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유변학적 방법을 통한 PLA/MMT 용액의 분자 거동 및 나노 복합재료 필름 특성 연구

        안정빈,김유정,김형섭 한국섬유공학회 2019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6 No.1

        The viscoelastic behaviors of Poly(lactic acid)(PLA)/Montmorillonite(MMT) solution and film were measured to study MMT dispersion and PLA conformation, which have critical influenc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LA/MMT composite film. The dispersion of MMT in the matrix was also observed using SEM and XRD. All the experimental results that were performed revealed that MMT was homogeneously dispersed and interacted strongly with PLA through ion exchange. Homogenous dispersion improv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m.

      • KCI등재

        의무범에서의 정범과 공범을 구별 짓는 기제로서의 ‘의무의 강약설’ 및 사회적·규범적 판단에 대한 연구 - 부작위 경합 상황에서의 의무의 충돌 및 의무부과의 개념을 중심으로 -

        안정빈 중앙법학회 2022 中央法學 Vol.24 No.4

        기존 작위범에서의 정범과 공범의 구별 양태가‘작위-작위’ 형태라면, 부작위범에 있어서의 정범과 공범의 구별 가담형태에는 ‘작위-부작위’, ‘부작위-부작위’, ‘부작위-작위’ 형태의 3가지 가담형태가 있다. 이러한 경우 가담자가 정범인지 방조범인지를 살펴보고 정범이라면 단독정범인지 공동정범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일단 정범인지 공범인지 구분할 때의 구별기준 설시가 관건이다. 가담자가 정범 인지 공범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있어야 한다. 또한 정범이라면 단독정범인지 공동 정범인지 판단기준이 있어야 할 것이다. 부작위 정범과 공범의 구별에서 가장 전형적이고 일반적인 유형은 작위에 부작위 형태로 가담하는 유형이겠지만 이 분류기준을 부작위에 부작위로 가담할 때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부작위 경합상황에서의 정범과 공범의 구별가능성은 다른 말로 표현하면 부작위에 의한 부작위범에 대한 정범과 공범의 구별가능성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부작위범은 의무범과 동전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부작위범에 부작위로 가담하는 형태에서도 부작위자가 정범인지 공범인지를 구별해 보아야 하며, 이때 부작위 정범이 되는지 부작위 공범이 되는지 부작위 정범도 공범도 되지 않는지는 이론적으로도 실무적으로도 중요한 문제이다. 그렇지만 그간 우리나라에서 부작위범에 있어서의 정범과 공범 주제와 관련한 연구가 많지는 않았다. 부작위범에 있어서의 부작위에 부작위가 경합하는 사건이 발생했을 때에도 이러한 구조의 성립가능성에 관한 연구가 국내에서도 간간이 있어 왔지만 지금까지도 부작위범 또는 의무범 사이에서 정범과 공범의 구별에 관한 논문이 극히 적은 편이다. 또한 독일이나 일본에서도 그 문헌이 많은 것이 아니다. 작위범에 있어서의 정범과 공범의 구별에 관한 연구는 오래되었지만, 부작위범에 있어서의 정범과 공범의 구별에 관한 연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고, 또한 자료도 거의 없는 실정인데 아무래도 부작위범 또는 의무범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그러할 것이다. 그렇지만 현실에서는 부작위범을 형사처벌하고 있으며, 현행법상 부작 위를 처벌하지 않는 국가는 거의 없다. 그러하기 때문에 연구의 필요성이 적지는 아니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의무범이 경합하는 경우의 공범 성립가능성을 주된 테마로 다루었고 사회적/규범적 판단과 결부시켜 이론적 측면에서 다각도로 분석했다. 의무범에서의 정범과 공범을 구별 짓는 기제로서의 사회적·규범적 판단에 대한 연구를 주제로 선정한 이유는 부작위 경합 상황에서의 의무의 충돌 및 의무부과의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형법이론을 통해서 실무에서 부작위범을 처벌하는 근거를 명확히 검토해 보고, 부작위범에 대한 처벌근거가 명확하지 않다면 부작위범으로 처벌하는 것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의무범 개념에 대한 중요성이 보다 명확해진 부분도 있었다. 의무범이라는 표현이 생소한 측면이 있으므로 그 개념에 대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도록 하자면, 일반적으로 작위의무를 가지고 있는 자가 의무를 해태할 경우에 발생되는 범죄이기 때문에 의무범이라 한다. 구성요건이 특수한 의무를 전제하는 의무범죄에 있어서는 구성요건과 관련한 특수한 의무침 해에 정범적 요소가 존재하고, 신 ... Until now, the form of distinction in the the sphere of the ‘act’ was mostly ‘act-act’form, but in the sphere of the ‘omission’, there are three types of participation. these are ‘act-omission’, ‘omission-omission’ and ‘omission-act’ . The key is to establish a standard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principal offender and accomplice. There should be a standar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articipant is a or an accomplice. Even in the form of omissio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whether the omission is a principal offender or accomplice, and whether or not the omission is an accomplice is important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on the subject of principal offender and accomplice in omission crimes in Korea. There have been occasional studies on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such a structure in Korea even when there is a conflict of omission in omission, but there are still very few papers on the distinction between principal offender and accomplice among omission actors. Also, there is not much literature in Germany or in Japan. The study on the distinction between a principal offender and an accomplice in a crime of omission has been long, but the study on the distinction between a principal offender and an accomplice in a crime of omission has not been long, and there is little data, but it is probably because the omission is invisible. However, in reality, the omission is criminally punished, and few countries do not punish omission under the current law. Therefore, the need for research is not small. In this paper, the main theme was the possibility of establishment in the case of omission, and it was analyzed from various angles in terms of theory. The reason why we selected the theory of discrimination between the principal and accomplices of omission an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joint principal is that we should clearly examine the basis for punishing omission offenders in practice through criminal law theory and reduce punishment for omission if the basis for punishment for omission is not clear. In the process,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mandatory offenders became clearer. In the t ype of ‘omission-omission’, does both become principa l offenders because there is no control over no action?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between when it is the same as the principal offender and when it is the same as an accomplice. There may be cases where it is a principal offender, and there may be cases where it is an accomplice, and the specific criteria are not clear. In a structure in which a person participates in a crime of omission or a structure in which a crime of omission is involved, the theory that a person who participates is an accessory is almost, but in some cases, I think it should be regarded as a crime of omis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some criteria for distinction. Although we accept the position of the principle aiding and abetting theory in the case of omission, this paper classifies the form of omission as a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ame value standard theory, but it is not an essential discussion of omission. Some textbooks describe the form of participating in omission as an accomplice to omission, but the accomplice to omission has usually been discussed only participating in omission as a form of omission. However, since it is possible to participate in the omission in the form of omission, and it is possible to participate in the form of a public offender rather than an accomplice, there is no reason to use the expression of accomplice in omission anymore.

      • KCI등재

        동가치성기준설을 중심으로 한 부작위 공범구조론 ― 상응성과 동가치성 개념을 중심으로 ―

        안정빈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법학 Vol.30 No.3

        The vocabulary of ‘same valuableness’, which refers to the correspondence with the act, and the ‘same valuableness’ as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principal offender and the accomplice of omission, should be clearly distinguished, but it is not a totally different concept at all. The vocabulary indicat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act and omission and the vocabulary of same valuableness us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principal offender and the accomplice of omission can be seen as the same concept throughout. Whether this is expressed as Entsprechung or Gleichwertigkeit, the expression itself might not be a big problem. If there is only one participant, the same valuableness criteria theory does not function as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principal offender and the accomplice of omission, but if it functions as an equivalent criminal value in the dimension that omission corresponds to the act. For example, the agenda of which the crime of omission murder is an illegal attack such as killing a person by act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Of course, it is a discussion derived from self-defense for omission, but the agenda of whether or not it has the aggressiveness of omission is important and there is sufficient benefit to discuss it as a correspondence with omission, not an agenda surrounding the self-defense law clause. In this paper, I tr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ame valuableness, equivalence, and correspondence, which have been confusedly used so far, and discussed on omission which the precedents take these days. 배우자를 부작위로 살인한 사건과 관련하여 보증인지위 및 행위정형의 동가치성에 대한 쟁점이 주요 화두로 부각됐다. 비단 살인죄뿐만 아니라 특히 사기죄에서도 동가치성이 필요한지 여부가 동가치성에서 주로 쟁점이 되는 사안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판례에서 사기죄와 관련하여 부작위범 동가치성을 판단한 판례는 보이지 않는다. 살인죄에서도 행위정형의 동가치성은 필요 없다고 볼 수 있을지 그 부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살인죄에서는 행위정형의 동가치성의 필요성 유무를 판단해 볼 기준 자체가 없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인죄에서는 행위정형의 동가치성을 요구하고 있다. 단독범에서는 부작위가 작위와 같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렇다면 범인이 한 명이 있을 때에는 부작위에 의한 실행행위는 작위에 의한 실행행위와 동등한가? 이것을 검토하는 것이 작위/부작위 상응성(Entsprechung)이다. 작위와의 상응성을 가리키는 동가치성이라는 어휘와 부작위의 정범과 공범 구별 기준으로서의 동가치성은 분명히 구분되어야 하지만 전혀 다른 개념은 아니다. 작위와 부작위의 상응성을 나타내는 표지와 부작위 정범과 공범을 구별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동가치성이라는 어휘표지는 큰 틀에서 같은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Entsprechung이라 표현하든 Gleichwertigkeit라 표현하든지간에 그 표현 자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 KCI등재

        공범과 신분— 신분개념 및 의무범이론을 중심으로 —

        안정빈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36 No.3

        It is appropriate to limit the application of the Criminal Law in exceptional cases, even if the scope of the Criminal Law is broadened so as not to be excessively reduced. To do so,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tatus could be important. It seems to be a bit of a problem to assume human characteristics, relationships and conditions altogether, as in Germany's ‘besondere personliche Merkmal’. The differences of the concept of the Status between Korea and Germany is thought to stem from the differences of the definition of Status. For example, the Status of Korea Criminal Act Article 33 needs the continuity. For example, our status in criminal law will have to be sustained. Therefore, defining Status in Korea should be different from defining Status in Germany. At least in applying Article 33 in the concept of Status Crimes, it would be inappropriate to apply the General Parts of the Criminal Law. For example, with regard to Article 9 which concerns Criminal underage. In addition, the prematur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Status Crime could cause more problems. In this paper, it is largely divided into two, one is Status related to the Status Crimes and another is Status which is not related to the Status Crimes. Furthermore, the applicability of the Obligation Crime could contribute to reducing the scope of the Status Crimes. 형법의 적용범위를 지나치게 축소시키지 않기 위해 신분의 범주를 다소 넓게 규정하더라도, 예외적인 부분에서는 형법 적용을 제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그러기위해서는 신분개념 정립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우리 형법 조문에서의 신분을 정의할 때에는 ‘특별한 지위’ 부분으로 한정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독일의 특별한 인적표지에서처럼 인적성질・관계・상태를 모두 상정하다보니 다소 문제가 되는 것 같기 때문이다. 어디까지를 신분이라고 보아야 하는지도 우리 조문상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다. 우리나라에서의 신분 개념과 독일의 특별한 인적표지, 이 양자 사이에는 차이가 있고 이 차이는 신분의 정의(definition)에서 비롯된다고 생각된다. 가령 우리 형법에서의 신분은 계속성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하기에 한국에서의 신분을 정의할 때에는 독일에서 신분개념을 정의하는 것과는 달리해야 할 것이다. 적어도 신분범 개념에서 제33조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형법각칙과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 제33조를 적용해야 할 것이며, 형법총칙과 관계된 부분 – 가령 제9조 형사미성년자 관련된 부분 - 을 신분개념으로 보아 제33조를 통해 적용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내・외국인까지도 신분범의 신분 개념에 포함시키는 실정에서 – 혹은 어디까지가 신분인지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 섣부른 신분범 개념의 적용은 자칫 수범자를 형벌로부터 보호하는 데에 역행할 여지가 없지는 않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신분범 중 제33조 관련 신분범으로 적절한 것과 제33조 신분범으로 판단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크게 양분하여 보았다. 제33조의 신분이 되려면 의무 관련 신분이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신분개념상 신분범을 의무 관련 신분범과 의무 비관련 신분범으로 구분하는 방안 등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제33조를 적용하기 위한 공범과 신분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나아가 가벌성을 줄이기 위해 의무범 이론의 제33조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신분범의 범위를 축소하는 것이 가벌성을 제한하는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의무범 이론의 적용은 신분범의 범위를 축소하는 여러 방법 중에 하나로 작용할 것이다. 물론 신분범의 범위 자체를 축소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작위와 부작위 구분의 애매성과 부작위 내 분류기준에 대한 검토 - 보증인 의무에 있어서의 보호의무와 안전의무 구별을 중심으로 -

        안정빈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1

        부작위범을 처벌하려면 요건을 엄격하게 해 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어떠한 부작위 행위가 있을 경우 이를 작위로 판단해야 할지 부작위로 판단해야 할지는 상당히 애매하다. 애매성에 관하여, Cesare Beccaria는 법률의 자의적 해석이 나쁜 것이라면, 그러한 해석을 필수불가결하게 만드는 불명확성(obscurity) 역시 또 다른 악일 수밖에 없다고 한다. 그러한 경우 국민은 자신의 재산과 자유에 관해 취해야 할 태도를 스스로 판단할 수 없게 되고, 그 때문에 법률의 해석은 소수의 사람들에게 일임될 수밖에 없게 된다고 한다. 어떠한 부작위행위가 있다면 이를 작위로 판단해야 할지 부작위로 판단해야 할지는 상당히 애매하다. 가령 집단적 노무제공 거부로 인한 파업이 부작위에 해당하는지 작위에 해당하는지에 대해서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대법관 5인은 소수의견에서 집단적 노무제공 거부로 인한 파업이 부작위라고 밝혔다. 부작위 정범과 공범의 구별문제에 있어서 부작위범이 부작위 방조로 인정이 될 경우, 방조미수는 불가벌까지 될 수 있으니 정범과 공범을 뚜렷하게 구별해 주는 쟁점(Agenda)은 피의자/피고인 입장에서는 아주 절실한 문제이다. 부작위범에게 있어서 미수의 경우 가벌성이 획기적으로 감축된다는 측면에서 부작위 방조로의 인정은 절실한 선결문제가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보증인의무에 있어서의 보호의무와 안전의무 구별을 중심으로 하여, 작위와 부작위 구분의 애매성과 부작위 내 분류기준에 대한 검토를 할 것이며, 보라매병원 판결과 세월호사건 판결을 이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본고는 이론적 중요성을 가지면서도 이론에 머무르고 말았던 부작위 가담자의 죄책을 구체적 유형별로 치밀하게 분석하였고 특히 가담자 간에 작위의무의 층위를 구별할 수 있는 경우에 유용한 논거가 될 것이라는 기대 하에 작성하였다. 본고는 형법의 전통주제인 부진정부작위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부작위범의 불법과 관련하여 많은 논의(작위와 부작위의 구별, 부작위범에 있어서 정범과 공범의 구별, 동가치성의 문제 등)들이 있는데 본고에서는 보증인의 의무내용구별설로 범위를 한정하고 논의를 진행시켰다. 즉 보증인의무에 있어서의 보호의무와 안전의무 구별이 중심적 내용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한국뿐만 아니라 독일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기존의 논의를 더욱더 심화한다는 의미에서 본고가 가지는 학술적 가치는 적지 않다고 판단했다. 또한 다루려는 주제를 위와 같이 한정하면서도 논문구성의 필요에 의해 부작위범 일반에 관한 전반적인 논의까지 일부 기술하였다.

      • KCI등재

        부작위 공동정범-공동의무의 개념 및 실질적 공동정범 논의를 중심으로-

        안정빈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法學論叢 Vol.26 No.3

        세월호 사건과 관련된 수많은 쟁점들 중 대법원은 부작위 공동정범에 관련된 중요한쟁점들을 다룬 바 있다. 비록 소수의견에서이기는 하지만 부작위 공동정범 성립 긍정의 관점을 보였다. 현재까지는 부작위 공동정범 인정 여부에 대해 아직까지 학계에서이렇다 할 결론이 나지 않은 상황이다. 각 보증인이 종범이 아닌 정범적격을 갖는다면이러한 보증인들 간의 부작위 공동정범 적격성은 병렬적으로 동등하다. 타 보증인의협력이 필수불가결한 상황은 부작위에 있어서의 실질적 공동정범의 요건이다. 어떠한 공동체에서 개인 또는 사회에 대해 의무를 부과한다면 이로 인하여 때로는개인의 처벌이 확대되는 결과를 야기할 가능성도 없지는 않겠지만, 법익을 보호하기위한 정당하고 적절한 처벌로 기능할 수도 있다. 법익을 보호한다는 명목이 어떠한 행위를 하거나 또는 의무를 부과하는 데에 있어서 비단 자유롭기만 한 영역은 아니지만,법익을 보호한다는 전제하에 여타의 다른 명목에 비해서는 정당화의 가능성이 높다. 또한 실질적 공동의무의 필요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법익 보호의 측면에서 정당화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실질적 공동의무를 인정하게 되면, 이를 통해 곧 사회나 국가 공동체가 더 큰 이익을보장받는 방향으로도 연결될 가능성도 있다. 사회나 국가 공동체의 이익 보장은 그 사회나 국가의 개별적 구성원들의 이익이 더 확대되는 측면으로 연결될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다. 이러한 전제하에 실질적 공동의무 및 부작위 공동정범에 대한 도그마틱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의무라는 것이 법익보호를 위한 것에서부터 비롯된다면의무를 설정함에 있어서 법익에 대한 보호를 전제로 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의무의 본질이 무엇인가 하는 법이론적 부분에만 천착한 나머지, 법익보호를 위해서는 공동의무 이외에는 여타의 해결방안이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에조차, 피해자들에 대한 법익보호를 할 수 없다면 이는 정당성도 없거니와 합리적이지도 않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공동의무 및 실질적 공동정범 개념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또한부작위의 공동정범을 인정할 필요성을 토대로 그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기존의 부작위 공동정범 인정설의 한계점과 그 세분화의 필요성에 대해 논고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크게 부작위 공동정범의 인정필요성과 그 인정의 전제가 될 공동의무 개념을 두 축으로 하여 논지를 전개하였다. 또한 부작위 공동정범의 현실적 필요성 여부에 대해 고찰하고 보증인의 결과방지가능성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Among the numerous issues related to the Sewol ferry accident,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s dealt with important issues regarding to the Co-principal by Omission. Although it was a minority opinion, it showed a positive view of the Co-principals by Omission, which is so far not yet firmly determined, so there are no significant conclusions in the Criminal Law Academic Society. This article is mainly focused on the concept of the Co-obligations and the Substantial Co-Principal. In the event of each guarantor's qualification, each guarantor shall have the right to co-qualify for non-operation on an equal footing. And the situation in which other guarantors may also have to ask for cooperation means the requirement for substantial co-ordination of the non-acts. If there is no legal or sociological basis, can judges fail to deal with obligation crime cases? If the obligation comes from protecting the interests of the law, it will not be impossible to establish the obligation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law. Even when there is no other way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law, it is neither reasonable nor justifiable if the legal interests of other victims are not protected in order to ensure freedom or autonomy. It could lead to increased penalties when the community imposes its obligations, but it could also be a legitimate punishment to protect legal interests. It becomes a legitimate legal and social protection for the protection of legal interests. Nothing can be done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law, but it can also be justified in cases of protecting the interests of the law. This is the case at a time when substantial common duties are needed. This will soon lead to the guarantee of the interests of the entire nation, and even the interests of individual members. The following discussed the practical necessity of co-conformity of non-operation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uarantor's ability to prevent consequences.

      • KCI등재

        우리 형법상 사기죄 규정 해석 및 적용과정상의 문제점과 한계 ― 사기죄의 제한해석을 중심으로 ―

        안정빈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8 No.2

        Since 2015, the number of fraud cases in Korea has exceeded the number of theft cases. So, as of 2015, have we become less theft and more fraud? Of course, there are a number of vicious frauds and these frauds deserve to be punished. However, the reality is that criminal prosecution is rampant in civil affairs, which should be punished for fraud. Since the criminal procedure law stipulates that anyone can file a complaint, and that a complaint case must be accepted as a criminal case, minor disputes between individuals often turn into criminal cases. As various indicators show, Korea has become a Republic of Korea. They try to solve civil and even academic issues by filing a complaint. However, the issue of fraud charges in real life exists in a fairly unrefined relationship until they are accused of fraud in daily trading relations, investigated and indicted by the police, and sentenced by the court to a final ruling. In the case of fraud, there is no way to prove inner confidence, so people generally judge fraud guilty by considering the asset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transaction. However, assuming that there was no will to defraud property by fraud at the time of the transaction, or that there was a willingness to defraud at the time of the investment, is too much for the functionalization of the legal interest concept, which interprets fraud, which is a personal legal interest, too lightly in terms of social legal and interest. There is a aspect that takes the civil issue of bond debt relations too risk-bas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mise and the payment of the payment after the contract is concluded is reasonable in spring, and in that case, the payment of the payment is based on the judgment that the payment is based on the payment of the contract, if the contract is not related to the execution of the contract or payment after the contract is concluded, even if the donation means are used to conclude the contrac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mise and the payment is cut off. Therefore, we will discuss the issue of criminal law theory in the recognition of fraud, focusing on the theoretical feasibility and limitations of criminal illegality of civil issues and issues related to the intention to dispose of fraud. 우리나라에서 절도죄의 발생 건수를 사기죄의 발생 건수가 넘어서게 된 것은 2015년부터이다. 그렇다면 2015년을 기점으로 하여 절도를 덜 하게 되고 사기를 더 많이 하게 된 것일까? 물론 인터넷상 중고사이트의 거래사기라든가 보이스피싱 주범을 비롯한 악질적인 사기 범죄들이 부지기수이고 이러한 사기행위는 응당 처벌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렇지만 과연 사기죄로 처벌되어야 할 것인가 의문이 드는 민사문제들에 대해서도 형사고소가 만연한 것이 현실이다. 형사소송법 규정상 누구나 고소를 할 수 있고, 고소 사건은 반드시 형사사건으로 접수를 해서 처리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개인 간 사소한 다툼도 형사사건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다. 각종 지표에서 드러나듯이 그만큼 우리나라는 고소공화국이 되었다. 고소를 통해 민사문제 심지어 학술적 쟁점까지 해결하려 한다. 고소/고발 사건에 대한 전건입건법제로 인하여 검경에서는 무조건 이를 입건하게 됨으로써 우리나라 법문화 자체가 일단 고소나 고발을 하고 보자는 방향으로 잘못 흐르게 되었고 이 비중은 일본 등 여타 국가에 비해서도 상당히 높다. 독일에서는 사기죄와 관련된 형법개정을 여러 차례 하였는데 대체로 사기죄에 대한 처벌의 흠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치중하였다. 개인 간 계약에서 채무불이행 사항 등 민사 문제가 발생하면 작금의 현실에서는 민사로서 이를 해결하고자 하지 않고 형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관행이 일반적으로 자리잡게 되었고 이에는 법관, 검사, 사법경찰관이 가세하여 민사문제를 형사문제화 한다. 그런데 일상 거래 관계에서 사기죄로 고소가 되어 검경에서 수사, 기소가 되고, 법원에서 최종 판결이 선고되기까지 현실에서의 사기죄 고소 이슈는 상당히 정제되지 않은 사실관계 속에 존재한다. 최근 대법원의 입장이 민사문제를 형사화하는 것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경향에 비추어 보면, 이 논문의 주제는 시의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사기죄 인정에 있어서의 형법이론적 문제점에 대하여 민사문제의 형사불법화의 이론적 타당성 및 한계를 중심으로 하여 논고해 본다.

      • KCI등재

        부작위범에서의 동가치성 및 과실부작위범 - 행위지배표지의 불충분성에 대한 의무범이론의 상보성을 중심으로 -

        안정빈 중앙법학회 2023 中央法學 Vol.25 No.2

        Criminal law is a powerful system with sharp tools that can deeply hurt people and even destroy people, so through criminal law, it formalizes social control exercised by criminal law, ensuring that the damage caused by criminal law is minimized. In the social role, concreteization is bound to depend on the situation. In light of the view that the omission itself, that is, the omission of the guarantor, should not be punished, it is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 omission of the non-guarantee is punished through Article 33. It is desirable to arbitrarily reduce the omission of the guarantor, but it would not be desirable to punish the omission of the non-guarantee through Article 33 and not be able to arbitrarily reduce the omission. It is the same that this is not solved even if it is viewed as a concept of a identity offender. It is also not clearly defined how far one should be regarded as a status. In the form of “no action-no action”, it is not considered a problem of no action because the no action is to participate in the form of no action, and this part can be solved to some extent by the concept of an accomplice and an identification offender under Article 33 of the Criminal Act. Even so, Article 33 itself cannot be applied to non-identical people. This is because Article 33 will apply only to those who are identified. I think Article 33 will apply only if all participants have status. This is because asking for responsibility even though you are a non-identity person without status would be as if you were asking a person who did not have an obligation in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to be guilty of breach of trust. Even in the issue of establishing a joint principal offender of omission, each principal offender must have a guarantor status and an obligation to act to establish a joint principal offender of omission. If any one of them has no obligation to act, a joint principal offender of omission cannot be established even under Article 33 for a person who has no obligation to act. In the Boramae Hospital case, the patient’s wife was judged as a murderer by omission. The doctor’s doing can be regarded as an act or an omission. Suppose a father stays still when his child is drowning. If the child is drowning and the father is just looking at him, it is of course a crime by omission. Mentally encouraging and assisting through acts of action, or handing over murder tools or giving tips, then these can also be regarded as crime by omission. If there is a person who applauds, helps, and instructs them to kill him from behin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person who does this is a criminal by act, but there is room for discussion whether this committing criminal is a principal offender or an accomplice. It should be distinguished whether the criminal is a principal offender or the accomplice. 최근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국가기관의 부작위 형사책임에 관하여 많은 관심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태원 압사 참사 사태와 관련하여, 시민단체는 이태원 참사는 국가 부작위에 의한 살인죄이므로 고위공직자 16명을 직무유기와 업무상 과실치사상 등혐의로 경찰에 고발한다고 밝혔다. 이는 공무원에 의한 과실부작위범 사안으로 포섭할 수는 없을 것인가 논구해 보아야 한다. 부작위범 쟁점과 관련한 또 다른 최신 사건으로는 22세 청년이 뇌졸중으로 쓰러진 부친을 병원비 부담으로 집에서 홀로 돌보다 생활고와 간병을 감당하지 못해 부친을 의도적으로 방치하여 사망케 한 이른바 ‘간병살인 사건’이 법원에서 유죄를 선고받았다. 이와 같은 부작위범에 대한 쟁점 사건들이 연일 우리 신문 지면상을 장식한다. 이은해 사건에서도 인천지법 1심 판결에서 부작위 살인죄가 적용되어 무기징역이 선고되었고 서울고법 2심 판결에서는 항소기각을 하였다. 현재 피고인은 상고한 상태이다. 또 다른 부작위 사례로서, 가령 포털사이트의 한 동호회 카페에서 명예훼손적 게시글이 버젓이 수십 일 동안 게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포털사이트 관리자 및 동호회 카페지기 둘 다 삭제를 하는 등의 행위를 하지 않았다면 둘 다 부작위범으로 의율 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포털사이트 사례의 경우 누가 정범이고 누가 방조범이 되겠는가? 포털사이트 관리자 및 카페지기 모두의 부작위가 있었다면 이는 부작위 상호 간의 쟁점이 된다.

      • KCI등재

        과실범 공동정범 및 과실범에서의 정범과 공범의 구별 - 실화죄 과실경합 등 비의료영역에서의 과실범과 의료과실의 비교를 중심으로 -

        안정빈 중앙법학회 2023 中央法學 Vol.25 No.4

        고의범의 경우에는 가령 고의 살인죄의 경우에는 작위로 사람을 살해한 경우와 부작위로 사람을 살해한 경우 동가치성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야 할 필요성이 있지만 과실로 사람을 살해한 과실치사죄의 경우에는 작위 과실치사죄와 부작위 과실 치사죄를 고의범에서처럼 엄격하게 구분할 필요성이 줄어들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형법 제18조의 엄격한 작위와의 상응성 절차도 거칠 필요성이 감소된다고 생각 된다. 과실치사죄는 부작위에 의한 과실치사가 되는 작위에 의한 과실치사가 되든 과실치사죄일 뿐이다. 형법 제14조 과실범의 조문에는 “정상적으로 기울여야 할 주의를 게을리하여 죄의 성립요소인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행위는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만 처벌한다”라고 되어 있다. 정상의 주의를 게을리하는 게 반드시 작위에 의해서만 게을리 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작위든 부작위든 정상의 주의를 게을리하게 되면 이는 과실범이 되는 것이다. 즉, 형법 제14조 과실범 안에는 이미 작위와 부작 위의 행위태양이 함께 들어있는 것이다. 형법 제347조 사기죄에 사기를 작위로 범하든 부작위로 범하든 공히 양자의 행위태양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듯이, 그리고 유기죄와 배임죄에 있어서도 유기와 배임의 행위양태에 작위/부작위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듯이 형법 제14조의 과실범은 작위/부작위 공히 과실의 행위태양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부작위범에 있어서의 보증인의무 즉 보증인의 작위의무가 위법성의 요소라면 범죄성립 제2단계인 위법성 단계에서 이 부분이 위법한지 아닌지 검토를 요할 것인가? 생각건대 보증인의 작위의무는 위법성의 요소가 아니라 구성요건해당성 관련적 요소라고 보인다. 그러므로 작위의무는 해당구성요건에서 검토를 해야 할 것이다. 만약 보증인의 작위의무가 위법성의 요소라고 판단한다면 이것이 위법성조각 사유에 해당하는지 - 위법한지 아닌지 - 검토하는 기준은 법질서 전체의 관점이 될텐데 실제로 작위의무의 유무는 전체적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검토하지 않고 개별 조문별로 검토를 하는 현실에 비추어 보증인의 작위의무는 구성요건해당성 관련적 요소라고 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공무집행방해죄에서 위법성이 있는지 여부는 공무집행의 적법성 위법성을 개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고, 수뢰죄에서는 불법영득의사가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행위가 적법성/위법성을 가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배임죄에서의 재산상이익보호의무라든지 과실범에서의 주의의무에는 “의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의무’이기 때문에 위법성의 요소라고 볼 것인가? 배임죄 재산상이익보호의무, 과실범에서의 주의의무, 부작위범에서의 보증인지 위는 구성요건요소이고 부작위범에서의 보증의무도 구성요건요소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규범적 구성요건요소이기에 따라서 의무에 관한 착오는 구성요건요소착오가 된다. 구성요건요소착오이기 때문에 고의가 조각되는 경우도 있고 책임 단계에서 위법성의 착오/금지착오가 되는 경우도 발생할 것이다. 그렇다면 구성요건해당성 단계에서 보증의무의 유무를 판단하고, 위법성요소단계에서 보증의무착오가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것인가? 보증인의무를 구성요건단계에서 판단하지 않는 학설은 없다. 구성요건요소의 착오는 모두 구성요건착오가 된다는 명제는 옳지...

      • KCI등재

        미수이론과 함정수사 - 교사범을 중심으로 -

        안정빈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홍익법학 Vol.23 No.3

        Currently, most criminal law scholars in Korea seem to believe that entrapment investigations are legitimate in principle, but illegal when exceptionally strong measures are used.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criminal law, it is judged that the entrapment investigation should be considered legitimate only when exceptional, and very light means are used. It can be said that the question of how to look at principles and exceptions makes a huge difference in the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criminal law scholar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represent the point of view of investigative agencies or law courts. Since criminal law has a great influence, the results on the people will inevitably be quite devastating depending on how the theory is constructed, and research on this field is still divided in opinion. The reason why criminal law theory discussions on entrapment investigations have not been held in Korea for a long time is closely related to the absence of Supreme Court cases. Although the prosecution and police frequently investigated under the entrapment investigation technique,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that the entrapment investigation was illegal, for the first time, in 2004. This paper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ubstantive and procedural theories on the entrapment investigation. In the current reality of the change in the criminal procedure law system, the criminal legal system and criminal law theory have a great influence on our society and citizens, so judgment should be very cautious, and although some legislation regarding entrapment investigations has been already made, but the expansion should be avoided. 현재 대한민국의 대다수 형사법학자들이 함정수사는 원칙적으로 적법하지만 예외적으로 강한 수단을 썼을 때에 위법하다고 보는 추세인 것 같다.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형사법학자들이 수사기관이나 법원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작금의 상황은 원칙과예외의 출발 전제를 거꾸로 잡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형사법학적 관점에서라면 함정수사는 원칙적으로 위법하다고 보아야 하고, 예외적으로만 그리고 아주 경한 수단을 썼을 때에만 적법하다고 보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원칙과 예외를 어떻게 바라보고 출발하는지 여부가 결론에서 엄청난 차이를 가져온다고할 수 있다. 형사소송법제도의 변화와 맞물린 작금의 현실에서 형사법제도의 변경과 이론이 얼마나 큰 영향력을 미치는지는 너무나도 명확하다. 형사법은 그 영향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어떻게 이론구성을 하는지에 따라 국민에게 미치는 결과가 상당히 크게 파괴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고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의견이 분분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측면에서 함정수사에 관한 실체법적 그리고절차법적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