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과학적 고찰을 통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방향 탐색

        신재한 ( Jae Han Shi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철학적· 윤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기존의 인성교육과 달리, 뇌과학적 관점에서 인성교육을 고찰함으로써 뇌교육에 기반한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삼위일체 뇌’라는 수직적 통합의 특징을 반영하고 학생의 두 뇌 발달 단계 및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 맞춤형 인성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 및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서 및 감정 조절 활동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긍정적인 정보를 지속적, 장기적으로 반복하여 제공해 줌으로써 학생들의 신념, 태도, 행동이 통합된 좋은 습관 형성은 물론, 올바른 가치관 및 자 아정체성을 확립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뇌교육에 기반한 인성교육은 인지적 측면이나 정 서적 측면의 단편적 인성 변화, 일상생활과 동떨어진 일시적 인성 변화 등 기존의 인성교육과는 달리, 신체· 인지· 정서의 통합적 관점에서의 인성교육을 실천함으로써 학생들 삶 속에서의 근본적인 의식 변화는 물론, 몸· 마음· 정신이 삼위일체 된 인격 형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explore implications of humanistic education based on brain-scientific aspect, not philosophical ethical perspective. We set the purpose of study: the direction of humanistic education based on brain-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umanistic education should be individualized in consideration of adolescent brain developmental stage and brain vertical feature called ‘the Trinity brain’. Second, the emotional regulation should precede for improvement of moral judgment ability and thinking skill. Third, to have sense of right value and to establish one’s identity we should provide positive information consistently in the long term. This study have a significance that the brain-education based humanistic education that focuses on physical·cognitive·mental integration, can bring changes in fundamental recognition, unlike existing education that brings transitory change, and form personality in integration of the Trinity of body·mind·sprit.

      • KCI등재후보

        Big6 모형의 단계별 읽기 전략을 통한 창의성 신장 방안

        신재한(Jae-han Shi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50 No.-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글 읽기 활동에 흥미와 관심을 갖고 적극적 감상 활동을 즐기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국어과 읽기 영역 수업 과정에 BIG6 모형의 단계별 읽기 전략을 적용하여 창의성을 길러주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문학작품의 글을 읽고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BIG6 모형의 단계별 읽기 전략 수업을 실시해야 한다. 둘째, BIG6 모형의 단계별 읽기 전략 수업은 국어 교과 외에도 다른 교과에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읽기 능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창의성도 신장시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he students increase their creative thinking abilities by applying the stepwise reading strategy of the Big6 Model to Korean reading classes so that they would be encouraged to take interest in reading activities and enjoy active appreci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is required to incorporate the stepwise reading strategy of the Big6 Model into classes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read literary works and enhance their creativity; and secondly, the stepwise reading strategy of the Big6 Model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subjects as well as Korean, thus helping the students increase their reading skills and creativity. The conclusions led to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first, there is a need to explore ways to help the students increase their creativity through the stepwise reading strategy of the Big6 Model as they read a variety of texts that convey information or try to persuade the readers in addition to literary works such as poems and stories; and secondly, it is needed to combine qualitative study with quantitative study that tests the degree of creativity enhancement through the stepwise reading strategy of the Big6 Model with a measuring instrument.

      • KCI등재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이 청소년의 인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신재한 ( Jae Han Shin ),권택환 ( Taeg Hwan Kwon ),강윤정 ( Yun Jeong K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4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올바르고 건전한 인성을 함양하고 자신의 삶을 독립적이고 창조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함 으로써 청소년들의 인성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본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5년 1월부터 11월까지 벤자민인성영재학교 재학생 376명(남학생 216명, 여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KEDI 인성지수 즉, 자기존중, 성실, 정직·용기, 지혜, 자기조절, 예의, 정의, 배려·소통, (사회적)책임, 시민성 등 10개 영역, 70개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회성에 그치는 기존의 인성프로그램과는 달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인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은 교과, 창의적체험 활동 등 교육과정 시간뿐만 아니라, 학교 행사, 방과후학교 등 교육과정 외 시간에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보다는 체험활동 형태의 수업뿐만 아니라, 플립러닝(Flipped Learning)형태의 수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n the index of adolescents’ personality by developing and applying personality-education based on braineducation cultivating the right and sound personality and making their lives independent and creative. The study was conducted to 376 enrolled students(216 male, 160 female) in Benjamin School for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aim of the study from January, 2015 to November, 2015.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testing tools are used that are composed of 70 items regarding the ten aspects in the KEDI personality index, such as self-respect, sincerity, honesty, courage, wisdom, self-regulation, manners ,justice, consideration, communication, social responsibility, citizenship, etc.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like the established one-time personality program, the personality-education based on brain-education needs to be developed and applied to conduct the education consistently. Second, it needs to be employed not only in the curriculum such as subjects, creative-activities, etc but also in the other extra hours such as school events, after-school programs, etc. Third, to maximize its effect, not only courses of hands-on activities, but flipped learning course needs to be implemented rather than one-way lecture courses.

      • KCI등재

        장애 유형별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신재한 ( Jae Han Shin ),권택환 ( Taeg Hwan Kw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KADO-WAH 3.0``이라는 웹 접근성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특수학교 및 장애 유형별로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평가함으로써, 장애 유형별 웹 접근성 준수율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특수학교 중에서 장애 유형별로 시각 장애 6개 학교, 청각 장애 9개 학교, 정신 지체 장애 8개 학교, 지체부자유 장애 8개 학교, 발달 장애 18개 학교, 중복 장애 6개 학교 등 총 55개 특수학교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한국형 웹 접근성 지침((KWCAG 1.0) 총 4개 영역 18개 항목 중에서 자동적으로 평가 가능한 9개 항목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KADO-WAH 3.0``의 평가마법사를 이용하여 국내 특수학교 홈페이지를 한국형 웹 접근성 지침을 적용하여 깊이 제한 10, 최대 페이지 수 100으로 설정하여 웹 접근성 준수 여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준수율을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장애 유형별 특수학교에 따라 웹 접근성 영역 및 항목별로 준수율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낮은 웹 접근성 준수율을 보이는 영역 및 항목을 우선적이고 집중적인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 유형별로 특수학교의 웹 접근성의 평균 준수율은 다른 장애 유형 특수학교에 비해, 시각 장애 학교, 청각 장애 학교, 지체부자유 장애 학교에서 웹 접근성 준수율이 낮게 나타났기 때문에, 장애 유형별 특수학교에 따른 맞춤형 웹 접근성 지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인 등이 비장애인 등과 동등하게 특수학교 홈페이지에 접근하여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연 1회 이상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준수율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확인하는 행 ? 재정적인 지원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홈페이지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설계자 및 운영자, 웹 콘텐츠를 개발하는 개발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특수학교 홈페이지에 관한 웹 접근성 향상 국가표준 기술 가이드라인 및 매뉴얼을 개발하고 안내해 주어야 한다. In this study, ``KADO-WAH 3.0`` using a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tool, special schools across the country, by type of disability can assess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The issue of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rate by disability type should be derived as well as suggestion of concrete ways to improve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hieve national special schools by types of disability among the following: six schools for the blind, nine schools for the deaf, eight schools for those with handicap, eight schools for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18 schools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ix for those with multiple disabilities. A total of 55 special education school on the home page of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KWCAG 1.0). A total of 18 entries from four regions sentence fragment automatically rate and were available only for nine items. Specific evaluation methods ``KADO-WAH 3.0`` which is the wizard of the ratings using the local special school for the Korean web site accessibility guidelines limit the depth of ten. The maximum number of pages to 100 were to assess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hi conclusion, this study of a special school site improvement plan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when present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eb accessibility disability in special schools by type and by topic area, because they had much of a difference in compliance,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seems to lower the priority areas and topics, and require intensive modification and supplements. Second, the failure of the special schools by type of Web access to a special school, the average compliance rate compared to other types of disability, blind schools, deaf schools, and school failure in handicapped appeared lower because of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disability type customized according to a special school.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web accessibility guideline. Third, regardless of the handicapped or not, they are equally free to access to the site and constantly checking the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once a year and to identify the row. Financial support measures must be taken. Fourth, the web site is designed and operated by designers and operators, developers of Web content to the site required a special school o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and the Manual of Standards and Technology to enhance national development that should guide you.

      • KCI등재

        SWOT분석을 활용한 사이버가정학습 활성화 방안 탐색

        신재한(Shin Jae-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SWOT 분석법을 활용하여 사이버가정학습 내부 역량의 강점 요인과 약점 요인, 외부 환경의 기회와 위협 요인을 분석하고 SWOT 분석 매트릭스 (matrix)를 활용함으로써 사이버가정학습 활성화 전략 및 방안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내부 역량 요인의 강점/약점 요인과 외부 역량 요인의 기회/위협 요인을 잘 분석해야 한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을 실제적 운영하는 튜터의 성별, 튜터 지원 동기, 튜터 담당 교과 등 튜터 배경변인별로 차별화된 사이버가정학습 활성 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내부 및 외부 역량 요인 외에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내부 및 외부 역량 요인을 좀 더 탐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확하게 탐색하기 위해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통계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strateg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WOT analysis matrix and to analyze the internal factors (strength and weakness) and external factors (opportunity and threat)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through SWOT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 factors (strength and weakness) and external factors (opportunity and threat) of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should be analyzed to activate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Second, differentiating methods of using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should be explored according to the tutor s background variables (sex, application motive, subject, etc.)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ther internal factors (strength and weakness) and external factors (opportunity and threat) offer cyber home learning system, except factors in this study, need to be explored. Second, regression analysis is needed to explore which factors exactly influence the revitalization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 KCI등재

        중학생의 뇌기반 맨발리듬트레이닝 체험을 통한 신체 및 심리·정서적 변화에 대한 연구

        신재한(Shin, Jae Han),김동화(Kim, Dong Hwa),김태훈(Kim, Tae Hun)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3

        목적: 본 연구는 뇌기반 맨발리듬트레이닝 체험을 실시한 중학생들이 경험한 사례를 연구하여 뇌기반 맨발 리듬트레이닝이 향후 청소년들의 신체 및 심리·정서적 측면의 건강의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학교체육교육 현장의 개선에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뇌기반 맨발리듬트레이닝 체험을 준비운동 10분을 포함하여 하루 40분, 8주 간 주 4회 이상 실시한 D광역시 G중학교 1학년 10명, 2학년 10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변화의 기록과 심층면담을 분석한 결과 체중 및 복부비만 감소, 체력향상, 면역지수 향상, 피부질환 개선, 발바닥 및 발목 통증 개선, 수족냉증 개선, 무릎, 허리, 목 등의 통증 개선, 비염 및 소화불량 개선으로 나타났다. 심리·정서적 변화 경험으로는 신체활동에 대한 자신감 향상, 집중력과 성취감 향상, 수업태도의 긍정적 변화, 끈기와 인내심 향상, 가족과 교사 및 교우 관계 개선, 학업스트레스 해소 및 불면증 개선 등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gain implications on how brain-based barefoot rhythm training affects the improvement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health of teenagers in the future and how it would be used to improve school sports education fields. Methods: This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the ca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conducted brain-based barefoot rhythm training experience.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here 10 first and second graders of G Middle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conducted brain-based barefoot rhythm training experience 40 minutes a day, including 10 minutes of warm-up exercise, more than 4 times a week for 8 week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cords of experiment and in-depth interviews of the 20 study participants showed reduced weight and abdominal obesity, improved physical fitness, enhanced immunity, improved skin disease, improved foot and ankle pain, improved hands and feet coldness, relieved knee, waist, and neck pain, improved rhinitis and digesti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 experiences included improving confidence in physical activities, improving concentration and achievement, positive changes in class attitudes, improving persistence and patience, improving family, teacher and friendship, relieving academic stress, and improving insomnia. Case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included improved confidence in physical activities, improved concentration and achievement, positive changes in class attitudes, improved persistence and patience, improved family, teacher relations and friendship, and reduced academic stress and insomnia.

      • KCI등재

        중앙교수학습센터 지식교류 서비스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수업컨설팅 지원 방안 탐색

        신재한(Shin Jae Ha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68 No.-

        본 연구는 중앙교수학습센터의 지식교류 서비스의 질의응답을 분석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궁금해 하는 수업과 관련된 정보 교환 내용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수업 컨설팅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 4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전국 규모의 중앙교수학습센터(http://www.edunet4u.net)의 지식교류 서비스의 ‘묻고답하기’ 게시판에 탑재된 2,252개의 글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탑재된 질의응답 중에서 불성실하거나 관련없는 질의응답 12개를 제외한 2,240개를 대상으로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교과 및 수학 교과에 대한 집중적인 수업 컨설팅 지원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고등학교 1학년에 대한 집중적인 수업 컨설팅 지원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교사들에게 수업 실행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교원 양성 기관에서도 수업 실행을 중점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넷째, 국어 교과와 영어 교과는 ‘수업 설계’ 영역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수업 컨설팅을 실시하고 수학 교과, 사회 교과, 과학 교과는 ‘지식’ 영역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수업 컨설팅을 실시하는 교과별 맞춤형 수업 컨설팅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효과적으로 교수 자료 개발 및 선정을 위한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교수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야 한다. 여섯째, 과학 교과는 교과 내용 지식(PCK)에 대한 수업 컨설팅을 강화하고, 다른 교과는 ‘수업기술’의 다양한 방법에 대한 수업 컨설팅을 강화해야 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knowledge of Central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Its purpose is to answer questions by analyzing the flow of services of school teachers who are intrigued by the exchange of information related to teaching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nd tendencie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onsulting and teaching. The presentation of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nguage and math course intensive consulting support for the plan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high school for one year of support and intensive consult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eachers organize classes to perform efficiently and effectively by developing a teacher training program, as well as in teacher education classes by practice focused on running training courses. Fourth, Education and English languag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 focuses on the area to support teaching and consulting, implementation and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education and knowledge focusing on areas to conduct a project to support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Instructional Consulting by developing a custom. Fifth, the effective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to take advantage of efficient teaching materials database (DB) should be built. Sixth, the science curriculum and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PCK) to strengthen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other subjects teaching skills classes in a variety of ways of consulting should be strengthened.

      • KCI등재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재한(Jae-Han Shin),김혜선(Hye-Seon Kim),김진아(Jin-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두뇌 특성 및 기제를 고려하고 뇌과학에 근거한 뇌교육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단기간의 캠프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초등학생 4, 5, 6학년을 대상으로 2박 3일 동안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2017년 2월 3일부터 5일까지 6학년 45명, 2017년 2월 22일부터 24일까지 4, 5학년 56명, 총 101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은 뇌체조, 호흡, 명상을 통해 학습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 중에서 ‘브레인스크린(Brain Screen)’이라는 심상훈련을 통해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을 통해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와 학습동기를 부여함으로써 ‘내 공부는 내가 한다’ 라는 자기주도적 공부철학을 확립시킬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ttitudes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pplying a brain education-based learning program based on brain science in the form of a short term camp in consid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rain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 5, and 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brain training based learning camp program was conducted for two nights and three days. The camps were conducted twice from February 3 to 5, 2017 with 45 students from grade 6 and from February 22 to July 24, 2017, with 56 students from grades 4 and 5, 101 students in total.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brain education-based learning camp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First, the brain education-based learning camp program can increase the learning concentration through brain gymnastics, breathing, and meditation. Second, brain training called "Brain Screen" among the brain education-based learning camp program can improve the brain ability of memory. Third, it can establish a self - directed learning philosophy of "My study is done by me" by giving reason and motivation to study through the brain education-based learning camp program.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 교육과정의 개정과 교과서 구성 방안 탐색

        신재한(Shin, Jae-Ha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8 교육연구 Vol.44 No.-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제 7차 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특징을 먼저 살펴보고, 그에 따른 국어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운영실태, 국어 교과서의 구성 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국어 교육과정 개정 방향과 국어 교과서 구성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국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정에 개선 방안을 제시함은 물론,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아무리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교육과정과 교과서라 할지라도,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적용되어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첫째, 교사는 국어 교과서를 재구성할 수 있는 안목과 식견이 있어야 한다. 둘째, 텍스트 위주의 교과서가 아닌 동영상, 소리, 그림, 사진 등이 포함된 멀티미디어식 전자교과서의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유⋅초⋅중⋅고등학교의 실질적인 국어 교육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은 현 실정에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이 중복되지 않고, 위계성에 벗어나지 않도록 국어 교육과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과정 및 교과서 운영에서 도출되는 문제점을 수정⋅보완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교육과정 개정이 아닌, 상시적인 교육과정 개정⋅운영이 필요하다. The study presented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Seven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subjects for the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problems & operational state and composition system respective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aimed to suggest efficient and desirable revision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composition methods of the textbooks and to provide some concrete improvement measure for the areas and concerned implications. However efficient and desirable curriculums and textbooks may be, their educational goals will not be attained unless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met first; first, the teacher should have the eyes and insight to reorganiz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Second, they should introduce multimedia-based electronic textbooks containing moving images, sound, pictures, and photos beyond text-based ones. Third, it's a sad fact that there are no connections found among the practical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rom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o middle and high school. The curriculum must be revised so that the contents won't be overlapped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escape the intended hierarchy. Fourth, the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all the time rather than once in a while to identify, correct, and supplement the problems with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