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션 브랜드 피터 필로토의 디자인 특성 연구

        신혜정 ( Shin Hea Je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피터 필로토의 컬렉션에 대해 통합적으로 고찰하고 작품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2008년부터 2017년 까지 총 18회의 프레타포르테 컬렉션과 컬렉션 관련 텍스트로 하였다. 이를 토대로 피터 필로토의 표현 대상을 파악하였고 프린트, 텍스타일, 형태, 색채의 디자인 요소에 따른 표현 방법과 피터 필로토 컬렉션이 보여주는 작품의 특성을 추출하였다. 피터 필로토의 컬렉션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디자이너 피터 필로토와 크리스토퍼 디 보스로 구성된 런던 베이스 여성복 브랜드인 피터 필로토는 매 시즌 독특한 프린트와 여성스럽고 조각적인 실루엣을 보여주며 확실한 그들만의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다. 피터 필로토의 컬렉션에서 보여지는 표현 대상은 크게 문화, 자연, 예술로 분류할 수 있다. 프린트에 나타난 표현 특징은 높은 사용 빈도의 기하학 프린트와 다중 이미지를 통한 깊이감 표현, 형태를 고려한 프린트 배치로 나타난다. 텍스타일은 시즌을 거듭할수록 다양한 기법의 복합적 사용과 입체화를 지향하는 경향을 보인다. 형태적 특징으로는 유기적 형태에서 구조적 형태로의 변화와 다양한 교차선의 표현, 여성성을 강조한 아이템과 실루엣의 사용을 확인할 수 있다, 색채는 다양한 색상과 색조, 독특한 배색의 사용을 들 수 있다. 피터 필로토의 작품을 살펴본 결과, 주요 작품 특성으로 절충을 통한 창의적 발상, 맥시멀리즘의 구현, 예술적 표현의 진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피터 필로토는 독특한 프린트와 텍스타일, 입체적 실루엣과 화려한 색상으로 그들의 정체성을 완성해가고 있으며 그 특성은 패션계 전반에 중요한 본보기가 되고 있음에 틀림이 없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Peter Pilotto`s collections by analyzing it comprehensively. The research reviewed 18 Pret-a-porter collections from 2008 to 2017 and collection-related texts. It tries to identify the themes and characteristics of Peter Pilotto`s collections and analyze the expression methods-prints, textiles, forms and colors-in them.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below. Peter Pilotto, a London-based women`s wear brand, being represented by two designers -Peter Pilotto and Christopher De vos, is forming reliable brand identity by adopting unique prints, and feminine sculptural silhouette each season. The objects of expression in Peter pilotto`s collections can be categorized into culture, nature and art. Geometric patterns used with high frequency,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through superposition and the shape- oriented layout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the prints. Textiles tend to adopt multiple techniques and to be three-dimensionalized more frequently as seasons go by. The features on the shape include change from organic form to structural form, adoption of various crossing-lines, and use of items and silhouettes emphasizing femininity. In terms of colors, it employs various colors, tones and unique colorations. As a result of reviewing Peter pilloto`s works, they can be characterized as `the creative ideas based on compromises`, `the implementation of maximalism`, and `the evolution of artistic expression`. Peter Pilotto is forming their own identity with unique prints, textiles, three-dimensional silhouettes and brilliant colors, and it must be a significant role model in the fashion industry.

      • KCI등재

        프라다 판타지 룩북의 재고

        신혜정 ( Hea Jeong Sh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감성 중심의 패러다임 속에서 브랜드는 다양한 문화와 예술을 활용한 아트마케팅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니즈에 따른 감성을 자극하고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소비자를 만족시킨다. 프라다는 아트마케팅 활용해 브랜드 이미지 구축 및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형성한 대표적인 브랜드이다. 2007년부터 2013년 까지 홍보 캠페인의 방법으로 활용한 룩북은 감각적이고 실험적인 비쥬얼을 통해 예술적 가치를 담아 브랜드 개성을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프라다 판타지 룩북에 대한 통합적 고찰을 통해 패션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관점과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프라다 룩북의 특성을 시즌별로 분석하고 기존의 룩북과의 차별화된 새로운 면을 모색하여 그 가치를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패션 마케팅 및 카탈로그와 룩북 관련 선행연구, 문헌 자료 그리고 인터넷 자료를 조사하고, 연구 대상인 프라다 룩북은 제작사 AMO의 웹사이트와 프라다 홈페이지 자료를 통해 살펴본다. 2007년 S/S 부터 2013 F/W 까지 총 14회의 판타지 룩북중 동영상으로만 제공되는 2013년 F/W를 제외한 13회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구성적 특성, 표현적 특성, 기능적 특성으로 분류하여 알아본다. 시즌별 분석을 근거로 한 프라다 판타지 룩북은 컬렉션 당시 사진을 활용하여 디지털 합성과 꼴라쥬의 방법으로 가상공간을 전개하여 일반적 룩북과 다른 특성을 보이며 시즌이 지날수록 매체 형식의 진화, 소재와 질감 표현의 비중 확대, 의상과 공간 표현의 비정형적, 비현실적 변화 등 표현과 형식 변화의 강세 추세를 보인다. 판타지 룩북의 새로운 시도는 기존 룩북에 대한 참신한 관점을 제안할 수 있으며 그 의미는 비물질적 가치 추구, 정보 전달 요소의 전환, 예술적 지향성의 환기로 정리할 수 있다. 예술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혁신을 추구하고자 했던 프라다는 판타지 룩북으로 제품소개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넘어 브랜드의 감성적 기능을 부각하여 독자적 이미지를 창출하고자 했음은 분명하다. Under the emotion-centered paradigm, a brand is stiring up custmomers` emotion with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and satisfying them by the means of art marketing which uses a variety of culture and art. Prada` is one of the well-known examples which formed good brand images and developed new communication contents. Its Lookbooks from 2007 to 2013 used as a method of PR campaign are regarded as a good role to show its exceptional brand value through not only their sensuous visual and but also artistic valu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ek the way of fashion communications through comprehensively reviewing Prada Fantasy Lookbooks. This research tried to find different aspects from previous Lookbooks by reorganizing and analyzing them by seasons. In order to do this, I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fashion marketing, catalogs, Lookbooks and so on. All the Prada Lookbooks were collected through websites of AMO - Prada Lookbook producing agency, and Prada. Total 13 Lookbooks from 2007 S/S to 2013 F/W except that of 2013 F/W which is provided only as video format were classified and investigated by their structural, expressive and functional properties. Based on seasonal analysis, Prada Fantasy Lookbooks differentiate from others by digital editing of contemporary photos and collage, and developing virtual space. In addition, they proceed in their forms of communications, increased the portion of expression of fabric texture, but destructed the formality and reality in expression of clothes and space. The new attempt of Fantasy Lookbooks can provide distinctive point of views to conventional Lookbooks like pursuing non-material values and changing from information delivery to artistic presentation. It is certain that Prada has attained distinctive brand image by highlighting its close relationship with arts and attribution to emotional values through Fantasy Lookbook genre.

      • KCI등재

        사용자의 지속적 참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

        신혜정 ( Hea Jeong Shin ),김혜연 ( Hea Yeon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소비자가 개인의 의미를 새로운 소비의 가치로 인식함에 따라 참여는 사용자의 창작 가능성을 높여주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소비형태의 변화를 가져왔다. 참여디자인은 이러한 소비 형태를 잘 반영한 디자인 방법으로 패션분야에서도 점차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사용자의 능동적 요구와 창작의 흐름을 지속적으로 반영함으로써 결과적 측면 뿐 만 아니라 과정적 측면에서도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지속적 참여’에 중점을 두고 패션디자인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각종 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참여디자인의 정의, 발달 과정, 요소를 살펴본 뒤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다양한 참여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고 관련 제한점을 보완한 의상 디자인 제안을 시도한 것이다. 디자인은 디자인 컨셉 구축부터 모티브 선정, 디자인 개발, 총 3벌의 의상을 제작, 제시하였다. 패션에서 보여지는 참여디자인 사례를 참여시점, 창조성, 유연성, 용이성, 지속성 총 5가지 조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 횟수의 제한과 참여 후 결과물이 유사하다는 한계점을 보여 이를 보완하여 실사용자의 적극적 표현의 지속적인 반영이 가능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사용자의 참여를 유발하기에 적합한 도구라 생각된 스케치북을 디자인 모티브로 사용하기 위해 스케치북의 형태적, 기능적, 감성적 특징을 알아보고 사용자가 스케치북의 외형적 특징을 디자인에 접목하여 스케치북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디자인을 패션에 적용하여 지속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스케치북을 모티브로 활용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고, 이는 향후 보다 객관적이고 실질적인 디자인을 도모하기 위해, 앞서 연구한 패션디자인의 참여 지속성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연구 활동이 필요하고, 지속적 참여가 보다 다양한 패션 분야에 적용될 수 있도록 관련 이론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며 그에 따른 디자인 개선 및 발전 가능성과 적용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As consumers regard personal significance as new value of consumption, participation has brought a change in consumption patterns as a new communication method that increases creative possibilities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which reflects these consumption patterns has researched increasingly in the field of fash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 of fashion design focusing on sustainable participation which gets satisfaction to reflect needs and creativity of user in the process as well as the result.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developing process, and other factors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literatures and data; analyzes the participatory design practices in fashion design; tries some costume designs corrected related limitations. The purpose of this is to suggest 3 costume designs that complement the limitations shown in the analysis. Participatory designs in the fashion are analyzed by Participate time, Creativity, Flexibility, Ease of use and Durability.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number of participating and similar results after participation are limitations. To improve these limits, this study suggest the design which is possible to constantly create to user. The design motif-‘Sketchbook’ is suitable tool to cause the user’s participation because of its morphological, function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its formative features in design, Design can be easily recognized that sketchbook. This study can accomplish the purpose by using a sketchbook as a design motif to attract sustainable participation in fashion design and is expected to refer and use to develop user participatory design in fashion design.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취학 전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따른 행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신지연,신혜정,조현희,차수민,김경미,Shin, Ji-Youn,Shin, Hea-Jeong,Cho, Hyun-Hee,Cha, Su-Min,Kim, Kyeong-Mi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5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3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sensory processing capac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pr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skills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Methods : Mothers of pr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between ages of 4 and 6 who attend Y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Busan, H kindergarten in Suwon, S kindergarten in Gimhae was participated. Mot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at home from 4th to 14th of January in 2004. We used SSP(short sensory profile) which was used by Kim, Mi-Sun in 2001 to understand the sensory processing skills. We also used Behavior During Testing Checklist find their places in Miller Assessment for preschoolers to understand behavior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SS 10.0. Results : 1. Total incidents in sensory processing were 157 out of 190. Among sub items of the sensory processing, the mark of lower energy/weak was highest with 4.39 point and the mark of taste/smell sensitivity was lowest with 3.60 point. Total incidents in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20 out of 24. Among the area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mark of sensory responses/threshold area was highest with 2.73 point and the mark of social interaction area was lowest with 2.29 point. 2. Children's total sensory processing capacity correlates with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more sensory processing capacity, the more behavioral characteristics. Sensory processing point correlates with behavioral characteristics points except this item, reaction to separation from caretaker. Conclusions : We hope that the children who ha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with difficulties in sensory processing skills can be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this studying. Also, as we find and relieve early stage of the symptoms, following study which can present based to facilitate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improve the learn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