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논문 : 시장지식의 창출노력과 기억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 환경 동태성의 조절효과

        심덕섭 ( Duk Sup Shim ),최지호 ( Ji Ho Choi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07 금융지식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기업이 시장지식을 창출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정도와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시장지식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으며, 아울러 이들 관계가 환경의 불확실성 차원 중의 하나인 환경 동태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포함한 국내 124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방문면접방식을 통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기업이 시장지식을 창출하기 위한 노력과 신제품 성과 간에는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관계는 환경의 동태성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반면에 기업이 현재 가지고 있는 시장지식은 신제품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영향력은 환경의 동태성 수준이 클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의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Recent theorizing on product development emphasized the crucial impact of information processing on product success and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in addition to individual, learning. A key result of learning is the creation of organizational memory and the effort of market intelligence generation. We examine th effects of organizational memory level and market intelligence generation on new product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role of environment dynamism. Using a data collected from 134 large Korean firms including both manufacturing industry and service industry through personal interviews, research model is tested. Results show that organizational memory level and market intelligence generation increase new product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environment dynamism is support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memory level and new product performance. Finally,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프로젝트팀 내 리더출현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심덕섭 ( Duk Sup Shim ),양동민 ( Dong Min Ya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0 HRD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최근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팀 내 비공식적 리더출현을 설명하는 데 있어 선행변수로서 성별, 연령, 팀 과업선호도, 성취동기, 자기효능감을 고려하고, 이들 변수들이 리더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C 대학교의 학생 프로젝트 팀에 참여하고 있는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리더 출현에 대해 연령, 성별, 팀 과업선호도, 성취동기,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 평가 시에는 팀 과업선호도, 성취동기, 자기효능감과 같은 인지적 요소들이 리더출현에 있어 중요한 반면, 타인 평가 시에는 연령 및 성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요소들이 리더출현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팀 내 비공식적 리더출현에 영향을 주는 특성들을 제시하고, 리더출현에 대한 자기평가와 타인평가시의 차이점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ntecedents of the leader emergence in project teams. We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x, age, preference for group work,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 efficacy on leader emerge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349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ge, sex, preference for group work,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 efficacy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eader emergence. Furthermore, In the self-evaluation, cognitive factors(preference for group work,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 efficacy) have a stronger impact on the leader emergence. In the other-evaluation, however, demographic factors(age and sex) have a stronger impact on the leader emergenc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금전욕과 직무성과 및 조직몰입 관계에 있어 기업 윤리가치의 조절효과 연구

        정회근(Jung Hai Kun),심덕섭(Shim Duk Sup),김민정(Kim Min Jeo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금전욕과 직무성과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 기업 윤리가치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광주 및 전남 지역의 27개 기업 318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금전욕은 직무성과 및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 윤리가치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반면, 직무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 윤리가치는 금전욕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유의적이진 않지만 한계적으로 부의 방향으로 조절하고 있는데 금전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 윤리가치가 낮은 경우에 더 큰 폭으로 나타났다. 가설과는 달리 기업윤리가치는 금전욕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porate ethics valu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love of money and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data from 318 employees in 27 firm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love of money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2) subordinates’ perception of corporate ethics value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3) subordinates’ perception of corporate ethics value has a marginal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ve of mone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ve of money and job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고몰입형 인적자원관리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하성욱(Ha, Seong Wook),심덕섭(Shim, Duk Sup)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고몰입형 인적자원관리와 경영성과간의 관계에 있어 혁신활동인 활용과 탐험의 매개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전자산업에 소속된 상장기업 136개의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몰입형 인적자원관리가 각각 활용과 탐험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활용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탐험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활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가 탐험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 관계를 종합으로 살펴보면 활용은 고몰입형 인적자원관리와 경영성과간의 관계에 있어 매개 효과가 있지만 탐험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고몰입형 인적자원관리와 경영성과간의 관계에 있어 매개변수로 사용된 태도 변수, 역량 변수, 그리고 이직률 변수들과 다르게 행동변수인 혁신활동을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 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mediating roles of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HRM) and firm performance, based on the sample of 136 listed companies in the Korean electronics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c as followings; 1) high-commitment HRM is positively related to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respectively. 2) although exploit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firm performance, exploration has no relationship with firm performance. the former has stronger relationship with firm performance than the latter has. 3) only exploitation ha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commitment HRM and firm performance. exploration doesn't have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commitment HRM and firm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학업 목표 자기일치성이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검증

        박종민 ( Jong Min Park ),심덕섭 ( Duk Sup Shim ),양동민 ( Dong Min Yang ),최경주 ( Kyoung Joo Choi ),노현재 ( Hyun Jae Noe ),김형진 ( Hyung Jin Gim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1 HRD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27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통해 목표 자기일치성, 셀프리더십, 목표몰입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고, 구체적으로 목표 자기일치성 개념이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그동안 간과되어왔던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 얻어진 몇 가지 사실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 자기일치성은 목표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은 목표 자기일치성이 목표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목표 자기일치성은 목표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셀프리더십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고 있다. 하지만 셀프리더십의 하위차원별로 살펴보면, 행위적 전략과 건설적 사고 전략은 목표 자기일치성과 목표몰입 사이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반면에, 자연적 보상은 목표 자기일치성과 목표몰입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 자기일치성은 자신의 흥미와 가치가 목표에 반영되거나 목표선택의 자율성을 반영하는 개념으로 이는 셀프리더십으로 발현되어 목표몰입에 이를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Drawing upon exist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evide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self-concordance and goal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276 undergraduate management students at a southwestern Korea university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its hypotheses. The results of data analyses revealed that (1) goal self-concorda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goal commitment, (2) self-leadership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self-concordance and goal commitment, suggesting that goal self-concordance may have their initial influence on self-leadership, which subsequently affects goal commi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