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심태은(TaeEun Shim),예철해(Cheolhae 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MZ세대라고 불리는 대학생들이 스트레스 대처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이때 Q방법론은 태도, 신념, 가치 등 인간의 주관적 측면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심층적인 의견을 연구할 수 있어 이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결과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5개로 유형화하였다. 제 1유형은 스트레스 발생 시 원인이 무엇인지를 찾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신중하게 분석하는 ‘신중형’이다. 제 2유형은 사람들을 피해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며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외톨이형’이다. 제3유형은 주변 사람들과 함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는 ‘의존형’이다. 제 4유형은 새로운 상황을 만들어 다른 것에 몰두하면서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 ‘몰입형’이다. 제 5유형은 문제 파악이 우선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추진형’이다. 결론 첫째, ‘신중형’에 해당되는 MZ세대 대학생들에게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서 학교 내부와 외부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연결해 줄 필요가 있다. 둘째, ‘외톨이형’에게는 먼저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등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의존형’에게는 특정한 프로그램을 소개하기 보다는 주변 사람들과 원활하게 커뮤니케이션하면서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몰입형’ 대학생들은 취미 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에 몰입하는 유형이므로 다양한 취미 활동과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다섯째, ‘추진형’ 대학생들에게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서 가능한 모든 정보, 활동, 그리고 프로그램을 제공해서 본인이 스스로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how university students of the MZ generation cope with stres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Methods Q methodology was used to confirm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MZ generation college students' stress response methods. At this time, the Q methodology aims to objectively measure human subjective aspects such as attitudes, beliefs, and values, and this methodology was used because in-depth opinions could be studied. Results Stress coping method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he first type is a ‘considerate type’ that finds the cause of stress and carefully analyzes it to relieve stress. The second type is a ‘lone type’ who takes time alone to avoid people and tries to solve it. The third type is a ‘dependent type’ that tries to relieve stress with the people around him. The fourth type is an ‘immersive type’ that creates a new situation and copes with stress situations while immersed in other things. The fifth type is a ‘propulsion type’ that focuses on solving problems, not identifying problems.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nect various program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to relieve stress for MZ generation college students who fall under the ‘considerate type’. Second, the ‘lone type’ first needs a program that helps them develop self-esteem, self-resilience, and self-efficacy. Third, rather than introducing a specific program, the ‘dependent type’ needs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communicate and interact smoothly with people around them. Fourth, since ‘immersive’ college students are the type to immerse themselves in hobbies or sports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ditions for various hobbies and sports activities. Fifth, ‘promoting’ colleg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all possible information, activities, and programs to relieve stress to create conditions for them to promote themselves.

      • KCI등재

        생성형 AI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활용방안 연구

        이영숙(Young-Suk Lee),심태은(TaeEun Shim) 한국종교교육학회 2024 宗敎敎育學硏究 Vol.76 No.-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AI에 대한 학생모니터링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생성형 AI 유형에 따른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귀납적 내용분석 (inductive content analysis)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인식을 모니터링 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생성형 AI 모델이 미래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강점 측면에서는 교육 확대를 위해 AI에 대한 접근성 강화와 경험 중심의 학습을 제안했다. 또한 맞춤형 학습 지원을 위해 대상별 교육 및 AI를 활용한 난이도 조절을 제안했다. 기회 측면에서는 언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국어 지원 강화를 강조했으며, 교육을 통한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안정을 제공할 수 있는 카운슬링 역할을 AI가 도와줄 수 있도록 접근성을 확대하도록 제시했다. 그러나 약점 측면에서는 정보의 정확성 부족과 AI 인프라 개발의 시급하고, 인력 양성의 시간과 비용 문제, 기준의 불일치로 인한 윤리적 문제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ssible approaches for utilizing AI in education based on students' monitoring perception of generative AI. [Cont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use cases according to the types of generative AI and monitored students' perceptions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Based on this, we proposed possibilities and strategies for the utilization of generative AI models in future education. [Conclusion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rom a strengths perspective, it proposes enhancing accessibility to AI and promoting experiential learning for educational expansion. Additionally, it suggests tailored education and difficulty adjustment utilizing AI support. On the opportunity side, the study emphasizes strengthening multilingual support to address language issues. It also advocates expanding accessibility for AI to play a counseling role in providing physical, ment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education. However, from a weaknesses standpoint, the study highlights considerations for challenges such as lack of accuracy in information, urgent need for AI infrastructure development, issues related to the time and cost of workforce training, and ethical concerns arising from inconsistent standards.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과 이중문화수용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변화 연구

        김우진(Kim, Woojin),정지아(Jung, Jeaah),심태은(Shim, Taeeun),이송이(Lee, Songy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된 다문화 청소년 패널(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 이중문화 수용성 및 자아 탄력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언어능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고, 이중문화 수용성은 일관된 변화 없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언어능력의 경우, 년도별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초기값이 높았던 청소년은 언어능력이 서서히 증가하는 반면, 언어능력의 초기값이 낮았던 청소년은 언어능력이 상대적으로 빨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문화 수용성의 경우 일관된 변화 없이 증가와 감소를 보여준 것을 통하여 연령과 발달의 차이보다는 환경의 차이가 이중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 언어 능력과 이중 문화 수용성이 청소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에서는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 모두가 자아 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아탄력성 및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의 변화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개발에 이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lf-assessed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resilience. More specifically, we examined precisely how language proficiency, bicultural acceptance, and resilience changed over time, and further how language and bicultural acceptance hav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resilience.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MAPS(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2012 to 2015 were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indicate that language proficiency increased with time while bicultural acceptance levels did not show consistent variation and increased and decreased over time. Language proficiency showed time-wise significant increase. The adolescents whose initial value of proficiency were high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while low proficiency increased relatively more steeply. In the case of bicultural acceptance, the result showed inconsistent changes over time, which implies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have effect on the acceptance rather than age or individual developmental differences. Therefore, the two variables’ effect on resilience was significant. It is the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fundamental research material for developing curricular and policy that may help in resilience building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