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차원 코드를 위한 이차원 체크섬

        안재원(Jaewon Ahn)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체크섬은 에러검출의 우수성 때문에 TCP등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 체크섬 방식은 연산이 간단하고 빠르나, 미검출 에러가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여러 다른 형태의 체크섬 방식등이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각 방식에 성능과 효율면에서 상관관계가 있어 어플리케이션에따라 선택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에 저자는 새로운 개념인 이차원 체크섬이라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알고리즘이 단순하면서도 기존의 체크섬의 미검출 에러의 문제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비용-이득 스펙트럼상에서 매우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다.

      • KCI등재후보

        아이네아스의 방패에 나타난 세계상(imago mundi)

        안재원(Ahn Jaewon) 한국서양사연구회 2013 서양사연구 Vol.0 No.48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how to read Aeneas’ Shield in Aeneid 8. For this, I have made some comparisons between Virgil and Livy,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s of how did Virgil symbolize Rome as a ruler of the World. In this regard, I have examined how Virgil combined the Roman History with the idea of imago mundi using ekphrasis-technic. According to my examination, imago mundi in Aeneas’ Shield is not just a kind of mappa mundi, but a political Kosmos which as whole was subject to Imperium Romanorum. Historia Romanorum in Aeneas’ Shield also was not an accumulation on old narratives and historical facts of the Roman People, but was designed and organized planfully as a world history on the basis of fatum-concept. Doing this, I have figured out how Virgil prefigured the Roman Empire and how he provided the image of an Emperor to the Roman readers or audiences through the shield-scene. In this regard, what to emphasize is that Virgil was very meticulous and excellent in word selection and architectural organization of space in the Shield. In description of the Roman Republic history, he used intentionally terms which are important ideas for sustaining res publica like fides, justitia, libertas, concordia, etc. For justifying the rule empire, however, he selected some words like pax, bellum, populi, imperium, etc. This is evident in the following: tu regere imperio populos, Romane, memento (hae tibi erunt artes), pacique imponere morem, parcere subiectis et debellare superbos. (Aeneis, 6. 851-853)

      • KCI등재후보

        보절(寶節)의 역사와 이야기 ― 거물성 이야기를 중심으로 ―

        안재원 ( Ahn Jaewon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건지인문학 Vol.- No.34

        이 논문은 보절의 역사를 알리는 글이다. 이 글은 거물성의 축성 시기와 축성의 역사적인 배경을 해명하였다. 이 글은 거물성은 7세기에 축성되었고, 거물성은 역사적으로 삼국통일 전쟁과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백제부흥운동과 직결되었음을 보여주는 문헌학인 전거를 제시하였다. 이를 뒷받침해 주는 증거로 2021년에 수행된 고고학적인 발굴조사의 성과도 소개하였다. 이와 같은 문헌 전거와 고고학적인 성과를 바탕으로 이 글은 거물성이 거열산성처럼 ‘국가사적’으로 지정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 글은 또한 보절의 역사도 기본적으로 한반도의 국제 정세의 맥락에서 접근할 때, 그 면모와 실제가 온전하게 드러남도 제시하였다. This paper tries to introduce the history of Bojeol. The paper examines the construction period of Geomulseong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Geomulseong was constructed in the 7th century. It was related with the three kindoms’ war and particularly with the restoration movement of Backje(백제). To support it, the paper provides some philological evidences and archeological proofs which were excavated by Cheollamunhwayeonguwon(전라문화연구원) in year of 2021. Based on them, the paper contends that Geomulseong deserves to be designated as national historic site, like Geoyeolsanseong(거열산성). In addition to this, the paper argues that the ancient history of Bojeol is to be explained fully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7th century around Korean peninsula.

      • KCI등재

        16-18세기 유럽에서 중국으로 온 책들과 중국에서 유럽으로 간 책들

        안재원 ( Ahn Jaewon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文學 Vol.93 No.-

        이 글은 16-18세기에 유럽에서 중국으로 온 책들과 중국에서 유럽으로 간 책들에 대한 간략한 보고이다. 글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유럽에서 중국으로 온 책들이 무슨 목적으로 어떻게 모아졌고 어떤 운명을 거쳤으며, 책들에 대해 중국인들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를 소개한다. 다음으로, 중국에서 유럽으로 간 책들의 운명과 책들에 대해 유럽인들이 보인 반응을 아울러 소개한다. 결론적으로 서양고전문헌학의 비교를 통해서 “디지털도서관 (BIBLIOTHECA SINACOPA 1.0)”의 구축을 제안한다. This paper is concerning about stories and histories of books and libraries established by Jesuits missionaries in 16th-18th centuries. The paper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ly, the paper give some stories of books that were brought into China from Europe. Concering this, the paper presents why, how, and by whom books were collected. It was N. Trigault who collected books for making a library. Secondly, the paper gives some stories on some history on books that went to Europe. In this regard, Ph. Couplet was a significant person who brought Chinese books that are now preserved in Vatican library. For better investigation, finally, the paper suggests a digital library in name of SINACOPA 1.0 that will include books now preserved in Europe, China and Corea.

      • KCI등재

        HUMANITAS! 보편이념인가 제국이념인가?

        안재원 ( An Jaew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6 서양고대사연구 Vol.45 No.-

        이 물음에 대해서는 두 가지의 답변이 가능하다. 한편으로 후마니타스는 보편이념이다. 그것은 인간 교육의 핵심 이념이었다. 다른 한편으로, 하지만, 후마니타스는 제국 이념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두 개의 논증을 제시할 수 있다. 하나는 제국의 관점에서 로마화의 정당화시켜준 이념이 후마니타스다. 다른 하나는 문명의 관점에서 인간의 신체가 표준 준거이었다는 점이다. 기본적으로, 하지만, 후마니타스는 보편 가치로 보아야 한다. 비록 그것이 제국의 팽창주의에 종종 부역을 했음을 부인할 수 없음에도 말이다. 국가의 규모에 관계없이, 시대의 제약에 관계없이, 정의, 평등, 선함과 같은 후마니타스의 하위 개념들은 보편 가치로서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Humanitas is a universal idea that has been indispensible in human education. Humanitas could also be seen as an imperial idea. It served as an effective tool to justify the expansion of the Roman Empire. In materialistic aspects such as Roman architecture and measurement, the human body was taken as the basic scale to achieve the ideal of beauty and perfection. In spite of its imperialistic nature, I believe that humanitas is basically a universal idea. Subcategories of humanitas such as justice, equality and goodness, are still taken for essential virtues transcending time and space.

      • KCI등재

        『Parvum Vocabularium Latino-Coreanum(羅鮮小字典)』과 『羅韓辭典』의 학적 가치와 중요성에 대하여

        안재원(Ahn Jaewon),김현권(Kim Hyun-Kwon) 한국사전학회 2006 한국사전학 Vol.- No.7

        In this paper, we have tried to estimate the values of the first two Latin-Korean lexicons 『Parvum Vocabularium Latino-Coreanum(羅鮮小字典)』 and 『Dictionarium Latino-Coreannum(羅韓辭典)』. For this purpose, we have made comparison between these two, from which have resulted the following three points. The first one is that the two lexicons are one of the most valuable historical treasures for Korean Humanities. Because these lexicons contain a lot of important informations which will reveal and demonstrate the process of Korean modernization in its history. In relation to this point, we have made a proposal that the future investigation of this kind of research should not only depend on their linguistic analysis but also on the interdisplinary perspectives, i.e. studies of Korean History, Culture and Sociology. Words and linguistic exspressions contained in the lexicons would reflect a reality of the contemporary Korean world. The second is the observation that the translations of Latin words into Korean are made very systematically. We have observed some regularities by which Latin words are translated into Korean words that mostly consist of two syllables. One can make an assumption about this fact that the systematic translation would not be an accident but a necessary result. As the authors confronted Latin semantic world, for the first time in its history, with Korean one which has very different from the European, we think, the translated Korean words and linguistic exspressions could not be simple literal equivalents. They should have thus necessarily reacted on Latin words with semantic systems, which reflect Latin semantic fields. Finally, we have noticed some very interesting changes of Korean language in the lexicons. The Korean language has much changed, in particular lexically, in the morden period which dates from 1860 to 1945, during which Indo-European languages, included Latin, and texts has been introduced, taught and translated for the first time in its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페리클레스는 미친 헤라클레스인가?

        안재원 ( Ahn Jaewon ) 대구사학회 2021 대구사학 Vol.145 No.-

        투키디데스는 전쟁과 역병이 동시에 발생한 딜레마 상황에서 요청되는 리더십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간과했다. 역병은 아테네를 지탱해 주었던 전통적인 가치와 이데올로기마저 해체했다. 이 상황에서, 페리클레스는 전통적인 배분 정의론과 종교와 법에 호소하면서 애국심과 국가주의를 강화했다. 하지만 이런 페리클레스의 리더십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사람도 많았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에우리피데스였다. 그에 따르면, 페리클레스는 다름 아닌 미친 헤라클레스였다. 전쟁과 역병의 딜레마 상황에서 요청되는 것은 신중함의 리더십임을 강조하는 작품이 『미친 헤라클레스』였다. 긴 역사를 놓고 볼 때, 역병은 긍정적 측면도 남기었다. 역병으로 인해 소위 “데카당스” 분위기가 사회적으로 만연했을 때, 예컨대, 무엇이 좋은 것이고, 무엇이 정의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반성과 통찰의 기회를 제공하였기 때문이다. Thucydides did, however, overlook the issue of what kind of leadership should be required in a situation of war and plague, particularly in a plague disaster. Pericles clearly boosted patriotism and nationalism by appealing to traditional distributive justice, religion, and law, while the plague destroyed the traditional values and ideology that held Athens together. However, many people criticized Pericles’ leadership in this regard. One such critic was Euripides, who saw Pericles as nothing more than the insane Heracules. Because Heracles mainomenos is a work that emphasizes the prudence-based leadership required in times of war and plague. Given its long history, the plague had a positive impact by allowing for introspection and insight into what is just and how to live. (Seoul National University, numeniu@snu.ac.kr)

      • KCI등재후보

        무사(Musa), 카메나(Camena), 세이렌(Seiren) :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읽기

        안재원(Jaewon Ah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1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6

        이 논문은 로마의 문학이 그리스 문학에 대해 경쟁력을 가지게 되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기여를 했던 군소 문법가들을 소개하는 글이다. 로마 문학이 경쟁력을 확보함에 있어서 문법학자들이 기여한 분야는 크게 세 영역이다. 첫째는 그리스 문학의 번역 분야이다. 둘째는 교육 분야이다. 셋째는 교육과 학문의 제도화를 위한 노력이다. 이 글에서는 주로 번역과 교육 분야에 논의를 집중했는데,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를 사례 삼아 예증하였다. 로마의 문인들은 그리스의 시인들과는 대조적으로 그 대부분이 학교에서 문법 교육과 문학 훈련을 받았던 학자-시인(poeta doctus)들이었는데, 그 대표적인 경우가 오비디우스였기 때문이다.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ce and Rome is usually described by the terms imitatio et aemulatio. Rome was really keen to imitate Greece. However, Romans could not satisfy with the imitation of Greece. The conquered began to emulate the conqueror. In the end of the Ist century AD, there existed some Romans claim that Rome has overcome Greece completely. One of them may be Quintilian, because he declares that "Homer in Greece, but Vergil in Rome" (Inst. Orat., 10.1. 85). Of course, his claim is disputable. However, it is evident that Quintilian's claim is tolerable in the sense that the Latin is no more a poor language (egestas linguae!, Lucretius De Rerum Natura, 1. 52) in his time. For this,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s are authors like Cicero, Vergil and Horace. With this, it is worthy also to see various endeavors of so called small contributors, named Grammarians who seem to have exercised some large influences over Roman authors. In this regard, there is no doubt about the fact that Ovid is a poeta doctus. In this paper, thus, I have concentrated on arguing of some grammarians who have exercised some influence over Ovid's poetry, as a case study for answering to the question of how the conquered defeated the victor.

      • KCI등재후보

        볼프는 <중국인철학자공자>를 어떻게 읽었는가?

        안재원(Jaewon Ah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4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3

        이글은 계몽주의 철학자 크리스티안 볼프(Christian Wolff, 1679-1754)가 동양의 고전을 어떻게 읽었고, 어떤 입장에서 수용했는지를 문헌학적으로 밝히려는 작은 시도이다. 여러 접근 방식이 있겠으나, 논의의 편의를 위해서 볼프의 psychologia와 인토르체타의 natura의 비교를 논의의 중심에 놓겠다. 이를 위해서 먼저 심리학(Psychologia)에 대한 볼프의 생각을 소개하겠다. 이어서 볼프의 『경험심리학, Psychologia emperica』과 『이성심리학, Psychologia rationalis』에서 인토르체타(Prospero Intorcetta, 1626-1696)가 번역한 라틴어『중용』의 흔적을 추적하겠다. 마지막으로, 동양고전에 대해 볼프가 직접 밝힌 자신의 입장을 소개하겠다. It is well-known that Wolff was a very significant Sinophile. It is noteworthy to see how he read Confucius. For this, I investigated some traces which show how Wolff understood and used Confucius for his philosophy. For the sake of brevity, however, I limited my investigation on analyzing two dedications: one of them was dedicated by Wolff to the prince William of Hessen in Psychologia empirica(1732, Frankfurt & Leipzig) and the other to the prince Friedrich of Hessen in Psychologia rationalis(1734, Frankfurt & Leipzig). Based on this, I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term Natura(性) of Scientiae Sinicae Liber Secundus(中庸) and the concept of psychologia of Wolff’s Psychologia empirica (1732) and Psychologia rationalis(1734). From this, I suggested newly that Wolff"s psychologia might be influenced from the natura-concept in Scientiae Sinicae Liber Secundus, because Wolff’s concept psychologia is structurally compared with the natura?idea in Scientiae Sinicae Liber Secundus. To be sure, however, psychologia is an idea which cannot be understood in the viewpoint of modern psychology. It is a concept which stands nearer to the natura-concept of Scientiae Sinicae Liber Secundus. It is, in a way, a “hybrid” concept; on the one hand because the term natura in the translated can be compared to the term Psychologia,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is not completely identical with Psychologia. So far, I think, discussion should be open in worldwide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