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목표지향 활동중심 통합단원의 설계 및 적용 방안 탐색

        신재한 ( Jae Han Shi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4 통합교육과정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수업 목표를 분석하고 추출한 후 Fogarty가 제시하는 통합 유형, 즉 분절형, 연결형, 동심원형, 계열형, 공유형, 거미줄형, 선형, 통합형, 몰입형, 네트워크형 등을 활용한 목표지향 활동 중심 통합 단원을 설계하고 효율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참고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서 교육과정 통합 유형 중에서 목표지향 활동 중심 통합 단원을 설계하기에 가장 적합한 통합 방법(Fogarty 교육과정 통합)을 선정한 후, 그에 따른 구체적인 목표지향 활동 중심 통합 단원을 설계하고 D광역시 H초등학교 4학년 교사 7명과 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 지향 활동 중심 통합 단원은 교사와 학습자가 공동으로 통합 단원의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도달에 가장 적합한 활동을 중심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목표지향 활동 중심 통합 단원의 수행평가는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를 실시하므로 학생 개인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는 발달적 평가관을 지향한다. 셋째, 목표 지향 활동 중심 통합 단원은 학생들의 통합적 사고력을 함양하는 것은 물론, 학생 수준 및 능력에 적합한 맞춤형 개별화 교육이 가능하다. This study analyzed and abstracted class goals required by the curriculum, and aims to design goal-oriented, activity-based integrated units by using Fogarty’s integration types such as segmental, connected, concentric circle, sequenced, sharing, spider-webbed, linear, integrated, immersed and networked typ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of all, selected the most suitable integrate way (Fogarty curriculum integration) to design the goal-oriented activity-based integrated units of curriculum integration types through the analysis the references and the present studies, after that designed the specific goal-oriented activity-based integrated units and applied to 7 fourth grade teachers and 208 students of H Elementary School in D Metropolita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by teacher and students share the goal and reconstruct expeditious activities, goal-oriented activity-based integrated units can maximize the effect of instruction. Seco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goal-oriented activity-based integrate units orients developmental viewpoints which is to measure the degree of students’ individual improvement because of being conducted process-oriented performance evaluation. Third, goal-oriented activity-based integrated units make it possible to appropriate individualized education to students’ levels and their abilities as well as to develop students’ integrative thinking skill.

      • KCI등재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재한(Jae-Han Shin),김혜선(Hye-Seon Kim),김진아(Jin-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두뇌 특성 및 기제를 고려하고 뇌과학에 근거한 뇌교육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단기간의 캠프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초등학생 4, 5, 6학년을 대상으로 2박 3일 동안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2017년 2월 3일부터 5일까지 6학년 45명, 2017년 2월 22일부터 24일까지 4, 5학년 56명, 총 101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은 뇌체조, 호흡, 명상을 통해 학습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 중에서 ‘브레인스크린(Brain Screen)’이라는 심상훈련을 통해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을 통해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와 학습동기를 부여함으로써 ‘내 공부는 내가 한다’ 라는 자기주도적 공부철학을 확립시킬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ttitudes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pplying a brain education-based learning program based on brain science in the form of a short term camp in consid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rain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 5, and 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brain training based learning camp program was conducted for two nights and three days. The camps were conducted twice from February 3 to 5, 2017 with 45 students from grade 6 and from February 22 to July 24, 2017, with 56 students from grades 4 and 5, 101 students in total.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brain education-based learning camp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First, the brain education-based learning camp program can increase the learning concentration through brain gymnastics, breathing, and meditation. Second, brain training called "Brain Screen" among the brain education-based learning camp program can improve the brain ability of memory. Third, it can establish a self - directed learning philosophy of "My study is done by me" by giving reason and motivation to study through the brain education-based learning camp program.

      • KCI등재

        교육연구논총 :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활용한 과제분담협동학습(Jigsaw) 모형 개발 및 적용 탐색

        신재한 ( Jae Han Shi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논총 Vol.35 No.2

        본 연구에서는 다중지능이론과 과제분담협동학습의 개념 및 유형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먼저 살펴 본 다음, 다중지능(MI)이론을 활용한 과제분담협동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교수·학습안을 제시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과제분담협동학습 모형의 특징은 첫째, 다중지능이라는 기준을 제시하여 다중지능별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한 과제분담협동학습을 설계하였다. 둘째, 기존의 과제분담협동학습은 형식적이고 추상적이며 학생들이 흥미를 끌지 못하는 협동학습이 되기 쉬우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과제분담협동학습은 학생들이 쉽게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다중 지능의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활동할 수 있다. 셋째,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과제분담협동학습(Jigsaw) 모형은 모집단의 과제 분담 활동, 다중지능 유형별 집단구성에 따른 전문가 활동, 동료 교수 및 질의응답, 퀴즈(STAD평가), 수준별 선택활동 등의 과정을 거친다. 넷째,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과제분담협동학습(Jigsaw) 모형은 학생들의 심화된 지식을 학습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초등학교 고학년 또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하고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등 주지교과 중심으로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이, 살펴 본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과제분담협동학습은 하나의 예시이므로, 교사는 학생의 능력·적성·수준·특성, 각 교과의 특성, 교실 환경 및 여건 등을 고려하여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s and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 (MI) theory and the Jigsaw Model.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we used MI theory to develop the Jigsaw Model. This study proposes that using the MI theory, the Jigsaw Model has the characteristics in the following sentences. First, the Jigsaw Model was designed by a group of experts, who utilized the MI theory to create a standard. Second, while the current collaborative learning models are formal and abstract, the current models do not easily garner the interest of students. The collaborativelearningmodel, designed by experts using the MI theory, can more easily interest students. Third, the Jigsaw Model, by utilizing the MI theory, helps in procedures, such as problem solving, expertise, quizzes (STAD evaluation), and multiple intelligence. Fourth, the task divisi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as applied to cooperative learning (Jigsaw) model, because the purpose is to study the in-depth knowledge of a student`s appropriate effectiveness for elementary school or of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pply their knowledge in subjects, such as language, math, social studies, and science. As of now, one example of using the MI theory of cooperative learning is sharing tasks. The teacher should describe the reconfigured abilities like the aptitude of students, levels,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and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conditions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reconfigured abilities.

      • KCI등재

        중앙교수학습센터 지식교류 서비스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수업컨설팅 지원 방안 탐색

        신재한(Shin Jae Ha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68 No.-

        본 연구는 중앙교수학습센터의 지식교류 서비스의 질의응답을 분석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궁금해 하는 수업과 관련된 정보 교환 내용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수업 컨설팅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 4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전국 규모의 중앙교수학습센터(http://www.edunet4u.net)의 지식교류 서비스의 ‘묻고답하기’ 게시판에 탑재된 2,252개의 글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탑재된 질의응답 중에서 불성실하거나 관련없는 질의응답 12개를 제외한 2,240개를 대상으로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교과 및 수학 교과에 대한 집중적인 수업 컨설팅 지원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고등학교 1학년에 대한 집중적인 수업 컨설팅 지원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교사들에게 수업 실행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교원 양성 기관에서도 수업 실행을 중점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넷째, 국어 교과와 영어 교과는 ‘수업 설계’ 영역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수업 컨설팅을 실시하고 수학 교과, 사회 교과, 과학 교과는 ‘지식’ 영역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수업 컨설팅을 실시하는 교과별 맞춤형 수업 컨설팅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효과적으로 교수 자료 개발 및 선정을 위한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교수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야 한다. 여섯째, 과학 교과는 교과 내용 지식(PCK)에 대한 수업 컨설팅을 강화하고, 다른 교과는 ‘수업기술’의 다양한 방법에 대한 수업 컨설팅을 강화해야 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knowledge of Central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Its purpose is to answer questions by analyzing the flow of services of school teachers who are intrigued by the exchange of information related to teaching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nd tendencie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onsulting and teaching. The presentation of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nguage and math course intensive consulting support for the plan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high school for one year of support and intensive consult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eachers organize classes to perform efficiently and effectively by developing a teacher training program, as well as in teacher education classes by practice focused on running training courses. Fourth, Education and English languag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 focuses on the area to support teaching and consulting, implementation and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education and knowledge focusing on areas to conduct a project to support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Instructional Consulting by developing a custom. Fifth, the effective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to take advantage of efficient teaching materials database (DB) should be built. Sixth, the science curriculum and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PCK) to strengthen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other subjects teaching skills classes in a variety of ways of consulting should be strengthened.

      • KCI등재후보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 프로그램 개발

        신재한(Shin, Jae-Ha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53 No.-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명화감상 활동 프로그램과는 달리, 특정한 관점에서 바라보는 미술감상 활동이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통한 지식의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단편적이고 분과적인 미술 감상 교육에 벗어나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음악, 미술, 체육 등 교육과정에서 경험할 수 없는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발달 단계 및 흥미, 적성 등에 적합한 통합적 미술감상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미술감상 활동 프로그램은 다양한 한국화를 읽고, 한국화로부터 배우는 시각적 학습(Visual learning), 시각적 사고력(visual thinking)과 시각적 의사소통(Visual communication) 등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을 발달시킬 수 있다. 셋째, 한국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분별력 있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며, 적절하고 의미있게 활용함으로써 창의적인 새로운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n appreciation activities program for famous paintings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hat would allow for the expansion of the students' knowledge through diverse activities. The intended program would differ from the existing programs of the same kind, which usually offer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from a certain perspective.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first, it dismisses the conventional fragmentary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at divides the disciplines and provides integrat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proper for the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interests, and aptitudes so that they can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that are not possible in the Korean, Math, Social Studies, Science, Music,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dividually. Secondly, the program of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develops visual literacy of the students. Visual literacy involves the students reading and learning from a range of Korean paintings and includes visual learning, visual thinking, and visual communication. Finally, the program gives the students a chance to develop a right understanding of Korean paintings, accept them in a discreet and critical manner, and utilize them in an appropriate and meaningful fashion, thus engaging in new and original creative activities.

      • KCI등재

        숲생태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뇌파 및 두뇌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신재한(Shin, Jae-Ha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숲생태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뇌파 및 두뇌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숲생태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교육학 박사, 숲생태 체험활동 전문가 등 2명의 검증과정을 거쳐 수정 및 보완하였다. 특히, 개발된 프로그램은 K도 D어린이집에 등원하는 만4세 유아 27명을 대상으로 34주 동안 주5회 매일 1일 3시간씩 숲생태 체험활동을 실시하였고, 사전-사후로 구분하여 뇌파 및 두뇌활용능력 검사를 통한 효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숲생태 체험활동 프로그램은 집중력향상, 문제해결력 향상, 좌우뇌의 균형된 발달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두뇌 기능 활성화 및 두뇌 계발에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숲생태 체험활동 프로그램은 스트레스 해소, 불안 및 긴장 완화, 심리적 안정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정서 지능(EQ) 계발에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forest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on brain wave and brain utilization ability of infants. In order to develop forest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i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a verification process by a Ph.D. in education and two experts in forest ecological experience. In particular, the developed program conducted three-hour forest ecological experiences 5 times per week for 27 four-year-old infants D day care center in K-do for 34 weeks, and was divided into pre- and post- tests to verify effectiveness of program on brain wave and brain utilization abili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forest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is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balanced development of left and right brains, so it can be used as a useful program for activation of brain function and brain development. Second, forest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can be used as a useful program for emotional intelligence (EQ) development because it is effective in relieving stress, relieving anxiety and tens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 초·중등교원 대상 STEAM 융합교육 인식 조사

        신재한(Shin, Jae-ha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3 학습과학연구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 성별, 교직경력, 연령, 학교규모, 영재교육 담당 경험, STEAM 융합교육 인식 정도 및 연수경험, STEAM 융합교육 수업설계 및 적용유무 등 초중등 교원 배경 변인별 인식 차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STEAM 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과 향후 STEAM 융합교육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효과적인 STEAM 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STEAM 융합교육 연수 이수 여부에 따른 맞춤형 STEAM 융합교육의 목적을 설정하고 교원의 전문성을 확보하며 활성화 방안 모색해야 한다. 둘째, 학교급이나 STEAM 융합교육 수업설계 경험에 따른 맞춤형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STEAM 융합교육 연수 프로그램은 교육과정 재구성 및 설계 능력과 STEAM 융합교육에 대한 교과 지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융합교육 연수 이수 여부, STEAM 융합교육 수업설계 경험 여부, 학교급 등 교원 배경변인에 따라서 STEAM 융합교육 방향이 다르므로, 교원 배경변인에 적합한 맞춤형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STEAM 융합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설문 조사 중심의 양적 연구와 더불어 참여관찰, 심층면접 등을 포함한 질적 연구 방법을 동시에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consider and establish effective STEAM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ie, the school level, gender, teaching experience, age, school size,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perception level of STEAM convergence education teaching training experience, whether teachers have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and application experience or not. To practice effective STEAM convergence education, the followings must be considered. First, we should set up the goal for the customized STEAM convergence educ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completion of the STEAM convergence education, ensure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earch for the activation plan. Second, we should need to develop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school level or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Third, STEAM convergence education training programs should be composed to develop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design skills and content knowledge about STEAM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 of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comple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STEAM convergence,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of STEAM convergence education, school level,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the appropriate customized STEAM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on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in order to the activation for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t needed to be conducted survey-based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including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 KCI등재

        인형극을 통한 예술중심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신재한(Shin Jae Han),남궁정도(Nam gung Jeong Do),김유(Kim You),박성수(Park Seong Su),조준범(Jo Jun Beom),이영미(Lee Young Mi),한주연(Han Ju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감성을 기반으로 융합적인 문제해결 과정을 통하여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인형극을 활용한 예술중심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형극을 통하여 예술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다. 둘째, 융합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초등학생의 융합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한다. 셋째, 개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을 통해 융합교육을 일반화시킨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형극을 활용한 예술 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에는 융합적 발문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인형극을 활용한 예술 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수업할 때에는 차시 중심이 아니라, 단원 중심의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상황 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 등의 수업 단계를 거쳐야 한다. 셋째, 인형극을 활용한 예술 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에는 교사 중심(1수준 융합), 교사와 학생의 연계(2수준 융합), 학생 중심(3수준 융합) 등 학생 능력 및 특성 등에 적합한 수준별 STEAM 융합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 STEAM converged education program and adapt it by using toy-drama for the purpose of manifesting creativeness through emotional basis converged problem solving methods. Specific study program is below. First, develop and adapt art-oriented converged education programs through toy-drama. Second, by adapting converged education programs, enlarge converged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ird, generalize converged education through adapting developed program at the schoo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For adaptation of art-oriented converged education program through toy-drama use effectively converged epilogue. Second, take procedure step when educate art-oriented converged education program not by time base but by unit base program design which contained status indication, creative design, emotional experience. Third, when using art-oriented converged education program, STEAM converged education must be done at a suitable to level and ability of students, such as, teacher- centered(1st class convergence), teacher-student relayed(2nd class convergence), student-centered(3rd class convergence).

      • KCI등재

        SWOT분석을 활용한 사이버가정학습 활성화 방안 탐색

        신재한(Shin Jae-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SWOT 분석법을 활용하여 사이버가정학습 내부 역량의 강점 요인과 약점 요인, 외부 환경의 기회와 위협 요인을 분석하고 SWOT 분석 매트릭스 (matrix)를 활용함으로써 사이버가정학습 활성화 전략 및 방안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내부 역량 요인의 강점/약점 요인과 외부 역량 요인의 기회/위협 요인을 잘 분석해야 한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을 실제적 운영하는 튜터의 성별, 튜터 지원 동기, 튜터 담당 교과 등 튜터 배경변인별로 차별화된 사이버가정학습 활성 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내부 및 외부 역량 요인 외에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내부 및 외부 역량 요인을 좀 더 탐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확하게 탐색하기 위해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통계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strateg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WOT analysis matrix and to analyze the internal factors (strength and weakness) and external factors (opportunity and threat)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through SWOT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 factors (strength and weakness) and external factors (opportunity and threat) of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should be analyzed to activate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Second, differentiating methods of using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should be explored according to the tutor s background variables (sex, application motive, subject, etc.)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ther internal factors (strength and weakness) and external factors (opportunity and threat) offer cyber home learning system, except factors in this study, need to be explored. Second, regression analysis is needed to explore which factors exactly influence the revitalization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 KCI등재

        중학생의 뇌기반 맨발리듬트레이닝 체험을 통한 신체 및 심리·정서적 변화에 대한 연구

        신재한(Shin, Jae Han),김동화(Kim, Dong Hwa),김태훈(Kim, Tae Hun)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3

        목적: 본 연구는 뇌기반 맨발리듬트레이닝 체험을 실시한 중학생들이 경험한 사례를 연구하여 뇌기반 맨발 리듬트레이닝이 향후 청소년들의 신체 및 심리·정서적 측면의 건강의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학교체육교육 현장의 개선에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뇌기반 맨발리듬트레이닝 체험을 준비운동 10분을 포함하여 하루 40분, 8주 간 주 4회 이상 실시한 D광역시 G중학교 1학년 10명, 2학년 10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변화의 기록과 심층면담을 분석한 결과 체중 및 복부비만 감소, 체력향상, 면역지수 향상, 피부질환 개선, 발바닥 및 발목 통증 개선, 수족냉증 개선, 무릎, 허리, 목 등의 통증 개선, 비염 및 소화불량 개선으로 나타났다. 심리·정서적 변화 경험으로는 신체활동에 대한 자신감 향상, 집중력과 성취감 향상, 수업태도의 긍정적 변화, 끈기와 인내심 향상, 가족과 교사 및 교우 관계 개선, 학업스트레스 해소 및 불면증 개선 등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gain implications on how brain-based barefoot rhythm training affects the improvement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health of teenagers in the future and how it would be used to improve school sports education fields. Methods: This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the ca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conducted brain-based barefoot rhythm training experience.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here 10 first and second graders of G Middle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conducted brain-based barefoot rhythm training experience 40 minutes a day, including 10 minutes of warm-up exercise, more than 4 times a week for 8 week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cords of experiment and in-depth interviews of the 20 study participants showed reduced weight and abdominal obesity, improved physical fitness, enhanced immunity, improved skin disease, improved foot and ankle pain, improved hands and feet coldness, relieved knee, waist, and neck pain, improved rhinitis and digesti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 experiences included improving confidence in physical activities, improving concentration and achievement, positive changes in class attitudes, improving persistence and patience, improving family, teacher and friendship, relieving academic stress, and improving insomnia. Case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included improved confidence in physical activities, improved concentration and achievement, positive changes in class attitudes, improved persistence and patience, improved family, teacher relations and friendship, and reduced academic stress and insom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