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 연어 사용 오류 분석

        안의정 한국문학언어학회 2022 어문론총 Vol.92 No.-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사용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양상을 계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파악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151만 어절의 형태 분석 말뭉치에서 연어를 많이 만드는 핵심어 46개를 검색하였으며, 검색된 용례에서 연어 구성의 오류를 보이는 용례를 찾아내어 오류 코드를 부여하였다. 말뭉치 자료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교육 분야의 연구는 그간 다양한 각도에서 학습자들의 연어 사용에 대한 연구가 수행이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본 연구와 같은 대규모 연어 목록을 대상으로 하여, 말뭉치에서의 오류를 폭넓게 살핀 연구는 부족하였다. 즉, 학습자 오류 분석은 연어가 아닌 영역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고, 어휘적 연어에 대한 오류 분석이 이 시점에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결과는 학습자 사전 편찬과도 연계가 되어야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중요 개념과 연구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연어 구성별 오류를 오류 위치, 오류 양상, 오류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4장에서는 연어가 구 단위로 한 덩이가 되어 문장 내 다른 성분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구 단위별 오류는 문형 구조 오류, 수식어 오류, 부정 오류, 어순 오류와 같은 통사적 층위와 의미적 층위로 나누어 해당 용례를 중심으로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어의 구성이 주로 체언부와 용언부로 구성이 되기 때문에, 오류의 위치도 조사와 동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오류의 양상 4가지 중에는 대치와 오형태가 첨가나 누락보다 월등히 많이 나타났다. 오형태는 주로 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였고, 대치는 조사를 잘못 사용하여 나타나는 오류였다. 구 단위 오류는 총 142개가 나타났는데, 이 중 대부분은 문형 구조 오류에 해당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 글쓰기 자료에 기반한 사용역 연구

        안의정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6

        이 연구는 대학생 글쓰기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기초적인 계량적 분석과 구어성측정,용례 비교 분석 등의 다양한 사용역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장에서는 사용역별 문장의 길이를 측정하였는데,그 결과 자기소개 글과 사진 이미지 글이 가장 문장이 짧은 반면,제안서 쓰기가 문장이 가장 긴 것으로 측정되었다.어휘 다양도 분석 결과는 기행문의 어휘 다양도가 가장 낮게 나왔고,사진 이미지 쓰기의 어휘 다양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마지막으로 어휘 밀도는 제안서 쓰기가 가장 높게,자기소개 글이 가장 낮게 나왔는데,6개 영역 모두 기존에 측정된 한국어 문어 텍스트의어휘 밀도의 평균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4장에서는 6개의 세부 영역에 대한 구어성 측정 비교와 특정 어휘에 대한 용례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먼저 기존 연구에서 구어성이 높은 어휘로 파악된 16개의 조사의 분포를 살펴보았고,이어 구어성 점수가 높은 의존명사 ‘거’와 일반명사 ‘때’의용례를 사용역별로 비교하여 정리하였고,구어의 영향을 받아 그 사용 빈도가 높은 일반명사 ‘부분’의 잘못된 쓰임도 용례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말뭉치언어학에서 사용하는 계량적인 측정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는데,이는 말뭉치언어학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덜 진행된 대학 작문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사용역별로 하위 말뭉치를 만들어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는데,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개별 학생이 생산한 글쓰기 자료도 계량적인 분석을 할 수 있다.즉,이러한 비교 작업을 통하여 학생의 글쓰기 능력을계량적으로 측정하여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수행한 용례 분석 작업을 보완하여 용례집으로 정리한다면,향후 대학의 글쓰기 교재 개발이나 글쓰기 교육에 구체적인 문장 예시로 활용이 가능할것이다. Based on college students’ writing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various uses via basic quantitative analysis, measurement of colloquialism, and comparative analysis of usage. In Chapter 3, the length of sentences by registers was measured. As a result, self-introduction and photo image writing had the shortest sentences, while proposal writing had the longest. Lexical diversity analysis revealed that travel writing had the lowest lexical diversity, and photographic image writing had the highest. Lastly, the vocabulary density was highest in proposal writing and the lowest in self-introduction, and all six registers showed values lower than the average vocabulary density of previously measured Korean written texts. A comparison of colloquial features measures in six registers and a usage analysis of specific vocabulary were performed in Chapter 4. First, we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16 particles identified as highly colloquial vocabulary in existing research. Next, we compared and organized the usage of the dependent noun “geo” and the common noun “ttae” with high colloquiality scores by region of use. Influenced by, the incorrect use of the frequently used common noun “bubun” was also examined through usage analysis. We presente d a variety of quantitative measurement methods used in corpus linguistics, which is expected to be of considerable help in college writing research, where corpus linguistics research is relatively less advanced. In addition, sub-corpus were created and compared by register, and the writing data produced by individual students can also be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the same method. In other words, through this comparative work, a student’s writing ability can be qualitatively measured and presented. In addition, supplementing and organizing the usage analysis performed in this study into a collection of usages will make it possible to use it as specific sentence usages in the development of writing textbooks or writing education at colleges in the future.

      • KCI등재

        학습자 작문 교육을 위한 텍스트의 구어성 측정 연구

        안의정 ( Eui Jeong Ah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7 No.-

        최근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사용역을 고려한 언어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어휘의 사용 양상은 텍스트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러한 어휘 선택이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쉬운 문제가 아니다. 즉, 작문에서 학습자들은 구어 어휘를 선택하는 오류를 흔히 범하고 있다. 학습자들의 이러한 어휘 사용 양상을 살펴서 학습자가 생산한 문어 텍스트의 구어성을 측정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안의정(2009)에서는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어 어휘의 구어성과 문어성을 측정하여 이를 어휘 목록으로 정리한 바 있다. 본고는 여기서 제시한 목록을 기반으로 하여 측정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의 구어의 여러 텍스트들을 구어성의 정도에 따라 나열해 볼 수 있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구어성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구어성의 개념을 검토하는 이유는, 다양한 구어 텍스트의 구어성 정도를 정리하여 본고에서 제시하는 구어성 점수의 타당성 검증에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타당성 검증을 위해서는 모국어 화자의 구어 텍스트를 이용하였다. 이어 3장에서는 텍스트의 구어성 측정을 위한 방법과 그 과정의 전반을 소개하였으며, 특히 구어성 측정에 직접적으로 사용할 안의정(2009)의 목록을 면밀히 검토하여 구어성 어휘의 등급을 1~4등급으로 나누어 활용하였다. Resently the research of teaching Korean language becomes more active, the importance of teaching Korean language is being highlighted regarding the register. Use patterns of vocabulary depends on the types of text, and these selection of word is not easy to foreign students. In other words, learners often make mistake of choosing a vocabulary in writing. This study aims to measure colloquial features of texts which generated by learners by observing these patterns using the vocabulary of learners. With regard to this, Ahn(2009) made colloquial and formal features to list with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the corpus linguistics. I studied the methods of measurement based on this list, and as a result, I could list up colloquial features of existing several spoken texts.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 have summarized the concept of colloquial features in chapter 2. I have reviewed the concept of colloqual features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because I want to use colloquial features to validate ``colloquial feature score`` which I have marked on existing spoken texts. I used spoken text in their native language speakers for validation. In chapter 3 I introduced the method for the mesuriing of the colloquial features of texts and the entire process of it. In particular, the list of Ahn(2009) used directly in measuring the colloquial features was examined closely and the level of spoken language vocabulary was utilized by being divided into 1-4 grades.

      • KCI등재

        구어 어휘의 의미 연구 방법론-말뭉치 기반 사용역 변이 연구를 중심으로-

        안의정 한국어의미학회 2014 한국어 의미학 Vol.43 No.-

        This study aims at finding the methodology for the meaning of colloquial vocabulary by arranging the history of research of corpus-based register variation. Many studies using corpora have focused on variation by comparing two or more dialects, channels, genres, sublanguages or varieties of language in order to uncover the main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m. In one language, there are many types of sublanguage existed and this sublanguage can be divided and understood in the aspects of genre, language register, and style. In this study, I’d like to determine how to suggest the methodology for the study of meaning by studying the variation of corpus linguistics. To understand the language register is to understand various usages of language forms in the discourse level out of sentence level.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spoken language vocabulary in the discourse level by focusing on the study of language register variation including spoken language. In Chapter 2, I organ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us linguistics and semantic study as a basic theoretical discussion. In Chapter 3, thereafter, I organized what type of variation study was processed following the corpus annotation. I organized the study of various registers by dividing into raw corpus, POS tagged corpus, and speech corpora. Finally, in the Chapter 4, I introduced a methodology for the study of meaning targeting sense tagged corpus.

      • KCI등재후보

        음성출력 의사소통 기구(VOCA)사용 중재가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안의정,이소현 한국자폐학회 2009 자폐성 장애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by using VOCA in inclusive setting.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ir peers. A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tervention by using VOCA increased the utterance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on of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Moreover, the effect on social interaction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 was generalized at another setting and maintained at 3 weeks later. 본 연구는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게 음성출력 의사소통 기구(Voice Output Communication Aid: VOCA) 사용 중재를 사용했을 때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하는지를 살펴보고자 실행되었다. 중재는 구어적 표현 능력의 부족으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역할놀이 시간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VOCA 사용 중재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하였고, 다른 놀이 영역 상황과 활동으로 일반화 되었으며,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 KCI등재

        형태 분석 말뭉치 구축을 위한 한국어 구어 분석

        안의정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9 언어사실과 관점 Vol.47 No.-

        In this study, I discussed various problems that can occur when constructing a POS Tagged corpus of Korean spoken. The morphological analysis corpus is the most basic annotation corpus, while the study and construction work on the annotation of written corpus is done in various angles, but the research on the spoken corpus has hardly been done. First, I introduce the corpus and the morphological analysis tool, Utagger, which will be used in the analysis. Then, I have examine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poken corpus. Then, I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poken language, especially the contraction which i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colloquialism. And I discussed why information about the contraction phenomenon is important in the POS Tagged corpus of spoken language.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the various sentences including the spoken variation by using the Utagger used in constructing the large corpu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tools developed around written language, about half of them did not show correct results. Especially, the contracted forms were rarely processed. Finally, I describe the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parts of speech that are reveal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written corpus for the analyzing of spoken corpus. In this paper, I deal only with morphological analysis, which is the most basic annotation, but I think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how the distribution of homophonic words in written and spoken corpus differs for the constructing of a annotation corpus separated by lexical meaning.

      • KCI등재

        구어 전사 말뭉치 구축에 관한 현황과 쟁점

        안의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8 언어와 문화 Vol.14 No.3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related issues and their solu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new corpus corpora. In other words, we have examined the following issues to construct a new spoken corpus. First, we summarized the domestic and foreign corporation corpus construction business. And second we have summarized the examples of use of corpus in various fields and the issues in construction. Finally, we discussed specific measures to solve these issues. A study of corpus that can represent the spoken language of modern Korean is also necessary. But at the present time, I constructed the new corpus map in order to supplement the Sejong spoken corpus so that it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Sejong spoken corpus. The level of the transcription was based on the orthographic transcription, but it seemed necessary to parallel the partial phoneme transcription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ken language. The transcription tool suggested using Elan to synchronize voice and text. Finally, we discussed how to write a consent form for the distribution of cor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