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문학과 감각의 공동체의 구성

        심보선 한국영상학회 2013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1 No.3

        기존의 전자문학 논의는 기술적, 미적 혁신성이라는 관점에서 이루어져왔다. 이때 전자문학은 하이퍼텍스트의 경우처럼 인터넷 아트의 하위범주로서 인터넷 아트의 부상과 퇴조와 운명을 함께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또한 전자문학이 되살아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예술적 실험과 신기술을 융합시켜야 한다는 관점이우세했다. 그러나 전자문학의 역사는 공동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쓰일 수 있다. 이때 공동체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바그너의 총체예술, 르 코르뷔지에의 ‘전자시’가 의도한 집합적이고 질서정연한 공동체를뜻하지 않는다. 본 논문은 랑시에르가 이야기한 감각의 공동체 개념, 즉 민주주의적이고 평등주의적인 공동체 개념을 도입한다. 전자문학은 ‘빼기’와 ‘더하기’의 절차를 통해 기존의 공동체를 탈구성하고 새로운 이견적 공동체를 구성한다. 본 논문은 제이 알 카펜터의 In Absentia와 심보선·김소연의 You.Mix.Poem의 전자문학 작품 분석을 통해, 재개발의 현실에 기입되는 새로운 장소적 감각, 권위적 문학계에 기입되는 자유로운 놀이를 드러내고, 이러한 공동체적 (탈)구성의 힘이 전자문학에 내재함을 밝힌다.

      • KCI등재

        예술상(賞)과 예술장(場): 기업 미술상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심보선 미술사학연구회 2012 美術史學報 Vol.- No.38

        Art prizes have appeared and operated in the art world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that have strengthened the logic of symbolic economy of the artistic field. According to James English, First, it has a social function. It gathers artists, critics, patrons, journalists, and audiences and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invest their interests and love for art by making them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Second, it has a institutional function. It allows the prize participants to be equipped with authority and legitimacy in recognizing innovation and creativity in the artistic field. Third, it has an ideological function. It affirms a collective belief that sees the artistic field as disinterested and even superior area where art experts produce unique and valuable products, that is, art works. However the proliferation of art prizes in the contemporary art world can be explained not just by these functions but by “mimetic isomorphism” by which the participants in the artistic field facing uncertainty automatically imitates the successive model seen to confer authority and legitimacy to the players. The current proliferation of corporate art prizes is the result of this process of mimetic isomorphism where once the success of a few corporate art prizes is recognized then the newcomers adopt the model immediately to take advantageous position in the artistic field. Now for corporations aiming at securing visibility and authority when entering the artistic field, the establishment of their prizes can be adopted as an effective strategy.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istic field as a whole, the proliferation of corporate art prizes can be harmful to the original functions of art prizes because too many prizes can reduce the scarcity of prizes and the value of the recipient art works and artists. Also the proliferation of corporate art prizes reflect the reduction of autonomy in the artistic field where the economic logic and the symbolic logic converge and the artists no longer play a central role to reproduce the belief of art as disinterested activities. 본 논문은 예술상의 기능과 증가 이유를 기업 미술상의 예를 들어 살펴보고 있다. 예술상은 제임스 잉글리쉬에 따르면 사회적, 제도적,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수행한다. 사회적으로는 예술가, 비평가, 후원자, 저널리스트, 관객들을 한 자리에 모으고 그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이해관계와 예술에 대한 사랑을 투자하고 이를 통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제도적으로는 예술상 참여자들로 하여금 예술장 내부에서 권위와 정당성을 갖게 한다. 이데올로기적으로는 예술을 관조적이고 초월적인 활동으로 보는 예술장 내부의 반경제적 신념을 강화한다. 그러나 현대 예술상의 증가는 단순히 이러한 예술상의 기능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다. 본 논문은 “모방적 동형화”라는 기제를 통해 예술상의 증가를 설명하고 있다. 모방적 동형화란 불확실성에 직면한 사회적 행위자들이 권위와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성공적 모델을 모방적으로 채택하며 그 모델이 확산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특히 최근 들어 기업 미술상의 확산은 미술장의 신참자인 기업들이 미술장 내부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 몇몇 성공적 기업 미술상을 모델로 삼아 모방적으로 미술상을 제정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나아가 기업 미술상의 과다한 증가는 예술상의 희소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예술상을 받는 예술작품과 예술가의 가치를 저하시키고 이에 따라 본래 예술상의 기능에 해를 끼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예술상과 그 영향력의 증가는 경제적 논리와 상징적 논리가 상호 수렴하고 예술 숭배 신화가 약화되어가는 예술장의 자율성 위축을 반영하는 동시에 매개한다. 현대의 예술장에서 예술가 숭배 신화는 믿음이나 이데올로기라기보다는 일종의 스타일과 스토리로 차용되고 있다. 또한 예술가를 중심으로 한 전문가-예술가 연대는 기관 중심의 전략적이고 유연한 네트워크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예술장의 영구혁명(끊임없는 가치 전복을 추구하는)은 단기 게임(승자와 패자를 단번에 결정짓는)으로 대체되어 간다. 현대의 예술상은 바로 이러한 변화의 가운데에서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며 확산되어가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삶의 시 되기'와 '시의 삶 되기' - 영화 <시>와 <하하하>를 통해 본 미학의 정치

        심보선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사이 Vol.9 No.-

        This paper analyzes the poetry in the movies, Poetry and Ha Ha Ha by drawing on the theory of aesthetics, as proposed by Jacque Rancière. This paper terms the poetry in these two movies “the poetry of post-autonomy”, which cannot be identified by the social topology submitted by the sociologist Pierre Bourdieu.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unction and value of contemporary poetry and its accompanying subjectification and social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s of aesthetics -that is, thoughts or practices, according to Rancière-which or reformulate the common by questioning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The poetry in Poetry reveals itself to be a tool that aestheticizes the life of an old woman who would be unable to write poems given her position outside the autonomous literary field. The politics of aesthetics performed by the poetry in this movie can be called “life becoming poetry”. However, the politics of aesthetics of the poetry in Poetry abandons the promise of liberation when the movie ends with the testimony of the force of the other who is, in this case, a dead girl, an unrepresentable non-being or an empty agent who, lacking her own voice, reads the protagonist’s poem. The poetry in Ha Ha Ha is non-authentic, written by the members of the literary field. The politics of aesthetics performed by the poetry in this movie can be called “poetry becoming life.” Its function and value lies in its capability to construct the common symbols of life. However, the politics of aesthetics performed by the poetry in this movie cease when the formation of community turns out to be the formation of private friendships and affairs that finds only “good things” from one another approving their beings as they are. This paper ends with an analysis of the limits of the politics of aesthetics performed by the poetry in the two movies in relation with “the ethical turn” mentioned by Rancière as the core characteristic of the depoliticizing world. The poetry in the two movies, in the end, reduces the political imagination of the rights and future to the ethical norm that insists we stay within the given reality and condition of being and, thus, stops the process of the politics of aesthetics. In conclusion, this paper reveals both the possibility and the limit of the poetry in the two movies to argue that the politics of aesthetics is a permanent pendulum swinging between the form of life and the form of beauty without being subsumed into a single complete form and perpetual, impossible struggles to replace the actuality of the “now and here” with the possibility of the “not now or here”. 본 논문은 <시>와 <하하하>에서 다루어지는 시를 랑시에르의 미학 논의를 빌려와 분석하였다. 두 영화가 드러내는 시를 자율성 이후의 시, 부르디외식의 사회적 위상학이 식별할 수 없는 시로 명명하고 그것의 존재 양상을 살펴본다. 또한 이때 두 영화에서 드러나는 시의 기능과 가치, 가능성과 한계를 그것이 수반하는 주체화와 사회관계와 연관하여 미학의 정치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랑시에르에 따르면 미학의 정치란 감각적인 것의 분배를 문제 삼음으로써 공통의 것을 재분배하고 재형성하는 사유이자 실천이다. 먼저 <시>의 시는 자율적 문학 장에 속하지 않은 시를 쓸 수 없는 자가 삶을 감성화하는, 즉 ‘삶의 시 되기’를 기획하는 미학적 정치의 수단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영화에서 이와 같은 미학적 정치는 감각의 충격이 주는 극단적 이질성으로까지 삶의 시 되기를 밀어붙이면서 해방의 약속을 포기하고―영화에서는 미자의 사라짐―타자성의 힘―영화에서는 소녀의 죽음―을 증언하는데 그치고 만다. <하하하>의 시는 자율적 문학 장의 구성원들이 쓰는 진정성 없는 시를 드러낸다. 이때의 시가 수행하는 미학의 정치는 공통의 삶의 상징들을 제공하는 관계 구성적 기능과 가치의 측면에서 ‘시의 삶 되기’로 명명될 수 있다. 그러나 영화에서 이와 같은 미학의 정치는 감각의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이르지 못하며 다만 서로에게서 ‘좋은 것’만 발견하고 이를 인정해주는 사적 친교 및 연애 관계의 구성에 그치고 만다. 본 논문은 <시>와 <하하하>에서의 시가 수행하는 미학의 정치의 한계를 랑시에르가 언급한 바 있는, 탈정치화하는 세계의 특성으로서의 “윤리적 전환”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두 영화에서 시는 궁극적으로 당위와 권리를 형상화하는 정치적 상상력을 주어진 사실과 존재에 체류하는 윤리적 규범성으로 환원시키고, 결과적으로 감각의 재분배 활동을 중도에 그만둠으로써, 미학의 정치를 완수하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시>와 <하하하>에서 드러나는 시의 가능성과 한계를 밝히면서 미학의 정치가 하나의 완결된 형태로 종결하지 않고 삶의 형태와 미의 형태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영구적 진자운동임을, “지금 여기”의 현실성을 “지금 여기가 아닌 곳”의 가능성으로 대체하려는 끝없는, 그리고 불가능한 투쟁임을 주장한다.

      • KCI등재

        국가폭력과 말

        심보선 영미문학연구회 2015 안과 밖 Vol.0 No.39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ymbolic power of the state and the symbolic struggles against it regarding the Sewol ferry tragedy. Many words are spoken and written on the tragedy and the truth behind it. Whereas the words written by intellectuals and writers are accepted as legitimate, those of the families of victims are heard as “sound and fury” within the languge market as suggested by Pierre Bourdieu’s theory of symbolic violence. However, this paper opposes Bourdieu’s argument that reduces the political struggles between orthodoxy and heterodoxy to the struggles among language commodities upon which different values and authorities are imposed. Words as voices open to the possibility of signification can transpass the boundaries of social orders and hierarchies according to Jacques Rancière. If not sophiscated and coherent as discourses, the words of victim families, cried out of sound and fury, resist the symbolic power of the state demanding the truth about the death of their families, which is inevitably interlocked with the public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of the tragedy. In this sense, the victim families’ words demanding the truth can be regarded as a criticque within the politics of truth, which, according to Michel Foucault, is a will not to be governed by the state hiding its fundamental illegitim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