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eckman 2단계 모형을 활용한 주말과 주중 OTT 시청시간결정요인 비교 분석

        심동녘 한국혁신학회 2023 한국혁신학회지 Vol.18 No.3

        In the earlier studies OTT usage behavior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adoption and continuation intentions. As of 2023, OTT has become a universal media service, and the increase in OTT usage time is a noteworthy behavioral change in leisure time allocation.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OTT watching time during the week and OTT usage time on weekends by utilizing the Korean Media Panel data. In the empirical analysis, Heckman two-stage model was applied to correct for selection bias caused by OTT use and non-u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OTT usage type (AVOD, TVOD, SVOD), OTT expenditure, OTT genre and service preference(Youtube/Netflix), and media environment, which were considered as explanatory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OTT usage time in both week and weekend. In particular, we found that the above factors have a differential impact on OTT watching time during the week and OTT watching time during the weekend. In other wor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age behavior of people who mainly use OTT on weekdays and those who mainly use OTT on weekends are very heterogeneou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OTT usage behavior by empirically confirming that the factors affecting OTT usage time are differentially affected by weekday and weekend usage time. OTT 확산으로 인한 미디어 이용의 ‘이동화’와 ‘개인화’의 가속화는 개인이 여가활동에서 시간이라는 한정된 자원을 활용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 특히 OTT 시청시간의 증가는 개인의 통근시간 활용, 주말 자유시간 활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1 한국미디어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주중 OTT 시청시간과 주말 OTT 시청시간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식별하고 그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OTT 이용과 미이용에 따른 표본선택편의를 보정 하고자 헤크만 2단계 모형(Heckman 2-stage model)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설명변수로 고려한 OTT 이용형태(AVOD, TVOD, SVOD), OTT 지출액, OTT 선호장르(드라마/예능/영화) 및 OTT 선호서비스(Youtube/Netflix), 미디어환경(모바일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가입 여부, 태블릿PC 보유 여부) 등이 OTT 시청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상기요인들이 주중 OTT 시청시간과 주말 OTT 시청시간에 미치는 영향력이 차별적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람들의 평일 OTT 이용행태와 주말 OTT 이용행태가 매우 이질적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본 연구는 OTT 시청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들이 주중과 주말 이용시간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OTT 소비자의 이용행태 및 국민의 여가시간 활용방식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데 기여한다.

      • KCI등재

        AI 채용 시스템의 공정성, 신뢰성, 혁신특성이 이용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심동녘,인혁준 한국상품학회 2023 商品學硏究 Vol.41 No.5

        This study aims to analyse how the characteristics of AI recruitment systems affect the attitudes of jobseekers in the corporate recruitment process. To this end, we identifi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I recruitment systems based on relevant previous studies and their theories, after reviewing the concepts and types of AI recruitment systems and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n the diffusion of innovation, faireness and trustworthiness. Based on this, we designed a research model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A structured survey was designed and survey data was collected with i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higher fairness and trustworthiness influenced positive attitudes, and higher compatibility and lower complexity influenced positive attit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ness and positive attitudes was moderated by perceived belief in the diffusion of the AI recruitment system.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 order to increase positive attitudes towards AI recruitment systems in a rapidly changing recruitment context,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systems are fair and trustworthy, and that they are compatible and easy to operate.

      • KCI등재

        인공지능(AI) 기술도입에 따른 산업별 노동수요변화 탐색

        심동녘,고동환 한국혁신학회 2022 한국혁신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인공지능(AI)서비스 확산에 따른 일자리 감소 우려와 일자리 증가 기대가 공존하는 상황에서 국내 에서 AI 융합이 가장 활발한 대표적 수요분야(금융업, 의료업, 제조업)를 중심으로 AI 기술도입에 따른 산업별 AI 도입현황 및 노동수요변화를 탐색하고자 각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FGI: Focus Group Interview)을 수행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조사 결과, 조사대상 수요산업은 기술⋅제도⋅규제 특성이 매우 이질적이어서 AI가 노동수요 변화에 미치는 파급경로가 차별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기간 내 AI 기술에 의한 급격한 고용대체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점, 그리고 산업 내 고용환경⋅근로환경의 변화가 오히려 AI 기술의 발전 및 확산을 촉진하고 있다는 점 등 일부 산업 간 공통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동안 자동화로 인한 자본의 일자리 대체 연구는 계량경제⋅거시경제 모형을 활용하여 활발히 진행되었지만 AI에 초점을 두고 기술 도입산업의 고용영향에 대해 논의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개별산업에 대한 표적집단면접을 토대로 AI 도입현황과 이로 인한 노동수요변화 방향을 정성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qualitative changes in labour demand of financial, medical, and manufacturing sectors where AI convergence is most active in Korea,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experts in each field to draw industry-specific implications. The FGI results show that the target industries' technological regimes, system, and regulation features are quite varied in terms of AI introduction, and that the ripple paths effecting changes in labour demand are discriminating as a result. Nevertheless, we found some commonalities across industries, such as the little chance on rapid job replacement by AI technologies and the co-evolution between institutional changes and AI innovation.

      • KCI등재

        Strategic management of R&D and marketing integration for multi-dimensional success of new product developments: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 the Korean ICT industry

        심동녘,김진교,Jo¨rn Altmann 기술경영경제학회 2016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impact of the R&D and marketing integration on newproduct development (NPD) success without any parametric assumptions on modelspecification. In the high-tech innovation management context, it has generally beenaccepted that tight integration between R&D and marketing successfully influences thedevelopment of an innovative product by stimulating a mutual understanding betweenpeople from different departments. However, a few researchers also pointed out that a tooclose relationship between R&D personnel and marketing personnel can cause importantinformation to be overlooked, thus reducing NPD success. Our research results, which arebased on empirical data and the application of the nonparametric regression method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show an even more diverse effect of integratingR&D and marketing if different performance criteria are considered. Results demonstratethat the effect of integration between R&D and marketing is nonconstant and nonlinear, afinding that could not be captured with parametric assumptions. Therefore, our researchprovides an explanation for the opposing observations reported in earlier work.

      • KCI등재

        미디어이용자의 OTT 이용행태 결정요인 분석: 유료방송 시청요인과 이용자 혁신성향을 중심으로

        심동녘(Dongnyok Shim) 한국혁신학회 2021 한국혁신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2019 한국미디어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OTT(Over The Top)서비스 이용행태를 살펴보고, 이산선택모형을 적용하여 다양한 OTT 이용행태에 대한 영향요인을 식별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고려한 OTT 이용행태는 OTT 이용경험, OTT 이용빈도, OTT 빈지워칭, OTT 유료서비스 이용여부 이며 OTT 이용행태의 결정요인으로는 인구사회요인, 혁신성향요인, TV시청요인, 이용경로 요인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다차원의 혁신성향 중 쾌락적 혁신성향이 높을수록 일관되게 OTT이용경험, 이용빈도, 빈지워칭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혁신성향이 높을수록 유료서비스 이용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V시청요인 중 실시간 TV시청 시간은 다양한 이용행태에서 일관되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TV장르 중 영화와 드라마 장르를 가장 선호할수록 OTT 유료서비스 이용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빈지워칭, 유료이용 등 다양한 OTT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고 이를 통해 OTT의 소구점을 파악함으로써 OTT를 제공하는 사업자 또는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OTT service watching behavior in Korea using Korean media panel survey, which is one of the most credible national statistics in Korean media industry. For last few years, the number of users who experience OTT in Korea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every year. In addition, the number of paid subscribers for SVOD such as ‘Netflix’, ‘WATCHA’ and ‘Wavve’ cannot be neglected anymore in terms of market share of media industry. These dramatic changes of media market mean that such a service attracts traditional real time TV watchers to OTT services and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 what makes them enjoy OTT service and pay for it. OTT service usage behaviors considered in this paper are OTT service usage experience, OTT service usage frequency, OTT binge-watching, and OTT paid service usage. The factors considered in this study is socio-demographic factors, consumer innovativeness factors, real-time TV watching behavior factors and OTT channel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ers who have high hedonic innovativeness are more likely to watch OTT frequently and to enjoy binge-watching while users who have high cognitive innovativeness are more likely to pay for OTT service. And real time TV watching time were found to have consistently negative effect on OTT watching behavior.

      • KCI등재

        소셜커머스에서 소비자 충동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심동녘(Shim, Dong-Nyok),김응도(Kim, Eung-Do),황준석(Hwang, Jun-Seok) 글로벌경영학회 2015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2 No.1

        최근 온라인 상거래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결합 한 소셜커머스라는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마켓이 주목을 끌고 있다. 소셜커머스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활용하여 온라인 상거래를 활발히 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다. 이러한 온라인 상거래의 변화는 소셜커머스에서 소비자 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전통적인 온라인 마켓과는 달라질 것임을 암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커머스에서 소비자 충동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판별하고 이를 실증적 으로 밝히기 위한 것이다. 소셜커머스에서 충동구매 행동에 관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소비자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내적 요인, 외적 요인, 기타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내적 요인은 소비자의 “의도-행동 모형”인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에 기초하여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은 마케팅 자극 요인을 바탕으로 하였으 며, 이는 다시 제품자극요인과 가격자극요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기타요인으로 소비자가 소셜커머스에서 제품 및 서비스를 구매를 할 때, 소셜커머스에 대한 신뢰 정도와 소비자들간 의견 공유를 위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도에 따라 충동구매 행태가 어떻게 다른지에 관하여 살펴보 았다. 본 연구는 최근 주목 받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인 소셜커머스에서 이루어지는 소비자들의 충동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체계적인 분석일 뿐 만 아니라, 사회적 규범과 관련하여 소비자들이 소셜 커머스에서 충동구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Social commerce market is to use social network service when making a deal in e-commerce. Especially, the essence of social commerce is that customers can enjoy many different goods and services that they really wanted to use but were too expensive without paying much. However, a critical examination of consumer behaviour in newly type of e-commerce so called social commerce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ructural framework for examining the consumer’s impulse buying motivation in commercial activity on social commerce. First, we explore internal factor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hat consist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ed control. Second, we examine external factors including marketing mix such as product and price that has encouraged consumers to buy impulsively. Third, we discuss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in use of SNS, trust of social commerce and consumer’s impulse buying motive in social commerce. Thus, this analysis leads to a new classification of factors that influence to consumer’s impulse buying behaviour evaluation the impact they affect.

      • KCI등재

        연구개발특구가 입주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동녘(Dongnyok Shim),오승환(Seunghwan Oh) 한국혁신학회 2018 한국혁신학회지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연구개발특구육성 종합계획의 수요자이자 수혜자라 할 수 있는 개별 입주기업의 성과 향상정도를 비입주기업과 비교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정책변수와 기업의 성과변수 사이에 존재하는 선택편의와 내생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과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을 적용하였다. 우선, 성향점수매칭법을 적용하여 비교집단에서 유사한 성향점수를 갖는 대조군을 선별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이중차분법을 적용하여 입주기업의 실제 성과향상정도를 추정하였다. 성과의 관측에 있어서는 연구개발특구 육성정책이 지향하는 정책 목표를 반영하기 위하여 경제적 성과(자산증가율, 매출증가율), 사회적 성과(고용증가율), 혁신 성과(R&D투자 증가율, 종업원 1인당 R&D투자 증가율)의 세 차원에 거쳐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입주기업이 비입주기업 대비 유의한 성과향상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론에서 분석결과와 관련된 보다 심도 있는 정책함의를 다루었다. As a part of the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Korea, Korean government have implemented and executed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zones for innovation capability enhancement from 2006.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olicy, it is important to observe how the resources and capabilitie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special zones in terms of the policy authorities.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 companies has actually improved from the viewpoint of demand-based innovation policy.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enant companies in special zones. For empirical analysis,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 in Difference methodologies were applied to solve the selection bias and endogeneity problem between the policy variables and the performance variables. And we compared the performance in three dimensions, which include economic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and innov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enant companies had significantly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the non - tenant companies.

      • KCI등재

        패션·의류 신제품 개발에서 기능 부서 간 협업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방효민,심동녘 한국상품학회 2024 商品學硏究 Vol.42 No.2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interdepartmental collaboration between R&D, marketing, and production departments in fashion and apparel new product development on multidimensional new product performance consisting of time-to-market, product innov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It also examined whether top management team(TMT) involvement i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departmental collaboration and new product performance. To accomplish the research objective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09 employees of fashion and apparel companies who had participated in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produc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production and marketing have a positive impact on time to market. Only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produc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oduct innovativeness and financial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MT involvement has a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s the effect of collaboration between production and marketing on time-to-market and the effect of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marketing on financial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production on product innovativeness is weakened by TMT involv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marketing integration is not enough for the successful launch of new fashion and apparel products, but that collaboration with production departments is also important. On the other hand, excessive top management team involvement can negatively affect the innovativeness of new product by R&D and production integration, which implies that there may exist the optimal level of top management involvement.

      • KCI등재

        소프트시스템 모델 방법론을 통해 진단한 국내 공개 SW 산업의 문제점과 정책전략 연구

        강송희,심동녘,백필호 한국전자거래학회 2015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0 No.4

        본 논문의 목적은 공개 SW 생태계에 대한 정책적 함의 및 핵심 과제 도출을 위하여 소프트시스템 모델(Soft System Model) 방법론을 도입하여 국내 공개 SW 생태계 시스템을 분석하고이를 토대로 공공부문의 바람직한 공개 SW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한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정보통신기술은 경제를 움직이게 만드는 핵심 동력의 역할을 수행하고있으며, 최근에는 그 중심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이동하고 있다. 이렇듯 지식과 기술을중심으로 한 소프트웨어 중심사회에서는 지식과 기술의 축적을 통한 부가가치의 창출이 체증하는한계 수익 체증 현상이 나타난다. 특히 소프트웨어 중심사회를 구성하는 한 축인, 공개 SW는다양한 사람들이 지식을 공유하며 축적해 나가고 이를 통해 개발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새로운국가 성장의 도구로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공개 SW가 개발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발전해나가는 특징을 가진 만큼, 이를 관리하고 보상하는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 정부의 적극적인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부가 공개 SW 기반의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어떠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해야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소프트 시스템 모델 방법론을 도입하여공개 SW 생태계 시스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In knowledge based society, information technology (IT) has been playing a key role in economic growth. In recent years, it is surprisingly notable that the source of value creation moved from hardware to software in IT industry. Especially, among many kinds of software products, the economic potential of open source was realized by many government agencies. Open source means software codes made by voluntary and open participation of worldwide IT developers, and many policies to promote open source activities were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fast growth in IT industry. But in many cases, especially in Korea, the policies promoting open source industry and its ecosystem were not considered successful.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the practical reasons for the low performance of Korean open source industry and suggests the pragmatic requisites for effective open source poli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s soft system model (SSM) which is frequently used in academy and industry as a methodology for problem-solving and we link the problems with corresponding policy solutions based on SSM. Given concerns which Korean open source faces now, this study suggests needs for the three different kinds of government policies promoting multiple dimensions of industry: research and development (R&D)-side, supply-side, and computing environment-side. The implications suggested by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implement the practical policy solutions to boost open source industry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