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媽祖信仰與道ㆍ佛關系硏究

        申?植(Shin, Jin-Sik) 한국도교문화학회 2013 道敎文化硏究 Vol.38 No.-

        마조신앙은 본래 중국 송대 복건 지역의 무격신앙을 기초로 해서 형성된 일종의 민간 신앙이다. 마조는 중국 민간 신앙에서 신봉하는 여신 중 하나로, 항해 안전의 수호신으로 출발하였다. 10세기 후반, 福建省 ?田縣 湄洲섬의 한 무녀에 지나지 않던 林默이라는 여성이 마조로, 그녀는 해안 지방 뱃사람들에게 항해 수호신으로서 신앙의 대상이 되었는데, 그것이 마조 신앙의 유래다. 이 신앙이 생성 초기에는 기본적으로 복건 지방의 민간 문화의 범주에 속하였다. 그런데 마조 신앙의 광범위한 사회적 영향력은 도교와 불교의 관심을 집중시키게 되었고 두 종교에 의하여 흡수되어 새롭게 창조되었다. 즉 사대부들이 이 민간종교에 개입하게 되면서 상층문화의 강렬한 영향을 받게 되었던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바로 도교와 불교의 침투를 받고 개조 되었던 것이다. 다른 각도에서 보면 마조신앙이 능동적으로 도교와 불교 사상을 흡수하여 한층 차원 높은 종교 신앙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바로 마조 신앙과 도교, 불교의 상호 융합의 과정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마조를 연구하는 많은 연구자들은 대부분 바람과 파도를 잠재우고 해상에서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보호신으로서의 역할에 주로 관심을 기울여 민간신앙 차원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런 까닭에 마조신앙과도·불문화의 밀접한 관계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도 미흡하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그동안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민간 신앙으로서의 마조신앙과 도교·불교 두 종교와의 상호 융합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먼저 기존의 연구 성과를 참고하여 민간 신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 중의 하나인 마조 신앙의 기원과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역사에 기록된 근거자료를 통해 마조가 생전에 미주도의 무녀로 성장했던 과정과 그녀가 사후 민간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받들어지게 된 과정, 그리고 국가적 관심의 대상이 된 상황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 나아가 문화인류학과 민간종교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마조신앙의 기초를 이루는 샤머니즘적인 요소와 마조신앙과 도교, 마조신앙과 불교의 상호 관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中国的妈祖与海洋文化关系研究

        申?植(Shin Jin Sik)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3 인천학연구 Vol.19 No.-

        媽祖신앙은 본래 중국 송대 복건 지역의 무격신앙을 기초로 해서 형성된 일종의 민간 신앙이다. 10세기 후반, 福建省 湄洲섬의 한 巫女에 지나지 않던 林默이라는 여성이 해안 지방 뱃사람들에게 항해 수호신으로서 신앙의 대상이 되었는데, 그것이 마조 신앙의 유래다. 이렇게 마조는 본래 항해의 수호신으로 섬겨졌으나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그것과 더불어 家內安全, 災厄退治, 立身開運 등 재난을 물리치고 안전과 이익을 보장해주는 만능신으로 승격되어, 중국 동남 연해부(福建, 廣東, 浙江), 산동, 천진, 동남아시아 및 일본 해안 일대에서 널리 신봉되고 있다. 마조에 관한 연구는 중국, 타이완, 일본 등의 국가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주로 마조의 탄생 설화 및 마조 신앙의 원류, 제사 활동, 마조 신앙과 사회와의 관계, 각종 마조묘에 관한 것에 집중되어 있는 편이다. 반면 한국에서는 마조에 대한 연구가 의외로 소홀한 셈이다. 한국에는 마조신앙이 활발하지 못한 데에 기인한 것이라는 생각된다. 하지만 중국의 전통적인 사회 질서 및 기층문화와 해양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조 신앙에 대한 이해가 필요불가결한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동안 중국에서도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민간 신앙으로서의 마조신앙이 어떠한 해양문화적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그 의의는 무엇인지를 집중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먼저 기존의 연구 성과를 참고하여 민간 신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 중의 하나인 마조 신앙의 기원과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역사에 기록된 근거 자료를 통해 마조가 생전에 미주도의 무녀로 성장했던 과정과 그녀가 사후 민간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받들어지게 된 과정, 그리고 국가적 관심의 대상이 된 상황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 나아가 문화인류학과 민간종교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마조신앙의 기초를 이루는 샤머니즘적인 요소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들을 바탕으로 마조 신앙의 해양문화로서의 발전 과정과 그 상징적 의의, 그리고 해양문화 정신을 살펴보았다. Mazu faith is a private faith of a kind that is formed based on the Shamanism of Song Dynasty China Fujian provinces original. Linmo woman named in the late 10th century, was just a priestess of Fujian Meizhou island has been the subject of faith as the guardian deity of the voyage sailors of coast, but it is the origin of Mazu faith. This Mazu had served as guardian of navigation originally, to this day, and promoted to the God of universal rejected the disaster Home safety, escape a disaster, such as success in life in addition to it, willing to ensure the interests and safety It is, it is faith in a widely coast region of Japan (Fujian, Guangdong, Zhejiang), Shandong, Tianjin, China and Southeast Asia Southeast coastal areas. Research on Mazu is actively deployed in China, Taiwan, and Japan. It is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society headwaters of faith Meizhou Island and birth narratives of Meizhou Island, ritual activities, and Mazu faith, are concentrated to those relating to Mazu Cont'd various mainly. On the other hand, in South Korea, research Mazu will be neglected unexpectedly. In Korea, it is due to Mazu faith was not active can be considered. However, i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ritime culture and fundamental culture and social order traditional Chinese understanding of Mazu faith is essential. In this paper, research is insufficient relative in China so far, Mazu faith as a private faith has what marine cultural element, I took up intensively its significance is the what. First, we examined the evolution and the origins of Mazu faith is one of those mainstream private faith by referring to existing research. I discussed the process of Mazu has grown to Miko Meizhou island before his death in the supporting materials that have been recorded in history. And she discussed the situation after the death, was the subject of national interest and the course that has been the subject of faith in the private sector.It was discussion of the elements shamanistic underlying witch faith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s of private religious studies and cultural anthropology further. I have described the spirit of maritime culture and symbolic significance, and its development process as a maritime culture witch faith based on these.

      • KCI등재

        방광요관역류를 가진 소아에서의 신초음파 소견

        최민정,박세진,재일,김기혁,Choi, Min-Jung,Park, Se-Jin,Shin, Jae-Il,Kim, Kee-Hyuck 대한소아신장학회 2012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6 No.1

        목적: 본 연구는 방광요관역류를 보이는 소아에서 신초음파 이상소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요로감염증으로 입원한 후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을 시행하여 방광요관역류를 진단받은 83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총 166 신단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소아 중 1세 미만의 평균 나이는 $3.1{\pm}2.56$개월이었고, 1세 이상의 평균 나이는 $58.9{\pm}43.01$개월이었다. 신초음파 이상소견을 보이는 신단위에서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경우는 73.9%였고, 신초음파 정상소견을 보이는 신단위에서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경우는 58.7%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9).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신초음파 이상소견이 있을 경우 방광요관역류가 있을 확률은 약 2배 증가하였다.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신단위에서 신초음파 정상소견을 보이는 경우는 52.8%, 피질음영증가 16.7%, 수신증 17.6%, 요관확장 8.3%, 수신증을 동반한 요관확장 1.9% 등이었다. 이 중 수신증(82.6%), 요관확장(100%), 중복요관(66.6%), 손상된 위축신(100 %)이 있는 경우 방광요관역류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결론: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신단위에서 신초음파 이상소견으로 방광요관역류의 중증도를 예측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으나 방광요관역류의 존재를 예측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므로 수신증, 요관확장 같은 신초음파 이상소견이 있을 시,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의 시행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nal ultrasonographic findings in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VUR).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83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VUR and underwent ultrasonography at Ilsan hospital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10. Results: Among 166 renal units, 108 (65.0%) were found to have vesicoureteral reflux (VUR). Fifty-one (73.9%) had VUR in renal units with abnormal ultrasonography (USG), whereas 57 (58.7%) had VUR in renal units with normal USG. Abnormal USG findings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VUR (Odds ratio, 1.98; 95% CI, 1.01-3.89; $P$=0.045). In renal units with VUR, the number of normal USG finding was 52.8%, and the abnormal findings were as follows; increased cortical echogenicity 16.7%, hydronephrosis 17.6%, megaureter or ureter dilatation 8.3%, hydronephrosis and ureter dilatation 1.9%, duplication of ureter 1.9%, and atrophic kidney 0.9%. The prevalence of VUR was relatively higher in renal units with hydronephrosis (23/19, 82.6%), ureter dilatation (9/9, 100%), duplication of ureter (2/3, 66.6%), and atrophic kidney (1/1, 100%). Conclusion: Our study indicates that VUR was associated with abnormal USG findings. When there are abnormal USG findings such as hydronephrosis, ureter dilatation, duplication of ureter, and atrophic kidney in children with UTI, VCUG is recommended to detect VUR after controlling UTI.

      • KCI등재

        뇌친화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영향

        재한 ( Jaehan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수평적 두뇌와 수직적 두뇌 통합이 가능한 뇌친화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D광역시 A중소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 25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뇌친화적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동질집단 사전-사후 검사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뇌친화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지 역량, 대인관계 역량, 전략적 역량 등 하위 역량과 전체 리더십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뇌친화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은 개인과 조직 리더십 역량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두뇌 특성을 고려한 전뇌 통합적인 리더십 역량을 향상할 수 있다. 향후 후속 연구는 기업체 직원의 직급에 적합한 맞춤형 뇌친화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는 효과성 검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rain-friendly 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that enable horizontal and vertical brain integration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brain-friendly leadership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25 employees working for A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D metropolitan city were designed by pre-post examination of homogeneous group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brain-friendly 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wer and overall leadership capabilities, such as cognitive capability, interpersonal capability, and strategic capability.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a brain-friendly 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not only improve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adership capability, but also improves overall brain-integrated leadership capability considering brain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rain-friendly 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suitable for the ranks of corporate employees in consider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era, and conduct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using brain imaging equipme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 SCOPUSSCIEKCI등재

        頭部放射線計測寫眞에 依한 正常咬合者의 中心咬合位와 下顎安靜位에 關한 硏究

        재의(Jae-Eui Shin) 대한치과교정학회 197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8 No.1

        The author compared and analysed the roentgenocephalograms of one hundred Korean adults with the normal occlusion (50 males and 50 females), which were taken on the centric occlusion and the rest position of the mandible respectively for every subject, and then researched the relations among the relaxed muscle of the mandible, lightly touched of the lips, and the position just after the swallowing of saliva, of which 38 among 50 males had the rest position of the mandible.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1. The anterior facial height increases more at the rest position of the mandible than at the centric occlusion, while the posterior facial height decreases. 2. The mandible moves more backward and downward at the rest position of the mandible than at the centric occlusion. 3. The facial procumbency and the incisor tooth inclination increases more at the rest position of the mandible than the centric occlusion in terms of the facial plane. 4.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at the rest position of the mandible and the centric occlusion in the meaning of variation. 5. There are no differences among the three methods from the view of lines and angles of the roentgenocephalogram.

      • KCI등재

        유아의 지능과 정서 지능의 관계

        申美里(Me Ree Shin),朴貞玉(Jung Ok Park) 한국영재학회 2003 영재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의 지능과 정서 지능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능의 수준과 성별에 따라 정서 지능이 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봄으로써 일반 아동 교육 및 효과적인 영재 교육과정의 개발과 구성을 위한 이해의 바탕을 시사받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 5, 6세 유아 104명을 대상으로 지능과 정서 지능의 관계 및 지능 수준과 성별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지능과 정서 지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능을 상중하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정서 지능 총점과 감정이 입, 정서 조절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의 정서 지능에서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여아가 남아보다 정서 지능 총점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각 하위 요인별로는 감정이입, 정서조절에서 여아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경우 지능과 정서 지능은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닌 서로 상보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능과 정서 지능이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ognitive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each subordinate factor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level of intelligence and gender. The subjects consisted of 104 children enrolled in a kindergarten in the Kangnam area. These children were given two tests, Multimensional Cognitive Abilities Tests for Children(MCAT-C) and Emotional Intelligence Test(E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intelligence(IQ)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re were some co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IQ) and regulation of emotion(the subordinate 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empathy, regulation of emotion(the subordinate 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intelligence level.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gender. Girls received relatively higher scores than boys in the total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empathy, regulation of emotion(subordinat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이 아동·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재한(Jae-Han Shin),김혜선(Hye-Seon Kim),김진아(Jin-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두뇌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 및 청소년의 흥미 및 적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물론, 진로성숙도를 함양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생 59명, 중학생 76명 등 135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4일부터 5일까지 1박 2일 동안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은 단순한 진로 탐색 및 체험위주의 프로그램이 아니라, 진로성숙도와 같이 직업의식을 함양하기 때문에, 아동 및 청소년의 건전한 직업관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통해서 아동 및 청소년 자신의 흥미 및 적성에 적합한 맞춤형 진로를 탐색하는 것은 물론, 진로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학교급별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진로성숙도 외에 다양한 진로 관련 변인들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계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rains and to identify the students" aptitude and interes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program for recognizing students" desired future careers. A total of 135 students (59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76 middle school adolescents) were surveyed for 2 days and 1 night. The study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proved effective in forming the constructive recognition for their future jobs because they could explore careers in the future and because they could raise their consciousness of perspectives on careers. Second, the program makes it possible to explore future jobs that are appropriate to them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and to enhance their career competencie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because more consideration is needed. First, the present research applied the same program to all student participants despite the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levels. Therefore, future research needs to involve elements that reflect their distinct psychological proficiency levels. Second, to show the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further studies need to focus on diverse dependent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the results other than their distinct psychological proficiency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