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과적 재위치와 교정적 정출술을 이용한 함입된 외상치의 치험례

        신지선,김종수,Shin, Ji-Sun,Kim, Jong-Soo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4

        Intrusive luxation that takes approximately three percent of permanent teeth commonly occures at anterior teeth. This intrusion frequently leads to pulp necrosis, root resorption, marginal bone loss and these complications are influenced by depth of intrusion and stage of root development. Various treatment approaches have been suggested to manage of intrusive luxation. Techniques aiming to reposition the intruded tooth include an observation for spontaneous re-eruption, surgical or orthodontic repositioning. We report two cases with clinically satisfactory results for traumatically intruded maxillary central incisor. In one case which has a large open apex and mild intrusion depth, we observed for spontaneous eruption and then repositioning by forced eruption method. In other case, which has been completely intruded, was repositioned by surgical extrusion and followed by apexification. 영구 치열에서 3% 가량 발생하는 함입 탈구는 전치부에 호발하고 치수 괴사, 치근 흡수, 변연 치조골 상실 등의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이는 함입의 정도와 치근 발육 상태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함입 탈구된 치아의 이상적인 치료 방법은 아직 제시된 것이 없으며 현재 가능한 치료 방법으로 소개 된 것은 자발적 맹출을 기다리거나, 외과적으로 재위치하는 방법, 교정적 정출술 등이 있다. 본 증례는 자발적 맹출을 기다렸으나 맹출 소견이 보여지지 않아 교정적으로 원래 위치까지 정출시킨 경우와 파절을 동반해 질이 함입된 영구 전치를 외과적으로 한번에 재위치시킨 후 치근첨 형성술을 시행하여 치료한 두 환아의 함입치가 비교적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연안 해역의 클로로필 농도 추정을 위한 초분광 및 위성 클로로필 영상 비교 연구

        신지선,김근용,유주형,Shin, Jisun,Kim, Keunyong,Ryu, Joo-Hyung 대한원격탐사학회 202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6 No.2

        원격탐사를 이용한 연안 해역의 클로로필 농도 추정은 대부분 다분광 위성 영상 분석을 통해 수행되어 오고 있다. 최근에는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항공기 기반 초분광 영상은 높은 공간 해상도로 좁은 밴드 폭을 가진 수백 개의 밴드로 구성되어 기존의 다분광 위성 영상을 통한 클로로필 추정보다 연안 해역에서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 해역의 클로로필 농도 추정을 위해 초분광 및 위성 기반 클로로필 영상을 비교 검증을 수행하였다. 한반도 남해안에서 수행된 현장조사로 획득된 클로로필 농도 자료와 해수 스펙트럼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높은 클로로필 농도를 갖는 해수 스펙트럼은 570 nm와 680 nm 파장대역 부근에서 peak를 보였다. 이러한 스펙트럼 특징을 활용하여 클로로필 농도 추정을 위한 새로운 밴드비(570 / 490 nm)가 제시되었고, 밴드비와 현장 클로로필 농도 간의 회귀 분석을 통해 새로운 클로로필 경험식이 생성되었다. 현장 클로로필 농도와의 검증 결과, R<sup>2</sup>의 0.70, RMSE와 mean bias가 각각 2.43와 3.46 mg m<sup>-3</sup>으로 유효한 결과를 보였다. 새로운 경험식을 초분광 영상과 위성 영상에 적용한 결과, 초분광 클로로필 영상과 현장 클로로필 간의 평균 RMSE는 0.12 mg m<sup>-3</sup>로 위성 클로로필 영상에서 보다 더 높은 정확도로 클로로필 농도 추정 가능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초분광 영상을 활용하여 보다 높은 정확도로 연안 해역 클로로필 농도의 고해상도 공간 분포 정보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Estimation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CHL) on coastal areas using remote sensing has been mostly performed through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 analysis. Recently, various studies using hyperspectral imagery have been attempted. In particular, airborne hyperspectral imagery is composed of hundreds of bands with a narrow band width and high spatial resolution, and thus may be more effective in coastal areas than estimation of CHL through conventional satellite image. In this study, comparative analysis of hyperspectral and satellite-based CHL images was performed to estimate CHL in coastal areas. As a result of analyzing CHL and seawater spectrum data obtained by field survey conducted on the south coast of Korea, the seawater spectrum with high CHL peaked near the wavelength bands of 570 and 680 nm. Using this spectral feature, a new band ratio of 570 / 490 nm for estimating CHL was propos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between band ratio and the measured CHL were generated new CHL empirical formula. Validation of new empirical formula using the measured CHL showed valid results, with R<sup>2</sup> of 0.70, RMSE of 2.43 mg m<sup>-3</sup>, and mean bias of 3.46 mg m<sup>-3</sup>. As a result of applying the new empirical formula to hyperspectral and satellite images, the average RMSE between hyperspectral imagery and the measured CHL was 0.12 mg m<sup>-3</sup>, making it possible to estimate CHL with higher accuracy than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s. Through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accurate and precise spatial distribution information of CHL in coastal areas by utilizing hyperspectral imagery.

      • KCI등재

        GOCI와 Landsat OLI 영상 융합을 통한 적조 탐지

        신지선,김근용,민지은,유주형,Shin, Jisun,Kim, Keunyong,Min, Jee-Eun,Ryu, Joo-Hyung 대한원격탐사학회 2018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4 No.2

        광역범위에 대한 적조의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위하여 원격탐사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다양한 센서 중 해색 센서만을 위한 적조 탐지 알고리즘 개발에만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기반 적조 모니터링의 한계로 지적되고 있는 탁도가 높은 연안역의 적조 탐지와 원격탐사 자료의 부정확성을 개선하고자 다중센서의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립수산과학원 적조속보 정보를 바탕으로 적조 발생해역을 선정하였고, 해색 센서인 GOCI 영상과 육상 센서인 Landsat OLI 영상을 이용하여 공간적인 융합과 분광기반 융합을 시도하였다. 두 영상의 공간 융합을 통하여, GOCI 영상에서 관측 불가능하였던 연안지역의 적조와 Landsat OLI 영상의 품질이 낮았던 외해역의 적조 모두 개선된 탐지결과 획득 가능하였다. Feature-level과 rawdata-level로 나누어 진행된 분광 융합 결과, 두 방법에서 도출된 적조 분포 양상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feature-level 방법에서는 영상의 공간해상도가 낮을수록 적조 면적이 과대추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Linear spectral unmixing 방법으로 픽셀을 세분화한 결과, 적조 비율이 낮은 픽셀의 수가 많을수록 적조 면적의 차이는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awdata-level의 경우Gram-Schmidt가 PC spectral sharpening 기법보다 다소 넓은 면적이 추정되었지만,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색 센서와 육상 센서의 공간 융합을 통해 외해뿐만 아니라 탁도가 높은 연안의 적조 역시 탐지가 가능함을 보여주었고, 다양한 분광 융합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적조 면적 추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한반도 주변의 적조를 더욱 정확하게 탐지하고, 적조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대응대책 수립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확한 적조 면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efficiently monitor red tide over a wide range, the need for red tide detection using remote sensing is increasing.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red tide detection algorithm for ocean colour sensor.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use of multi-sensor to improve the inaccuracy for red tide detection and remote sensing data in coastal areas with high turbidity, which are pointed out as limitations of satellite-based red tide monitoring. The study area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d tide information provided by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and spatial fusion and spectral-based fusion were attempted using GOCI image as ocean colour sensor and Landsat OLI image as terrestrial sensor. Through spatial fusion of the two images, both the red tide of the coastal area and the outer sea areas, where the quality of Landsat OLI image was low, which were impossible to observe in GOCI images, showed improved detection results. As a result of spectral-based fusion performed by feature-level and rawdata-lev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d tide distribution patterns derived from the two methods. However, in the feature-level method, the red tide area tends to overestimated as spatial resolution of the image low. As a result of pixel segmentation by linear spectral unmixing method, the difference in the red tide area was found to increase as the number of pixels with low red tide ratio increased. For rawdata-level, Gram-Schmidt sharpening method estimated a somewhat larger area than PC spectral sharpening metho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coastal red tide with high turbidity as well as outer sea areas can be detected through spatial fusion of ocean colour and terrestrial sensor. Also, by presenting various spectral-based fusion methods, more accurate red tide area estimation method is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will provide more precise detection of red tid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accurate red tide area information needed to determine countermeasure to effectively control red tide.

      • KCI등재

        터널 초미세먼지 제거차량의 흡진부 유동 제어

        신지선(Jiseon Shin),정다해(Dahae Jeong),정우태(Wootae Jeong)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8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4 No.9

        Tunnel Dust Cleaning Vehicle is recently being developed to remove the ultra fine dust particles exisiting in railway tunnel.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is vehicle can be influenced by the design of the electric precipitator and the dust suction struc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effective dust suction system for effective control of dust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In this paper, we have applied a dual cyclone filter as a prefilter in front of the electric precipitator, and verified the efficiency of the dust particle collection by controlling the design parameters through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nalysis of ANSYS FLU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cyclone prefilter was able to collect most of fine particles less than PM100 after passing through the cyclone within 1.0 second. Therefore, when the particle flow is controlled using a dual cyclone filter, it is verified that various size of ultra fine particles can be selectively collected in the newly designed dust cleaning vehicle. The particle collecting system in the designed dual type cyclone prefilter can als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electronic precipitator and improve the life of the fine dust collecting system module in the dust cleaning vehicle.

      • KCI등재

        『걸리버 여행기』 번역에 나타난 교육적 목적의 변환 고찰

        신지선 ( Ji Sun Shi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6 동화와 번역 Vol.11 No.-

        This research aims to confirm Pedagogical Shift occurring in the translation of Gulliver`s Travels. The text has been transferred from adult to children`s literature, which allows translators to delete the various elements regarded undesirable for children. The adjustment of the text to children by omitting many parts of the text i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goal in children`s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moral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children. It also provides children with an opportunity to grow a lifelong habit of reading. For these reasons, the translators of Gulliver`s Travels for Children excluded many scenes of the text, which indicates Translational Shift intended for pedagogical purpose. The omitted elements in the translation process include excretion, sexual activity, satire, complicated institution of human society, and unflattering characterization of adults such as atrocity, brutality, violence, relentlessness, etc. Those scenes are left out either for enhanced reading comprehension of children or young readers` mental welfare. In conclusion, the prevalent conception of children`s literature -a tool for education and emotional growth- dictates the translation process, which results in Pedagogical Shift in translating Gulliver`s Travels.

      • KCI등재

        학습자 중심의 번역 이론 교육

        신지선 ( Jisun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본 연구는 통번역 교육에서 이론적 요소가 통번역 능력 함양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확인하고 학습자 중심 교수법의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번역대학원 3학기에 재학 중인 학생 9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니즈를 조사하여 각 개인의 관심 주제를 중심으로 수업 내용을 확정하였다. 학생들은 관련 논문을 찾아 발표와 토론을 주도하였고 교수자는 조언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학생들에게는 본 수업에서 습득한 이론적 지식을 실제 통번역 연습에 적용할 수 있는 과제가 주어졌다.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이론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은 실무에 도움이 되는 이론의 효용을 체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강의계획안의 설계, 수업 자료의 준비, 수업 중의 활동 및 과제 등 수업 진행 방식을 단계별로 제시하여 향후 통번역 교수자들이 수업에서 이론을 지도하고자 할 때 참고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positive effects of theoretical elements on the development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competence in classroom,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To this end, nine students enrolled in the 3rd semester of the Graduate School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the specific needs of the students, and the topics of each class were decided based on the subject of each individual’s interest. Students led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by finding related papers, task was given to apply the theoretical knowledge acquired by the students in this class to the actual translation practice. Through these learner-oriented theory classes,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the utility of theories that were helpful in practi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design of the lesson plan, preparation of teaching resources, in-class activities and assignments, so that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structors can refer to it when they want to teach theories in class.

      • KCI등재
      • KCI등재

        HB+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OTP 인증

        신지선(Ji Sun Shin) 한국정보보호학회 2015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5 No.5

        OTP(One time password)는 금융거래 등 보안이 중요한 작업에 인증 수단의 하나로 널리 사용된다. 일반 비밀번호(password) 기반의 인증과 달리 비밀번호를 한번만 사용한다는 점에서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지만, OTP 카드 혹은 생성기를 가지고 있어야한다는 점에서 사용성에 제약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이 OTP 카드를 대체하여 코드 값을 생성하는 스마트 OTP(smart OTP)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스마트폰에 NFC 통신 기능을 더하여 근거리통신을 통해 코드 값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마트 OTP는 기존 OTP의 단점을 극복하여 OTP의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지니는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OTP 코드 값 유출 등의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경량 인증 프로토콜인 H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OTP 코드를 인증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유출 등으로 남용되는 코드를 구별하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방안의 효율성과 안전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스마트 OTP의 안전한 사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OTP(One time password) is widely used as an authentication method for financial and other security-sensitive transactions. OTP provides strong security since each password is used only one time while normal password-based authentications use passwords as long term secrets. However, OTP-based authentications relatively lack usability since they require users to hold an OTP card or generator. To overcome such a problem, smartphones start replacing OTP cards and such a method is called smart OTP. However, smart OTP inherits security vulnerabilities that smartphones hav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mart OTP authentication based on an extremely light authentication protocol called HB+. HB+ protocol is developed for low-cost devices and has small communication and computation costs. We present our solution and discuss its security, efficiency and practicality. Our contribution is providing a method to securely use smart OTP without losing its efficiency and usability.

      • KCI등재

        그림책 번역시 문장형태 변화의 필요성 고찰

        신지선 ( Ji Sun Shi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5 동화와 번역 Vol.10 No.-

        Children's books are often meant to read aloud to children by adults. Reading books to children will have lifelong impact on the child's learning experiences and developmental progress. It is particularly essential for the little children at an early age. Accordingly, the translators of picture books are advised to recognize the value of "speakability" of transla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translation methods employed by the Korean translators of children's literature to enhance speakability. In consideration of speakability, sentence types of ST(Source Text) need to be shifted when translating for children. An analysis of translated picture books showed that declarative sentences of ST were often changed into direct quotations or interrogative sentences, particularly, rhetorical questions. Compared with declative sentences, rhetorical questions for persuasion or emphasis have a more dramatic effect and add vividness to a story. Furthermore, the shift of sentence types in translation effectively changes the narrative point of view from third person objective to third person omniscient, which could provide children with more detailed information. Reading aloud to children encourages emotional bond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as well as children's linguistic development. To maximize the effect of this activity, the Korean translators tend to shift sentence types of ST when translating for children.

      • KCI등재

        GOCI를 활용한 한반도 주변해역 적조 감시 체계 연구

        신지선 ( Jisun Shin ),민지은 ( Jee-eun Min ),유주형 ( Joo-hyung Ryu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2

        위성기반 적조 탐지 알고리즘들은 특정 해역, 적조 종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한반도 주변해역의 빠르고 정확한 적조 감시를 위해서는 한반도 주변의 전 발생 해역과 다양한 적조 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변해역을 대상으로 GOCI 영상을 활용하여 적조 영역의 스펙트럼 특성과 위성기반 적조 탐지 알고리즘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조 종들의 클로로필 함량과 적조가 출현하는 해역의 탁도에 따라서 스펙트럼 특성이 달라졌다. 또한 기존 적조 탐지 알고리즘을 GOCI 영상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 임계값으로는 적조 영역 추출에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적조 종들을 클로로필 함량의 차이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적조 감시 체계를 제시하였다. 총5 단계를 거쳐 적조 영역과 비적조 영역을 구분하였으며, 적조 속보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 최종 추출된 적조 영역이 기존 알고리즘으로 추출된 영역에 비해 적절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적조 감시 체계를 활용한다면 한반도 주변의 모든 해역과 다양한 적조 종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감시로 인해 효율적인 적조 감시가 가능할 것이다. The satellite-based red tide detection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for specific occurrence waters and red tide species. However,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whole occurrence waters and various red tide species for quick and accurate surveillance of red tide around the Korean coastal waters. In this study, the comprehensive analyses involve the spectral features of red tide areas and the suitability of the satellite-based red tide detection algorithms used with GOCI in the Korean coastal waters. As a result,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chlorophyll content of red tide species and the turbidity of the waters where the red tide appeared. In addition, the previous red tide detection algorithm is applied to GOCI, an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the red tide area extraction as the existing threshold valu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red tide spec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chlorophyll content and a system for red tide surveillance was suggeste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red tide and non-red tide area through five steps. As a result of applying to GOCI, the red tide was appropriately extracted from the previous algorithm based on red tide breaking news. If such a red tide surveillance system is used, it will be possible to efficiently monitor red tide by quick and accurate surveillance of the whole occurrence waters around the Korean and various red tide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