui Ah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6 교육인류학연구 Vol.19 No.1

        본 논문은 놀이 중심 교육이라는 서구 유아 교육 담론 및 제도가 한국 유아 교육현장에 토착화되는 과정, 특히 그 과정에 수반된 갈등, 혼란, 딜레마를 살펴본다. 논문의 기반이 되는 자료는 놀이 중심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한 유치원에서의 15개월간의 질적 연구를 통해 수집되었다. 교사들은 수입된 교육제도를 수동적으로 이식하기보다는 창의적 아동 기르기라는 사회화 목표에 맞게 재해석, 재구성하였으며, 동시에 놀이 중심 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창의성을 강조하는 등 창의성이라는 사회화 가치를 한국적 맥락에 맞게 토착화하였다. 또한 토착화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과 딜레마에 직면하여, 놀이 중심 교육의 이데올로기가 지닌 허구를 간파하고, 이에 대해 저항과 회피의 전략을 통해 대응하였다. 논문은 서구 유아 교육철학과 제도의 토착화 과정이 교사들의 일상적인 실천에 의해 매개됨을 보여줌으로써, 교육의 세계화에서 현지 교사의 행위성이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는 기존 교육인류학 연구 성과들을 뒷받침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Western play-centered curriculum is indigenized in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conflicts, confusions, and dilemmas embedded in indigenizing processes. Based on ethnographic fieldwork conducted at a Korean preschool, the article shows that teachers, rather than passively adopt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reinterpret and reconstruct it to address the education goal of cultivating children’s creativity, self-expression, and diversity. At the same time, in enacting an imported curriculum, teachers reconceptualized Western individual-based creativity as cooperative creativity to reflect local demands. Moreover, teachers penetrated the problems of play-centered ideology and confronted them with resistance and avoidance. The article, overall, articulates local teachers’ agency in the globalized educational landscape by showing how global imports become indiginized with the work of local teachers who make decisions on how to implement or resist imported educational ideas and practices.

      • KCI등재

        콧수염 좀 건네주세요 -미국 중산층 아동들의 사회화 맥락 재해석과 변형-

        안준희 ( June Hui Ah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8 교육인류학연구 Vol.11 No.1

        이 논문은 미국 중산층 아동들이 일상의 사회화 관습을 자신들의 또래 관계 형성과 사회 목표를 달성의 장으로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변형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사회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이 연구에 의하면, 미국 중서부의 한 도시에 위치한 킨더센터라는 프리 스쿨에서의 민족지적 현지조사는 아동들이 어른들의 언어사회화 목표를 수동적으로 학습하기보다는 또래 문화의 주요 사회목표인 권위의 획득과 협력적-배타적 사회관계 형성의 장으로 재해석, 재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창의적 변형은 교사들과의 끊임없는 협상을 수반하였으며, 아동들의 사회화 가치의 조롱과 비판은 교사들의 사회화 관습에 변화를 가져오기도 하였다.따라서 본 논문의 결과는 사회화가 동일한 버전의 어른들을 재생산해내는 일방적이고 단선적인 과정이라기보다는 사회 변화와 새로운 지식의 생산에 능동적 역할을 하는 끊임없는 학습, 시험, 성장의 협상의 장임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s in which American middle-class children participate in and engage with language socialization practices. Detailed ethnographic description of everyday social interactions in an American middle-class preschool shows that rather than passively internalizing adult socialization inputs, children actively reinterpret, transform, and challenge them to address concerns of their peer worlds such as the pursuit of authority and alliance formation and exclusion. The research critically extends previous studies on children and socialization by focusing on children`s active use and transformation of cultural resources, thereby shaping their own developmental experiences while at the same time contributing to the reproduction of social order and ideology. The findings of this article contend that unlike the traditional social science view of enculturation as a uni-directional process wherein adults reproduce faithful cultural versions of themselves, socialization is a process of constant negotiation of learning, testing, and growing that plays a dynamic role in knowledge development and processes of social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