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DEA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대응 국내 전력산업의 연도별 환경효율성 분석

        심홍석(Shim Hong Souk),어성윤(Eo Sung Yun)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2009 에너지기후변화학회지 Vol.4 No.1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efficiency is examined for power industry using power sector information from year 1986 to 2007. First, we define environmental efficiency and then apply DEA(Data Envelope Analysis) model of CCR (Charnes, Cooper, and Rhodes, 1978) and BCC(Banker, Charnes, and Cooper, 1984). Our finding suggests that the performance of power industry is the most efficient in the year 2007 in both models of CCR and BCC. Taking this specific year’s performance to be a point in frontier, required reduction to accomplish that efficiency of CO2 emission and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osses are also calculated. Results of analysis shows that it requires further examination of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efficiency of power sector since the measurement results differ depending upon the assumptions on the returns to scale, although current trend shows a continuous improvement in both scale efficiency and technical efficiency.

      • KCI등재

        한국의 제로에너지건축 정책 추진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기술 성능 연구

        심홍석(Hong-Souk Shim),이성주(Sungjo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5

        한국은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정책으로 2020년부터 공공부문 신축 건축물을 대상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의무화를 시행하였다. 이 논문은 궁극적인 Net Zero 에너지건축물 달성하는 데 있어서 정부의 정책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성능의 변화 추세를 파악하고, 최근 건축물에 적용된 에너지기술 성능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장기적인 Net Zero를 달성하고자 하는 정책 환경의 변화에서 건축 관련 이해 관계자들이 건축물 유형별로 적절한 에너지기술들을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최근 4년간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예비인증 데이터를 수집하여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이 상승하는 추세를 확인하였다. 또한, 최근 건축물에 적용된 에너지기술들의 에너지성능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K-means 군집분석 활용해 교육연구 시설과 업무시설의 High, Low 에너지성능 군집을 통해 비교군(2016년~2020년, 2020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연구 시설의 High, Low 군집 모두 태양광 모듈 면적의 증가율이 261.1%, 283.5% 급증하였으며, 업무시설은 High, Low 군집 모두 태양광 모듈 면적이 감소하는 반면에 대부분의 패시브, 액티브 기술의 에너지성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s a key policy for achieving the goal of reducing GHG in the building sector, Korea has enforced the mandatory certification of zero-energy buildings for new buildings in the public sector from 2020. This study evaluated a policy to achieve Net Zero by identifying the trend of changes in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policy and presenting a methodology to analyze the current performance state of energy technology applied to buildings. The final goal was to help stakeholders apply appropriate energy technologies for new buildings. For this study, data collected on building energy efficiency certification over the last four years have shown a gradual increase in energy performance. In addition, K-means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status of energy technologies applied to buildings. The high and low clusters of education and office facilities were used to analyze the comparative group (2016-2020, 2020). As a result, the solar module area in both high and low clusters of education facilities increased by 261.1% and 283.5%. In contrast, the solar module area decreased by both high and low clusters of office facilities. The most passive and active technologies showed an increase in energy performance.

      • KCI등재

        국내 대형마트의 에너지효율지표 분석과 최적 에너지관리 요소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심홍석(Shim, Hong-Souk),서윤규(Seo, Youn-Kyu),정현채(Jung, Hyun-Chae)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20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14 No.1

        This paper purposes on the development of energy management framework, focusing on the superstores in South Korea. Those superstores are usually huge retail outlets, operating for a long time, and thus requires a large amount of energy consumption. Nevertheless,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identify the energy management issues in the superstores and to propose the way to improve their energy management systems. To meet this needs, we firstly analyzed the over trends of energy use in South Korean superstores using various energy efficiency indices. Then, on two stores chosen as our case targets, in-depth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erms of their current energy use and capabilities to reduce the energy use. The research findings are expected to support energy manager’s strategic decision-makings at the firm level and further to contribute to the CO₂ reduction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제로에너지건축물의 공사비 증가분 산출에 관한 연구

        심홍석(Hong-Souk Shim),이성주(Sungjo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

        한국은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정책으로 2020년부터 공공부문 신축 건축물을 대상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의무화를 시행하였다. 이 논문은 제로에너지건축물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정책 환경에서 건축관계자들이 제로에너지건축 구현에 의사결정을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에너지절감 기술과 경제성 요인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최근 3년간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자료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공사비 세부 내역서 자료를 수집하여 건축물 에너지 항목에 대한 공사비를 분석하였다. 또한,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자료를 바탕으로 베이스라인 건축물의 각 에너지항목별 에너지성능을 도출하였으며, 베이스라인 건축물의 에너지항목에 대해 단계적으로 에너지성능 값을 상승을 시키는 반복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에너지항목별 에너지성능 값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베이스라인 건축물과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에너지성능 값에 조사된 에너지항목별 공사비를 적용하여, 베이스라인 건축물과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에너지항목별 공사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제로에너지건축물을 구현하는 데 조명설비가 10.5%로 에너지절감에 가장 큰 기여를 하며, 냉 · 난방 시스템의 공사비 증가분이 9.1%로 가장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s a core policy for achieving the goal of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building sector, Korea has enforced the mandatory certification of zero energy buildings for new public buildings from 2020. This study suggests energy-saving technologies and economic factors that building officials can refer to for decision-making on the implementation of zero energy buildings. For this study, the construction cost for the energy item of a building was analyzed by collecting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level certification data and detailed construction cost statement data from public institutions for the last three years. Based on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certification data, each energy item of the baseline building was derived, and the energy performance of the zero energy building was derived through repetitive simulations by gradually increasing the energy performance value of the baseline building. By applying the analyzed construction cost,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energy item of the baseline and zero energy buildings was derived. As a result, the lighting equipment contributed up to 10.5% energy savings, and the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of the cooling and heating system was at least 9.1%.

      • KCI등재

        Investigating the Use of Energy Performance Indicators in Korean Industry Sector

        Hong-Souk Shim(심홍석),Sung-Joo Lee(이성주)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3

        에너지경영시스템은 생산 중심으로 발전하는 한국의 경제구조에서 에너지경영의 역할을 강조하여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있다. 에너지 성과에 대한 측정 방법론을 이해하는 것은 기업이 성공적인 에너지경영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핵심 요소이지만, 적용 방법론, 적용 가능성 및 실제 활용도를 조사하려는 시도는 국내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에너지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표준인 ISO 50006에서 제안한 4가지 에너지 성과 지표(EnPI)인 ①측정 된 에너지 값, ②측정 된 값 간의 비율, ③ 선형 회귀 모델, ④ 비선형 회귀 모델에 초점을 맞추어 에너지성과 측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효과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정책과 적정 관리 지표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1명의 전문가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EnPI에 대한 선호도와 산업 분류별, 조직규모, 전문가 유형별로 EnPI의 주요 선책 기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장 선호되는 EnPI는 측정 된 값과 측정 된 에너지값 사이의 비율이며 EnPI를 선택하는 기준은 사용 편의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분석되었다. Energy management systems (EnMS) contribute to sustainable energy saving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by emphasizing the role of energy management in production-oriented economies. Although understanding the methods used to measure energy performance is a key factor in constructing successful EnMS,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amine these methods, their applicability, and their utility in practice. To fill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aim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energy performance measures by focusing on four energy performance indicators (EnPIs) proposed by ISO 50006, namely the measured energy value, ratio between measured values, linear regression model, and nonlinear regression model. This paper presents policy and managerial implications to facilitate the effective use of these measures.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was conducted with 41 experts to analyze the preference for EnPIs and their key selection criteria by the industry sector, and organization and user typ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st preferred EnPI is the ratio between the measured values followed by the measured energy value. The ease of use was considered to be most important while choosing EnPIs.

      • KCI등재

        FM 방송 기반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 원형 배열 안테나 보정을 위한 Array Manifold 측정 및 검증

        박준식,심홍석,안준일,송규하,Park, Junsik,Shim, Hongsuk,Ahn, Junil,Song, Kyuha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1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describes a method of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of array manifold of uniform circular array antenna applicable to multistatic Passive Coherent Location(PCL) system using FM broadcasting. In an environment of outdoor test where FM broadcast signals are scattered, array manifold measurement methods using network analyzer and multi-channel digital receiver are introduced. Also, the descriptions and solutions for the test limits of each measurement method and the considerations affecting the measurement accuracy are presented. In addition,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d array manifold, the gain and phase difference were compared with the array manifold data obtained by EM simulation, and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the measured array manifol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estimating the direction of arrival of the FM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multistatic PC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