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Cube Avenue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한 중규모 재난대피 프로토타입 모델 연구

        신흥,주용진,Sin, Heung Gweon,Joo, Yong J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3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5

        최근, 각종 자연재해와 산업재해로 인한 피해규모의 증가와 이에 따른 대책 수립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재난 규모 역시 대형화, 거대화됨에 따라 피해규모는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각종 재난 시 재난대피계획의 핵심은 재난대피에 소요되는 시간추정, 병목지점 파악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재난대피계획의 수립과 평가를 위해서는 적절한 재난대피모델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 연구가 주로 건축물 실내를 대상으로 재난 시 대피경로분석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자연재해 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재난대피모델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여 도시 내의 재해영향권에 대한 재난대피모델 구축 사례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ube Avenue를 이용하여 거시통행 수요모형을 설계하고 미국 노스 다코다(North Dakota)주의 파고(Fargo)시의 도로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재난 대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중규모 재난대피모델은 기존 통행수요모형의 네트워크와 입력 변수들을 이용하여서 동적 분석을 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재난대피 시뮬레이션 분석에 활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 대도시권에 적용이 가능하며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재난모의 실험 및 평가가 가능한 모델 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이다. Recently, the number of disasters has been seriously increasing. The total damages by the natural or man-made disasters during the past years resulted in tremendous fatalities and recovery costs. It is necessary to have efficient emergency evacuation management which is concerned with identifying evacuation route, and the estimation of evacuation and clearance times. An emergency evacuation model is important in identifying critical locations, and developing various evacuation strategies. In that existing evacuation models have focused on route analysis for indoor evacuation, there are only a few models for areawide emergency evacuation analysis. Therefore, we developed a mesoscopic model by using Cube Avenue and performed evacuation simulation, targeting road network in City of Fargo, North Dakota. Consequently, a mesoscopic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used to carry out dynamic analysis using network and input variable of existing travel demand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odel is an appropriate tool for areawide emergency evacuation analysis to save time and cost. Hencefo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develop a disaster evacuation model which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disaster simul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scenarios in the local metropolitan area.

      • KCI등재

        논문 : 탐진강유역 석실묘의 도입과 전개

        신흥남 ( Heung Nam Shin ) 호남고고학회 2016 湖南考古學報 Vol.52 No.-

        탐진강유역은 지리적 여건상 영산강유역과는 다른 문화적 특징을 보여준다. 석실묘에 있어서도 영산강유역에 비해 등장 시기가 늦는 것으로 보이며 초기에 등장하는 석실묘의 경우 비슷한 시기의 영산강유역이나 백제 중앙과는 다소 차이가 확인된다. 탐진강유역의 횡혈식석실묘는 현실의 세장도에 따라 크게 3개의 형식으로 분류되는데 방형에 가까운 Ⅰ식은 6세기 중엽~7세기 중엽, 장방형에 가까운Ⅱ식은 6세기 후엽~7세기 중엽으로 편년되며, 세장방형에 가까운 Ⅲ식은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지역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횡혈식석실묘는 Ⅰ식인데 방형에 가까운 평면형태와 더불어 입지에 있어서도 평지에 가깝고 석실이 지하보다는 지상에 가까운 위치에 시설된다. 또한 유물에 있어서도 초기 횡혈식석실묘에서 출토되는 유물 일부에서 영상간유역의 제작기법이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 볼 때 탐진강유역의 석실묘는 영산강식석실묘의 영향을 받아 등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배경으로는 6세기 중엽경 백제의 본격적인 영산강유역 진출과 관련하여 영산강유역 일부 세력이 탐진강유역으로 이주해 왔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의 석실묘군이 기존의 고분군과 구분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새로운 이주 세력은 기존 세력과 구분되는 지역에 정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탐진강유역의 횡혈Ⅱ식은 백제식석실로 6세기 후엽경 도입되어 Ⅰ식과 함께 7세기 중엽까지 공존한다. Ⅲ식은 Ⅱ식이 퇴화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출토유물로 보아 통일신라~고려시대로 추정된다. 횡구식석실묘는 6세기 후엽경 처음 등장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바닥처리 방식에 따라 3개의 형식으로 구분 가능하다. 출토되는 유물을 통해 볼 때 횡구Ⅰ식은 백제 사비기, 횡구Ⅱ식은 통일신라, 횡구Ⅲ식은 고려시대에 해당되는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변화 양상은 영산강유역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 The corridor-style stone-chamber tombs of the Tamjin River valley are categorized into three major types based on their slenderness: Type I, close to a square, was built from the middle 6th century to the middle 7th century AD; Type II, close to a rectangle, was built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middle 7th century AD; and Type III, close to a thin rectangle, was built during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It was Type I that first appeared in the valley.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Yeongsan River valley were found in some artifacts excavated in the early corridor-style stone-chamber tombs. This suggests that people started to build stone-chamber tombs in the Tamjin River valley under the influence of the stone-chamber tombs in the Yeongsan River valley. Type II was introduced in the late 6th century and coexisted with Type I until the middle 7th century. With the degradation of Type II, Type III emerged and lasted throughout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Stone-chamber tombs with horizontal entrances first appeared in the late 6th century and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floor-processing facilities. Given the excavated artifacts, Type I falls into the Sabi Period of Baekje, Type II into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ype III into Goryeo period. The same chronological patterns were found in the Yeongsan River valley.

      • KCI등재

        원가의 하방경직성이 비정상 감사보수와 비정상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신흥권(Shin, Hung-Kwon),박서윤(Park, Seo-Yoon),김도연(Kim, Do-Youn) 한국산업경영학회 2018 경영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원가의 하방경직성과 비정상 감사보수 및 비정상 감사시간에 관한 연구로 원가의 하방경직성이 비정상 감사시간과 비정상 감사보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원가하방경직성은 경영자의 의도적인 의사선택에 의해 결정되므로 원가의 하방경직성이 높을수록 이익변동성이 커지며 회계투명성이 낮아져 감사인은 감사위험이 높다고 판단하여 비정상 감사 시간과 비정상 감사보수를 증가시키는지, 아니면 원가의 하방경직성이 기업을 가장 잘 알고 있는 경영자의 전략적 의사선택이므로 대리인문제를 감소시키고 이익조정의 억제수단으로 작용하여 감사인은 감사위험이 낮다고 판단하여 비정상 감사시간과 비정상 감사보수를 감소시키는지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원가하방경직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비정상 감사시간과 비정상 감사보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가의 하방경직성은 기업을 가장 잘 알고 있는 경영자의 전략적 의사 결정으로 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감사인은 판단하여 원가의 하방경직성이 존재할수록 기업이익의 질은 제고됨에 따라 감사위험은 낮아져 비정상 감사시간과 비정상 감사보수가 적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공헌점으로는 감사인이 원가와 관련한 피감사인의 감사위험을잘 식별하여 이를 비정상 감사보수 및 비정상 감사시간에 반영함으로써 원가하방경직성과 관련하여 효율적인 감사를 수행하고 있는지 실증분석함에 따라 원가하방경직성과 전략적 원가관리를 감사인이 인지하고 있다는 근거를 제공한다. 특히 경영자의 의사결정시 경영자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대한 감사인의 인식정도를 제시함으로써 관리회계 분야에 유용한 정보를 학계 및 실무계에 제공할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st stickiness on abnormal audit fees and abnormal audit hours. According to the finding in prior studies, firms with greater cost stickiness are associated with agency costs. So cost stickiness report that high-volatility of earnings and low-accounting transparency. However, the cost stickiness, which is evaluated negatively, also shows mixed results. Cost stickiness is shown by the strategic choice of managers who know the firm best,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future porfit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st stickiness on audit fees and hours. According to our empirical analysis, We find that the firms of greater cost stickiness have lower abnormal audit fees and abnormal audit ho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ing the systematic association between the cost stickiness and audit fees and hours.

      • KCI등재

        탐진강유역 석실묘의 도입과 전개

        신흥 호남고고학회 2016 湖南考古學報 Vol.52 No.-

        탐진강유역은 지리적 여건상 영산강유역과는 다른 문화적 특징을 보여준다. 석실묘에 있어서도 영산강유역에 비 해 등장 시기가 늦는 것으로 보이며 초기에 등장하는 석실묘의 경우 비슷한 시기의 영산강유역이나 백제 중앙과는 다소 차이가 확인된다. 탐진강유역의 횡혈식석실묘는 현실의 세장도에 따라 크게 3개의 형식으로 분류되는데 방형에 가까운 Ⅰ식은 6세 기 중엽~7세기 중엽, 장방형에 가까운Ⅱ식은 6세기 후엽~7세기 중엽으로 편년되며, 세장방형에 가까운 Ⅲ식은 통 일신라와 고려시대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지역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횡혈식석실묘는 Ⅰ식인데 방형에 가까운 평면형태와 더불어 입지에 있어서도 평지 에 가깝고 석실이 지하보다는 지상에 가까운 위치에 시설된다. 또한 유물에 있어서도 초기 횡혈식석실묘에서 출토 되는 유물 일부에서 영상간유역의 제작기법이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 볼 때 탐진강유역의 석실묘는 영산 강식석실묘의 영향을 받아 등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배경으로는 6세기 중엽경 백제의 본격적인 영산강유역 진 출과 관련하여 영산강유역 일부 세력이 탐진강유역으로 이주해 왔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의 석실 묘군이 기존의 고분군과 구분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새로운 이주 세력은 기존 세력과 구분되는 지역에 정착하 였을 것으로 보인다. 탐진강유역의 횡혈Ⅱ식은 백제식석실로 6세기 후엽경 도입되어 Ⅰ식과 함께 7세기 중엽까지 공존한다. Ⅲ식은 Ⅱ 식이 퇴화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출토유물로 보아 통일신라~고려시대로 추정된다. 횡구식석실묘는 6세기 후엽경 처음 등장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바닥처리 방식에 따라 3개의 형식으로 구분 가능 하다. 출토되는 유물을 통해 볼 때 횡구Ⅰ식은 백제 사비기, 횡구Ⅱ식은 통일신라, 횡구Ⅲ식은 고려시대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변화 양상은 영산강유역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