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 폐염 환자에서 시행한 흉부 물리치료의 효과

        안미경,우광석,Ahn, Mi-Kyung,Woo, Kwang-Seog 대한물리치료과학회 1998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5 No.4

        Object: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chest physical therapy in pediatric patients with pneumonia. Method: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89 pneumonia patients admitted to pediatric uni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treatment group. Control group included 42 patients who didn't receive chest physical therapy. Treatment group included 47 patients who received chest physical therapy. The chest physcial therapy employed were postural drainage, chest percussion, deep breathing training and enhancement of coughings. The efficacy was evaluated by x-ray outcome before discharg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sex, type of pneumonia, and symptom duration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duration of fever after admission, duration of antibiotic use and hospital stay were longer in treatment group. In treatment group, longer the day to initiate chest physical therapy, longer the hospital stay. The final outcome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eferred patients for chest physical therapy tends to be of severe cases. Nevertheless, the result that the outcome was not different in two groups means that the chest physical therapy could be used as a effective treatment method in pediatric patient with pneumonia.

      • KCI등재

        초등과학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 유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안미경 ( Mi Kyung Ahn ),정영란 ( Young Lan Ch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을 초등 과학수업에 적용했을 때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형태가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실제 자기조절학습의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개월간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을 서울C초등학교 5학년 1개반(3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학생들의 자기조절 학습이 학생들의 인지, 동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상위, 중위, 하위그룹에서 남녀 1명씩, 총 6명을 집중관찰학생으로 선정하여 정성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B와 학생C는 ``인지조절``과 ``동기조절``의 혼합으로, 학생E와 학생F는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의 혼합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D는 ``인지조절``, ``동기조절``뿐 아니라 ``행동조절``의 혼합형태로 자기조절학습이 발전하고 있었다. 이처럼 자기조절학습은 각각의 영역에 의해 독립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나고 있었다. 즉, 유기적인 관계속에서 각각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며, 동기조절이 인지조절과 행동조절을 유도하며, 인지조절이 다시 행동조절을 유도하는 구조를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ulate their learning in science class and proposes type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on three main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regulation of cognition, regulation of motivation, and regulation of behavior. Six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groups (from high/middle/low levels of science achievement) based on quantitative data. The study showed that the self regulated learning teaching model can improve a cognitive regulation, motivative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And each factor contributed independently in the enhancement of self regulated learning capacity. However, the combination of cognition and motivation, and the combination of motivation and behavior also appeared to have impact on the enhancement of the capacity. The combination of all three factors also appeared to have impact.

      • KCI등재

        잠야 박지계 문집의 간행 경위와 서지적인 특징

        안미경(Ahn Mi-Kyung) 역사문화학회 202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4 No.2

        이 연구는 잠야 박지계의 문집인 『잠야선생집』의 간행 경위와 서지적인 특징을 다루었다. 문집과 연보의 발문 기록을 통하여 어떠한 사람들이 편집과 간행에 참여하였는지 그 경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다음 교서관의 금속활자를 이용하여 조선 후기 개인 문집 간행의 실태와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집의 편집은 박세채로부터 시작되었으나 마무리는 잠야의 제자의 후손들인 김상로·박성원·김종후에 의해 완성되었다. 문집의 간행은 제자의 후손인 원경순에 의해 시도되었으나 최초의 간행은 1766년에 이루어졌다. 이때 교서관에서 만든 금속활자인 교서관인서체자로 간행되었다. 그 뒤 1969년 석판으로 다시 간행되었고, 1977년에는 『한국문집총간』 80집에 수록되었다. 잠야의 연보는 1803년 후손 박대화에 의해 작성되었다. 간행은 후손 박대순과 박기순의 주도하에 1937년 대전의 이문사에서 석판으로 간행되었다. 문집의 서지적인 특징은 『잠야선생집』이 금속활자인 교서관인서체자로 간행되었다는 점이다. 교서관은 나라에서 필요한 서적을 인쇄하는 관서이지만 개인의 문집을 인쇄하는 경우도 많았다. 『잠야선생집』은 교서관 활자로 인쇄하였지만, 다시 목판으로 인쇄하려고 하였다. 왜냐하면 금속활자는 필요한 책을 찍어내고 나면 그 조판을 해체해 버리기 때문에 다시 찍어낼 수가 없지만, 목판은 한번 판각해 놓으면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찍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잠야의 글을 영원히 보존하기 위해서는 목판으로 간행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였으나 결국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This study dealt with the publication process and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Jamya Park Ji-gye"s anthology, 『jamya seonsaengjib』. The publication process was examined through the later records of anthology and chronology. Then, the actual condition and meaning of personal anthology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examined using the metal type produced by Gyoseogwan. Anthology was edited by Sang-ro Kim, Seong-won Park, and Jong-hu Kim. These are the descendants of Jamya"s disciples. The first publication of the anthology was published in 1766 with metal movable type made in Gyoseogwan. It was then printed on stone again in 1969. The Chronicle of Jamya was written in 1803 by a descendant of Park Dae-hwa. The publication was printed on stone by Yimun Publishing House in Daejeon in 1937. The bibliographical feature of the anthology is that『jamya seonsaengjib』 was published in the Ggyoseogwan-inseocheja. Gyoseogwan is a place where books needed in the country are printed. However, the 『jamya seonsaengjib』was printed in Gyoseogwan type type, but it was attempted to be printed on woodblock again. The reason is that in order to preserve Jamya"s writings forever, it was thought that the best way would be to publish them in woodblocks. In the end, it could not be done for various reasons.

      • KCI등재

        Grammaticalization of Prepositional Phrases Owing to, Due to, and Because of

        안미경(Mi Kyung Ahn) 언어과학회 2005 언어과학연구 Vol.32 No.-

        This paper describes semantic changes that occurred to prepositional phrases introducing causal relationship, i.e. because of, owing to, and due to. This study also examines categorical changes of the prepositional phrases and their status as a grammatical category. The semantic changes are triggered by various mechanisms such as metaphor, metonymy, generalization, anthropocentricity, and analogy. Metaphorical transfer invokes changes of ontological domains. Metonymic transfer changes the meanings based on the contiguity relationship between two entities or events. Generalization extends formerly specific meanings into those that could be used in larger contexts. Anthropocentricity changes meanings formerly associat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external world into those related with personal emotion and evaluation. Analogy makes it possible to change in surface collocations and in patterns of use. This study shows that semantic changes are not related to a single change mechanism, but various mechanisms operate either simultaneously or successively. Finally this investigation shows how persistence is related to their language use by studying their semantic constraints and comparing their token frequencies.

      • KCI등재

        화자간 상호작용과 언어교육에 있어서의 영어 담화 표지 you know의 역할

        안미경 ( Mi Kyung Ah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2 외국어교육연구 Vol.26 No.2

        이 논문은 L2 학습자들의 담화표지 you know의 의미와 기능에 관한 올바른 이해와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you know의 사용이 연령, 성별, 사회계층, 인종등과 같은 사회적인 변수들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you know의 담화 표지기능 중 특히, 상호간의 common ground를 증진시켜 주는 기능을 고찰하고 담화 표지 you know가 common ground marker로 사용되는 다양한 맥락을 분석하였다. 셋째, 확인 및 강조기능, hedging기능등과 같은 you know의 담화상의 세부 기능들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you know가 담화 표지로 발달하기까지의 의미적인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L2 learners fully understand meanings and functions of pragmatic marker you know. To pursue this goal, first, we investigate how discourse marker you know is affected by social variables such as age, gender, social class, and ethnicity etc. Second, we examine the pragmatic functions of you know,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core function of enhancing common ground, and also identify four types of contexts where you know is employed as common ground marker. Third, we discuss the sub-functions of you know in discourse: confirmation seeking, hedging, emphasizing, and word searching. Finally, we explore the meaning development of you know from propositional use to subjective and intersubjective uses.

      • KCI등재

        문학텍스트를 통한 영어교육: 자전적 글쓰기의 서사구성과 증거성(evidentiality)

        안미경 ( Mi Kyung Ah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5 외국어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전적 글쓰기의 서사구성에 있어서 증거성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제임스 조이스의 자전 소설 <젊은 예술가의 초상>의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증거성이라는 언어장치가 작가의 경험의 재구성이라고 할 수 있는 자전적 글쓰기에서 내러티브를 구성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증거성의 역할을 내러티브 구성에 있어 화제 제시 및 전환, 화자의 심리상태, 특히 발화와의 심리적 거리감의 표출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했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증거성의 역할을 밝히기에 앞서 범언어적인 증거성의 정의와 유형 및 영어의 증거성 표현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문학텍스트 분석을 통한 영어학 및 영어 교육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roles of evidentiality in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s: i)introducing or changing a topic in the narratives; ii) expressing narrator`s mind, especially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utterances. To pursue this goal, this study first explores the definition and types of evidentiality including English evidential expressions. Next,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s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narratives of a portrait of a young man as an artist written by James Joyce. The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have crosslinguistic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better which types of sour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experiences or opinions of a particular culture or text.

      • KCI등재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의료기기 사용성 연구 동향 분석

        안미경(주저자) ( Ahn Mi Kyung ),안미경(교신저자) ( Ahn Mi Kyung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9 No.2

        최근 의료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의료기기 및 서비스에 대한 사용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기기 사용성에 대한 연구 동향를 분석하고 잠재된 의미를 발견하고자 텍스트 분석을 이용하였다. 문헌에 대한 효과적 분석을 위해 의료 분야 상위 저널과 검색엔진(Pubmed)을 통해 문헌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문헌에 대해서는 탐색적 분석 및 전문가 협의를 기반으로 연구목적에 적합한 데이터를 선정하고 텍스트 마이닝을 위한 전처리과정을 수행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텍스트 마이닝 알고리즘인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분석을 통해 문헌에 잠재된 의미를 기반으로 토픽을 선정하고 토픽별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토픽은 pyLDA를 통해 시각화하여 수치 데이터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가장 큰 발견은 적어도 의료기기의 사용성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패러다임 변화와 평가에 집중되어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향후 사용성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recent paradigm shift in the medical industry, usage of medical devices and services has become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latent meaning by performing research trend analysis on the usability of medical devices through text mining data analysis. For its credibility and effective analysis,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top medical journals and the search engine (Pubmed). In the collected documents, data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re selected based on exploratory analysis and expert consultation, and pre-processing for text mining was performed. As an analysis method, a topic was selected based on the keyword for each topic and through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analysis, a text mining algorithm. The extracted topics were visualized through pyLDA which turned out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that could not be found through numerical data. The biggest point was to grasp that the focus on too much industry paradigm change and evaluation, at least on the usability of medical devices. It will provide researchers with ins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