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점착성 퇴적물의 염분과 퇴적물농도에 따른 플럭 특성: 플럭카메라를 이용한 실험연구

        신현정,이관홍,Shin, Hyun-Jung,Smith, S. Jarrell,Lee, Guan-Hong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3

        점착성 퇴적물이 다른 광물입자 혹은 유기물과 결합하여 형성되는 플럭(floc)을 현장에서 관측하기 위한 플럭카메라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실에서 플럭카메라 시스템을 검증하고 영산강 점착성 해저 퇴적물의 플럭 특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플럭카메라 시스템의 검증은 $88-125{\mu}m$와 $63-88{\mu}m$의 체에 걸러진 모래를 사용하였다. 플럭카메라 영상을 통해 분석한 평균입경은 각각 102와 $65.2{\mu}m$고, 침강속도는 각각 6.7과 5.9 mm/s이다. 카메라 심도에서 벗어난 입자는 실제 크기보다 크거나 작게 측정이 되는 현상으로 인해 체의 범위를 벗어난 입자가 관측되지만, 입경과 침강속도의 평균값에 대한 95% 신뢰수준 오차가 체의 범위에 속하므로 플럭카메라를 이용한 분석을 신뢰할 수 있었다. 영산강 하구의 해저 표층 퇴적물을 0 psu의 증류수에 0.1 g/L 퇴적물 농도로 관측한 평균 입경은 약 $40.6{\pm}0.66{\mu}m$, 침강속도는 1.4 mm/s 프랙탈 차원은 2.86이었다. 추가적으로 10과 34 psu의 염분과 0.1 및 0.3 g/L의 퇴적물 농도에서 관측한 평균입경과 침강속도는 서로 유사했고, 그 값들은 오차범위 내에 존재한다. 플럭카메라 관측을 통해서 얻은 플럭의 빠른 침강속도와 프랙탈 차원은 유기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표층퇴적물의 특성을 반영한다. 또한, 염분과 퇴적물 농도를 변화시켰음에도 플럭의 입경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은 플럭을 형성에 충분한 난류 강도가 주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향후에는 염분, 퇴적물 농도 및 외력의 변화에 따른 플럭의 특성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To examine floc characteristics of cohesive bed sediment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a floc camera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utilized to observe flocs under varying conditions. In order to validate the floc camera system, sand particles were passed through 88-125 and $63-88{\mu}m$ sieves and observed within the laboratory. Mean grain size and settling velocities were found to be 102 and $56.2{\mu}m$ and 6.7 and 5.9 mm/s, respectively. Artifacts of particles estimated outside of the sieve range are attributed to being imaged out of the depth of focus. However, as mean grain size and settling velocity of each size class were within the confidence interval, the floc camera system was confidently used to examine cohesive bed sediments of Yeongsan River estuary. The bed sediment sample was prepared with a concentration of 0.1 g/L in 0 psu deionized water. The mean grain size, settling velocity and fractal dimension of flocs were $40.6{\pm}0.66{\mu}m$, 14 mm/s, and 2.86, respectively. Experiments were also conducted using different salinities (10 and 34 psu) and sediment concentrations (0.1 and 0.3 g/L). Despite changing these parameters, the mean observed grain size and settling velocities were found to be the same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system. The relatively higher values of settling velocity and fractal dimension are considered a result of the sediment containing relatively small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Moreover, consistent floc size over various grain sizes and concentrations may be the result of insufficient turbulence to aggregate flocs.

      • KCI등재

        ADCP 표층유속 자료처리방법 개선을 통한 영산강 하구 표층 방류수 이류속도 산정

        신현정,강기룡,이관홍,Shin, Hyun-Jung,Kang, Kiryong,Lee, Guan-Hong 한국해양학회 2014 바다 Vol.19 No.3

        연안에서 관측된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ADCP) 유속자료의 10-20%는 음향반사 측면효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ADCP의 사용되지 않았던 자료를 복구하여 영산강 하구에서 저조시 방류되는 담수의 경계면 이류속도를 구하고 이를 통해 담수 유량과 수층의 역학적 안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여 하구 내 혼합 환경을 잘 이해하고자 한다. 현장관측은 2011년 8월 영산강의 하구언 전면과 고하도 부근 두 정점에서 한달 동안 실시하였으며, 방류수의 이류속도는 유효 유속 판정에 상관도, 퍼센트굿, 그리고 유속 히스토그램의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ADCP 후처리방법을 적용하여 복원하였다. 또한, 같은 수로에 위치한 두 정점에서 이류하는 퇴적물의 농도피크시간을 토대로 퇴적물의 이류속도(Sediment Advection Speed)를 계산하여 방류수 이류속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퇴적물의 이류속도를 방류시 ADCP의 표층유속과 비교하였을 때, 방류량이 $2.0{\times}10^7$톤 보다 크면 두 속도값이 유사하고, 그보다 적을 경우에는 퇴적물의 이류속도가 약간 크게 산정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방류가 발생할때 담수이류속도(Freshwater Advection Speed)는 바닥으로부터 $0.8{\times}$수심의 유속보다 평균 0.8 m/s 정도 크기 때문에, 방류가 증가하는 시기에 새롭게 계산된 방류수의 속도를 포함한 순유출량(=수심 및 조석주기로 적분된 흐름)을 계산하면, 그 방향이 하구언으로 들어오는 방향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층 담수의 속도가 더해짐으로써 표층 속도쉬어와 리차드슨 수의 분포가 바뀜을 관찰할 수 있었기 때문에 표층 해수의 안정도를 해석함에 있어 실제 방류수 유속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유속과 함께 수온과 염분의 장기적인 관측이 수행된다면 담수 방류에 따른 성층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관련 부유퇴적물의 변동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t has been customary to exclude top 10-20% of velocity profiles in the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ADCP) measurement due to side lobe effects at the boundary. To better understand the mixing in the Yeongsan estuary, the freshwater advection speed (FAS) was recovered from highly contaminated ADCP data near the surface. The velocity profiles were measured by using ADCP at two stations in the Yeongsan estuary during August 2011: one was located in front of the Yeongsan estuarine dam and the other was deployed near Goha Island. The FAS was recovered from the ADCP data set by applying rigorous post-processing methods and compared with the sediment advection speed (SAS). The SAS was determined by the peak time difference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between two stations in the channel, divided by the distance of two stations. The FAS and the SAS showed very similar value when the freshwater discharge was greater than $2.0{\times}10^7$ ton and the SAS was a bit greater when the freshwater discharge was smaller. Since the FAS was on average about 0.8 m/s greater than the velocity at 0.8 of water depth from the bottom, the net discharge, estimated with recovered FAS and integrated over water depth and tidal cycle, was directed seaward during the high discharge contrary to the onshore direction of the net discharge estimated with 0.8 of water depth from the bottom. Moreover, the velocity shear and Richardson number changed when the FAS was used. Thus, the importance of the true FAS is appreciated in the investigation of the surface layer stability. If currents,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observed for longer time in the future, it could be possible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formation and decay of stratification as well as the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processes.

      • KCI등재

        일본의 진로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커리어 패스포트’ 사업을 중심으로

        신현정(申賢貞)(Hyun-Jung Shin) 한국일본교육학회 2024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일본의 주요 진로교육 정책 중 하나인 ‘커리어 패스포트’ 사업의 유용성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일본 진로교육의 현황을 고찰하였다. ‘커리어 패스포트’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의 진로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위한 것으로, 주로 특별활동, 학급활동 및 홈룸활동을 중심으로 각 교과목 등과 교류하며, 자신의 학습 상황과 진로 형성을 예측하고 되돌아보면서, 자신의 변화와 성장을 자체 평가할 수 있도록 고안된 포트폴리오이다. ‘커리어 패스포트’의 가장 큰 특징은 지속성에 기반한 연계성에 있으며 그 연계성은 ① 각 급별 학교(초・중・고)와의 연계성 ② 지역과의 연계성 ③ 타 교과목과의 연계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일본의 진로교육은 종적인 진로교육과 횡적인 진로교육의 조화를 통해 전 생애적 진로교육을 지향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커리어 패스포트’의 특징과 유용성을 분석한 결과, 커리어 패스포트는 진로교육에서 매우 다양한 측면의 효과성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커리어 패스포트’의 파급 효과는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커리어 패스포트’의 필요성과 유용성에 대한 교사들의 폭넓은 공감대 형성을 위한 노력과 ‘커리어 패스포트’의 적극적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사 연수 등을 실시한다면 각 급별 교육과정 안에서 학생 이해와 진로지도를 위한 의미 있는 활동으로 조금 더 빨리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일본의 진로교육은 초・중・고의 급별 학교 간 종적 연결과 타 교과목과의 연계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와 같은 횡적 연결의 조화를 추구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 발달에 대해 깊은 전문성과 넓은 시야를 동시에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는 점은 한국의 진로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この研究は、日本の主要なキャリア教育政策の一つである「キャリア・パスポート」プログラムの有用性と課題を中心に、日本のキャリア教育の現状を考察した。「キャリア・パスポート」は、小学校から高校までのキャリア教育に関連するさまざまな活動に参加する学生を対象としており、主に特別活動、学級活動、ホームルーム活動などを中心に各教科と交流しながら、自分の学習状況と進路形成を予測し、振り返りながら、自身の変化と成長を自己評価できるように設計されたポートフォリオである。「キャリア・パスポート」の最も大きな特徴は、持続性に基づく連携性であり、その連携性は①各学年の学校(小・中・高)との連携性、②地域との連携性、③他の教科との連携性に細分化できる。これらの事実から、日本のキャリア教育は、縦のキャリア教育と横のキャリア教育の調和を通じて、生涯にわたるキャリア教育を追求してい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そして、「キャリア・パスポート」の特徴と有用性を調査したデータを分析した結果、「キャリア・パスポート」はキャリア教育において非常に多岐にわたる効果が確認されているにも関わらず、現在の「キャリア・パスポート」の波及効果はまだ期待に達していない水準である。したがって、「キャリア・パスポート」の必要性と有用性に対する教師たちの幅広い共感を形成するための努力や、「キャリア・パスポート」の積極的な活用を促進するための教師研修などを実施すれば、各学年の教育課程内で学生理解と進路指導のための意味ある活動として確実に位置づけ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 日本のキャリア教育が小・中・高の学校間の縦的な連携と他の教科との連携、地域社会との連携など、横的な連携の調和を追求することによって、学生が自分の進路発達に対して深い専門性と広い視野を同時に持つことをサポートしているところは韓国のキャリア教育に大きな示唆を与えている。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career education in Japan, with a focus on the effectiveness and issues of the Career Passport program, which is one of the key career education policies in Japan. The Career Passport is designed for students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primarily engaging in special activities, classroom activities, and homeroom activities. It serves as a portfolio that allows students to predict and reflect on their learning situations and career development, as well as self-evaluate their changes and growth.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Career Passport lies in its continuity-based connectivity, which can be further subdivided into ① connectivity with schools at each grade leve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② connectivity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③ connectivity with other subjects. Through these facets, it is evident that Japan's career education aims for lifelong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harmoniza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career education. Despite the confirmed effectiveness of Career Passport in various aspects of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investigating its features and usefulness, the ripple effects of the current program are still below expectations. Therefore, efforts to form a broad consensus among teachers regarding the necessity and usefulness of the Career Passport, as well as initiatives such as teacher training to promote its active utilization, could firmly establish it as a meaningful activity for student un

      • KCI등재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교사에 대한 연구

        신현정(Hyun Joung Shin), 이송이(Song Yi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교사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과 특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주관적 인식을 이해하고 구조화하는데 적합한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중학교 1학년학생 20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40개의 Q표본을 11점 척도의 정규분포에 분류하도록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C-QUAN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교사 유형은 4가지 유형으로 추출되었다. 제1유형은 「균형 중시형」으로 학습과 휴식의 균형을 중시하는 교사를 선호하는 유형, 제2유형은 「성장 중시형」으로 학생의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는 교사를 선호하는 유형, 제3유형은 「인격 존중형」으로 학생의 인격을 존중하는 교사를 선호하는 유형, 제4유형은 「전문성 중시형」으로 전문성을 갖추고 수업을 중시하는 교사를 선호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교사의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사들에게 바람직한 교사상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학교에서 교사가 좋은 교사로 발전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 good teacher among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In this study, Q methodology was used to understand and structure individual subjective perceptions. A total of 2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P samples and classified into 40 Q samples according to a normal distribution of an 11-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C-QUANL program. Results Four types of good teacher perception were extracted among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ype 1 was a “balance-oriented” type, preferring teachers who emphasize balance between learning and rest. Type 2 was a “growth-oriented” type, preferring teachers who support student growth and development. Type 3 was a “personality-respectful” type, preferring teachers who respect students' personalities. Type 4 was a “professionalism-oriented” type, preferring teachers who have expertise and emphasize their lesson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serve as factors for what makes a good teacher, as perceived by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is could provide teachers with an opportunity to recognize desirable teacher qualities and could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teachers to develop into good teachers within the school system.

      • 대기압 플라즈마에 의한 박테리아 활성도 감소

        신현정(Jennifer H. Shin),김기중(Kijung Kim),한제현(Jehyun Han),박진성(Jin-Sung Park),박상후(Sanghoo Park),최원호(Wonho Choe)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15 한국가시화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12

        In this study, 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atmospheric pressure plasma source was utilized to deactivate wild type Salmonella strain. The bacterial motility was quantified based on the MSD (mean square displacement) to map the areal expansion of the moving bacteria. Also,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lity and infectious activity of wild type Salmonella strain, the viability of the MCF-10A cells was accessed after the plasma-treated bacteria were co-incubated with the mammalian cells. The results show that the plasma treatment of as low as 10 seconds significantly reduces the motility of bacteria and the reduced motility correlates directly with the suppressed bacterial infection into the host cells.

      • 연구논문 : 전래동요 활동의 효과 -유아의 리듬감 및 동시 짓기의 운율적 표현을 중심으로-

        신현정 ( Hyun Jung Shin ),이선경 ( Sun Kyung Lee )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글로벌사회복지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요 활동이 리듬 적성과 동시 짓기의 운율적 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만 5세 유아 40명(남아22명, 여아18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전래동요 활동이 유아의 리듬 적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전래동요 활동은 유아들의 동시 짓기의 운율적 표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리듬적성과 동시 짓기의 운율적 표현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tivities through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 which had been influenced on the rhythmic aptitude and rhythmic expressions of composi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kindergarten young children (22 boys, 18 girls) of 5 years old and carried out with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s of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 on rhythmic aptitude of young childre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s of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 on rhythmic expressions of young children. Third, However, sex difference in rhythmic aptitude and rhythmic composition showed no difference in statistical meaning.

      •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

        신현정(Hyunjeong Shin),이은정(Eunjung Lee),황해익(Haeik Hwang)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강점리터러시가 병렬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여 유아기 행복플로리시를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5세 유아 281명이다. 연구도구는 유아 자아존중감척도, 유아 행복플로리시척도, 유아 정서지능척도, 유아 강점리터러시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PROCESS macro 4.1 model 4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병렬다중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 강점리터러시, 행복플로리시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정서지능과 강점리터러시를 매개로 하여 유아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두 매개변인의 매개효과 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정서지능과 강점리터러시를 동시에 투입할 경우, 유아의 행복플로리시에 대등한 수준의 간접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various ways to improve young children's flourish by verifying whet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ngths literacy parallel mediator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the flourish. A total of 281 5-year-old children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parallel multiple mediator analysis using SPSS 23.0 and the PROCESS macro 4.1 model 4.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young children’s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strengths literacy, and flourish. Next, the research showed that young children’s self-esteem influenc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ngths literacy, which affected their flourish.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two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wh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ngths literacy were simultaneously introduced alongside young children’s self-esteem, they had an equal indirect mediation effect.

      • Ada 재사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정보관리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신현정(Shin Hyun Jeong),유재련(Yu Jae Ryeon),류성열(Rhew Sung Yul),정기원(Chong Ki Won) 한국정보과학회 199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7 No.2

        소프트웨어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 방법론 및 자동화 도구의 연구가 계속되왔다. 생산되는 소프트웨어가 사용자 요구사항에 신뢰할 수 있고 만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결국 생산성의 향상과 양질의 소프트웨어를 생산코자 함이다. 본 논문에서 소프트웨어 재사용의 한 영역으로 Ada 코드의 재사용에 관한 연구로서 원시코드에 대한 재사용 가능성을 판단하는 기초 정보와 원시코드의 논리적인 구조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저장소를 설계하고 객체중심 모델링 기법에 의한 데이타 모델링을 하였다.

      • KCI등재

        발달지연 청소년의 치료놀이 상호작용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신현정(Hyunjung Shin)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발달지연 청소년이 타인(자)과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지각하고 의미화 하는지를 치료놀이의 맥락과 내부자의 관점에서 파악하려고 한 현상학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는 발달지연 청소년의 치료놀이 상호작용의 맥락을 상호주관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상호작용의 특성을 파악하여 발달지연 청소년의 욕구에 더 적합한 상호작용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성호르몬의 변화 및 감정조절의 어려움을 겪는 한 발달지연 청소년의 치료놀이 접근을 통해 치료놀이 상호작용의 맥락과 특성을 살펴 청소년의 긍정적 변화를 돕는 상호작용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천착하였다. 질적 연구의 지향인 실험적 접근으로 수행된 본 연구는 상호작용이 ‘행위와 행위의 교환’, ‘행위와 반응의 연속’, ‘몸과 살의 교차’라는 개념과 연결 지어 상호주관적 관점에서 발달지연 청소년과 치료사가 각각 주체가 되어 기술되었다. 치료놀이 상황에서 각 주체의 행위, 반응, 몸, 살이 어떻게 구성되고 해체되고 다시 구성되며 또 해체되느냐에 따라 그 상호작용의 맥락과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치료놀이 상호작용의 맥락은 치료놀이에서 많이 하는 7가지 활동들을 중심으로 발달지연 청소년의 입장, 치료사의 입장을 각기 1인칭으로 기술하였다. 같은 치료놀이 활동을, 각기 다른 주체의 관점에 따라 함께 구성하는 상호작용의 맥락을 통해 발달지연 청소년의 상호작용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치료놀이 상호작용은 ‘함께 있는 상태’에서 하는 ‘조율의 과정’이었다. 더불어 치료사와 청소년 간 상호주체적 만남의 지속적인 교차였다. 발달지연 청소년의 심리치료적 상호작용에서는 ‘경계짓기’와 ‘재미’ 역시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about Theraplay?? interaction of a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It has been conducted from the participant s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Theraplay??. This study aimed to build a better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based on the deep understanding of him who has suffered from hormone change and emotion-regulation through intersubjectivity between the adolescent and the therapist. According to new trends in qualitative methodologies, this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onducted. It also analyzed and interpreted by the notions of interaction like exchange of action-action , sequences of action-reaction-action , chiasma between Leib and corps after the thick description of Theraplay?? with the adolescent and the therapist. Especiall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adolescent and the therapist have been revealed based on seven activities of Theraplay?? from the subjective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raplay?? context and distinctions are below. Theraplay?? interaction means attune process condition of being with. Moreover, repeated chiasma of intersubjectivity. Also, building boundaries and fun for the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is very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