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Effect of Anatomical Axis and Mechanical Axis on Change of Posterior Tibial Slope Angle in PTO(Proximal Tibial Osteotomy)

        Eun-Ji Shin(신은지),Cheol-Woong Kim(김철웅),Ho-Sang Lee(이호상),Ji-Hoon Bae(배지훈),Joon-Ho Wang(왕준호),Jong-Woong Park,Dong-Joon Oh(오동준)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tibial posterior slope and introduce a mathematical model which calculate, through 3-dimensional analysis of the proximal tibia, how the angle of the opening wedge along the anteromedial tibial cortex influences the tibial posterior slope and valgus correction when performing a medial open wedge osteotomy. This mathematical model with navigation system can be guidelines which provide surgeons on preoperative and intraoperative measurements to maintain or correct the tibial slope and to obtain the desired valgus correction of the lower limb during an opening wedge osteotomy.

      • KCI등재

        키토올리고당 함유 해양심층수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신은지 ( Eun Ji Shin ),박정은 ( Jung Eun Park ),하병근 ( Byung Geun Ha ),조현정 ( Hyun Jung Cho ),이승희 ( Seung Hee Lee ),김미경 ( Mee Kyung Kim ),소명숙 ( Myung Suk So ),손윤희 ( Yun Hee Shon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12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 있어 지방세포 분화억제, 중성지방 생성 및 주요 전사인자인 PPAR-γ, C/EBP α와 GLUT4의 발현에 해양심층수 단독 또는 해양심층수와 키토올리고당의 혼합처리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해양심층수와 키토올리고당을 혼합 처리에 의해 억제활성이 증가함을 증명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Oil Red O 염색과 중성지방 측정을 실시하였고 Oil Red O 염색을 통해 지방세포 내 지방구의 양을 측정한 결과 해양심층수를 단독 처리한 세포에서 최대 42%, 해양심층수와 키토올리 고당을 혼합 처리한 세포에서 최대 70%의 지방구 감소율을 보였다. 또한 중성지방 함량에서도 해양심층수 단독 처리하였을 경우와 해양심층수와 키토올리고당을 혼합 처리하였을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요 전사인자인 PPAR-γ, C/EBP α와 GLUT4의 발현 억제를 확인하여 해양심층수와 이에 키토산을 처리하였을 때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전사인자들의 발현 양상은 해양심층수와 키토올리고당이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일어나는 지방축적 저하와 일치하여 분화관련 전사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하여 지방합성을 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해양심층수는 지방세포의 분화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이에 키토올리고당을 혼합 처리하였을 때 그 효과가 증대되었다. 해양심층수와 키토올리고당을 혼합 처리한 경우 이는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지방세포 분화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항비만 기능성으로서의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To determine effect of deep sea water (DSW) containing chitosan oligosaccharides (CO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we performed Oil Red O staining to visualize and quantify lipid accumulation in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s with the treatment of DSW alone or DSW containing COS. Both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lipid accumulation were inhibited with the DSW alone or DSW containing COS in 3T3-L1 adipocyte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amount of triglyceride (TG), an ester derived from glycerol and free fatty acids, in 3T3-L1 adipocytes was also decreased. Furthermore, expression of adipogenic gene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 α), major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glucose transporter 4 (GLUT4), a mature adipocyte marker, was decreased. These data suggest that DSW containing COS is more effective than DSW alone in inhibitory effe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 KCI등재

        공간구성의 조형 요소를 응용한 도자 조명연구 -제임스 터렐 작품을 중심으로-

        신은지 ( Shin Eun Ji ),정진원 ( Chung Jin W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공간에 대한 인식은 인간이 의식할 수 있는 사물들의 상호관계에서 시작되고 다시 인간의 신체감각에 영향을 준다. 우리는 이것을 인식할 때 개별적 요소로 지각하지 않고 종합적인 관계들로 인지하며 그것은 크기, 방향, 영역이라는 틀로 구성되어있다. 본 논문은 이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빛을 활용한 기존 작품들의 일반적 표현이 아닌 관람자에게 새로운 시각으로 다가갈 수 있는 표현방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즉, 이 연구는 기본적인 실용성과 더불어 공간의 구조를 보여주는 빛과 그것을 감각적으로 표현한 도자조명을 고찰하였으며, 공간-관람자-조명의 관계를 통해 인간의 감성을 자극시키는 현상학적 표현을 보여주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공간구성에 관련된 서적을 참고하였으며 구성 방법에 적합한 제임스 터렐의 작품 배경과 이론을 조사했다. 둘째, 내부 구성 방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인 조명을 조사하였다. 내용으로는 연구자가 표현 할 수 있는 적합한 조명을 찾기 위해 조명의 종류와 각각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또한 조명의 연출방법을 이용해 미리 구성한 공간구조에 시각적 호기심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찰하였다. 셋째, 조명과 함께 연구자가 보여주고자 하는 구성방식을 도자 재료로 표현하기 위해 투광성이 나타나는 종이 백자를 선택해 조명제작이 진행되었다. 결론으로 실증작의 전시를 통해 공간구조와 빛의 구성으로 인간의 시지각적 현상을 자극해 현상학적 경험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둘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숭고한 체험을 통해 인간 심리에 심미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시도를 통해 빛, 공간, 인간의 상호작용 속 감각적 경험과 새로운 도자 재료 표현의 지속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The perception of space begins with the interrelationships of things that humans can be conscious of and again affects the human body senses. We recognize this as a comprehensive relationship without being perceived as an individual component and it consists of a framework of size, direction, and area. This paper proposed the need for a method of expression to approach the viewer with a new perspective, not the general expression of the existing works that make up this and utilize the light. In other words, this study considered basic practicality as well as the light that shows the structure of space and the ceramic lighting that sensibly expresses it, and aims to show the phenomenological expression that stimulates human sensibilit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viewer-light. The methods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proceed with the work, we referred to books related to spatial composition and examined the background and theory of James Turrell's work suitable for the method of composition. Second, lighting, an important role in internal composition methods, was investigated. To find suitable lighting for the researchers to express, they looked at the type of lighting and its respective roles. In addition, various methods were considered to express visual curiosity in the pre-constructed spatial structure using the lighting method. Third, light production was carried out by selecting a paper white porcelain with floodplain to express the composition method that the researcher wanted to show with the lighting as a ceramic material. In conclusion, the exhibition of empirical works proved that the spatial structure and the composition of light can stimulate the visual phenomena of human beings to create a phenomenological experience, and confirmed that the noble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an have an aesthetic effect on human psychology. Through these attempts, we could see the sensory experience in light, space, and human interaction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expression of new ceramic materials.

      • 블루투스 연결 보안

        신은지 ( Eun-ji Shin ),이아람 ( A-ram Lee ),이하준 ( Ha-jun Lee ),이덕규 ( Deok-gyu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블루투스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블루투스 보안으로 블루투스의 링크키 인증 과정을 OTP 기능과 접목하여 실행하여 블루투스 재연결 인증 과정 취약점(BIAS)에 대해 보안을 강화한다.

      • KCI등재

        Ceriporia lacerata 균사체 배양물이 3T3-L1 세포에서 인슐린 신호 전달에 미치는 영향

        신은지(Eun Ji Shin),김지은(Ji-Eun Kim),Ji-Hye Kim,박용만(Yong Man Park),윤성균(Sung Kyoon Yoon),장병철(Byeong-Churl Jang),이삼빈(Sam-Pin Lee),김병천(Byoung-Cheon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6 생명과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항당뇨 효능이 확인된 Ceriporia lacerata 균사체 배양물 건조물(CL01)을 3T3-L1 세포에 인슐린과 병용 혹은 단독 처리하여 CL01이 세포 단계에서 인슐린 신호 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화된 3T3-L1 세포에서 포도당 흡수 정도를 측정한 결과, 인슐린과 CL01을 병용 처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포도당 흡수 정도가 증가하였고, 인슐린 부재 상태에서 CL01을 처리하였을 때는 포도당 흡수 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화된 세포에서 인슐린 신호 전달 관련 단백질 및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IRβ, Akt, PI3K, AMPK 단백질의 인산화가 진행되었고, GLUT4 mRNA 발현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를 통해 CL01이 당 대사 및 인슐린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유관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세포 내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diabetic effect of submerged culture of Ceriporia lacerata mycelium (CL01) on glucose uptake and the expression of mRNA and protein of major signal markers of insulin signaling pathway in 3T3-L1 adipocytes. After 3T3-L1 adipocytes were pre-treated by CL01 (0, 2, 10 ㎎/ml) for 8 hours, followed with treatment of insulin, the glucose uptake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by more 55.1%, 94.4% than negative control respectively (p<0.01, 0.001)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in case of CL01 pre-treatment without insulin, the glucose uptake did not increase compared with insulin-treated 3T3-L1. Also we demonstrated that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pIR β, pAkt, pPI3K and pAMPK and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GLUT4 in adipocytes inducing insulin resistance increased in CL01-treated group compared with negative control.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L01 affected glucose metabolism and the protein and gene expression through insulin signaling pathway, and increased glucose uptake levels effectively. More than 90% of those who have suffered for type 2 diabetes are more likely to have from hyperinsulinemia, hypertension, obesity and etc. because of altered insulin signaling pathway. So, it is probably considered that intake of CL01 may treat type 2 diabetes by normalization of insulin signaling pathway, and it will provide useful evidences regarding a mechanism for cure of type 2 diabetes.

      • 증강현실을 위한 객체인식 기술 성능 비교

        신은지(Eun-ji Shin),신광성(Kwang-seong Shi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1

        증강현실의 핵심기술은 객체인식기술이다. 최근 CNN등 다양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개발로 인하여 영상s에서 특정 객체를 효과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객체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기술이 확보되어야 더욱 현실감 있고 몰입감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SSD(single shot multibox detector)를 이용한 객체인식 모델과 YOLO를 이용한 객체 인식 모델의 비교평가를 수행하였다. The core technology of augmented reality is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such as CNN, it has become possible to effectively distinguish specific objects from images. It is possible to realize more realistic and immersive augmented reality contents only when technology for recognizing objects quickly and accurately is secured. In this study, an object recognition model using SSD (single shot multibox detector) and an object recognition model using YOLO were compared and evaluated.

      • KCI등재

        키토올리고당 함유 해양심층수의 포도당 흡수에 대한 효과

        신은지 ( Eun Ji Shin ),박정은 ( Jung Eun Park ),하병근 ( Byung Geun Ha ),소명숙 ( Myung Suk So ),손윤희 ( Yun Hee Shon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13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18 No.3

        골격근, 지방조직과 같은 말초 조직의 세포내 포도당 흡수의 조절단계는 GLUT 4, IRAP, STX 6, STX 16에 의한 세포내 포도당의 유입과정이며 이 과정은 인슐린 신호전달계에 의해 주로 조절된다. 인슐린 수용체에 인슐린이 결합한 후 IRS 1의 인산화가 증가되고 GLUT 4가 세포막으로 이동을 촉진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를 낮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3T3-L1 성숙지방세포에서의 포도당 흡수, 이 과정에 관련된 주요 전사인자인 GLUT 4, IRAP, STX 6, STX 16의 유전자 발현과 IRS 단백질의 인산화 반응에 대해 해양심층수 단독 또는 해양심층수와 키토올리고당 함께 처리 후 유전자 발현과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해양심층수와 키토올리고당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포도당 흡수에 대한 상승효과를 증명하였다. 포도당 흡수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해양심층수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해양심층수와 키토올리고당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경도 의존적으로 흡수가 증가하였으며, 포도당 수송 관련 인자인 GLUT4, IRAP, STX 6, STX 16의 유전자 발현과 IRS 1 단백질의 인산화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해양심층수와 키토올리고당을 함께 처리한 경우 해양심층수의 비교적 낮은 경도에서도 우수한 포도당흡수 촉진효과를 나타내어 키토올리고당 함유 해양심층수는 효과적인 항당뇨 기능성 소재으로서의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ep sea water (DSW) containing chitosan oligosaccharides (COS) on glucose uptake, we performed glucose uptake assay, RT-PCR and western blot in mature 3T3-L1 adipocytes with the treatment of DSW or DSW containing COS. Both DSW and DSW containing COS treatment increased glucose uptake in mature 3T3-L1 adipocytes. RT-PCR results revealed that the expressions of genes related to glucose uptake such as GLUT 4 for glucose transporter, IRAP for an abundant cargo protein of GLUT 4 storage vesicles (GSVs), Syntaxin 6, and Syntaxin16 for vesicle trafficking were increased. Moreover, the phosphorylation of IRS 1, which is an important signal molecule for insulin-dependent glucose uptake, was increased by DSW and DSW containing COS treatment in mature 3T3-L1 adipocyte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SW containing COS is more effective than DSW alone in stimulatory effect on glucose uptake.

      • KCI등재

        연구논문 : Lactobacillus sp. 균주를 이용한 산삼 배양근 발효물의 기능성 평가

        신은지 ( Eun Ji Shin ),조장원 ( Chang Won Cho ),김영언 ( Young Eon Kim ),한대석 ( Daeseok Han ),홍의도 ( Hee Do Hong ),이영경 ( Young Kyoung Rhee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2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7 No.6

        A tissue cultured wild ginseng (TCWG) suspension was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TCWG. The utilization of TCWG was increased directly using the freeze-dried powder. The optimal ratio of TCWG powder and water for fermentation was 1:19(5%), which was selected by measuring the fluidity and viable cell count according to concentration. The effects on ADH activation and immune cell activation by each ferments with 10 kinds of Lactobacillus sp. strains were examined. The ferments with the Lactobacillus casei KFRI 692 strain showed 5.4 times higher ADH activity and 1.3 times higher ALDH activity than the non-fermented TCWG powder (control). The level of NO production and cytotoxicity was also measured by Raw 264.7 cells. The ferment with the Lac. casei KFRI692 strai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NO production and lower cytotoxicity than the others. Therefore, the Loc. casei KFRI 692 strain was selected as a strain for fermentation of a TCWG suspension to maximize its functionality. To identify the optimal fermentation time of the selected Lac, case KFRI 692 strain on the 5% TCWG suspension, the viable cell count of lactic acid bacterial and the changes in pH were observed for 72 hours. 24-hrs was found to be the optimal fermentation time. In this way, fermented TCWG with lactic acid bacteria showed higher ADH activation efficacy and immune cell activation than non-fermented TCWG.

      • KCI등재

        히알루론산나트륨의 분자량 크기에 따른 Collagen 합성, 항염증 및 피부 흡수에 미치는 영향

        신은지 ( Eun Ji Shin ),박주웅 ( Joo Woong Park ),최지원 ( Ji Won Choi ),서정연 ( Jeong Yeon Seo ),박용일 ( Yong Il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2 No.3

        본 연구에서는 히알루론산나트륨(sodium hyaluronate, HA)을 효소 분해하여 분자량 크기(1, 10, 50, 100, 660, 및 1500 kDa) 별로 제조한 뒤 콜라겐 합성 및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피부투과도를 조사하였다. 이들 HA는 인간피부세포인 Hs68 세포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콜라겐 생합성능은 1500 kDa, 50, kDa HA가 각각 59, 50%로 콜라겐 생합성 촉진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자량 크기에 따른 HA의 피부투과도를 측정한 결과 660 또는 1500 kDa의 HA은 2% 미만의 미미한 투과율을 보였으나, 저분자 HA (1, 10, 또는 50 kDa)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투과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HA 분자량 크기에 따른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결과, 50 kDa HA가 농도 의존적으로 nitric oxide 및 tumor necrosis factor-α 합성을 저해하여 다른 분자량의 HA (1, 10, 및 100 kDa)에 비해 가장 큰 항염증 효능을 나타냈다. 현재까지 효소(hyaluronidase) 처리하여 제조된 다양한 크기의 분자량(1, 10, 50, 100, 660, 1500 kDa)의 HA 중 50 kDa HA가 collagen의 합성, 항염증 및 피부 흡수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한 사례는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50 kDa의 HA가 인간피부세포에서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키고, 피부 투과 율을 높으며 피부 주름을 유발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함으로써 피부노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품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various molecular weights (1, 10, 50, 100, 660, and 1500 kDa) of sodium hyaluronate (HA), which were prepared by enzyme hydrolysis, on the collagen synthesis, anti-inflammation and skin absorption. These HA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viability of human dermal fibroblast Hs68 cells. Among them, 1500 kDa, 50 kDa HA most significantly increased collagen production by 59%, and 50% in the Hs 68 cells, respectively. Whereas 1500 and 660 kDa HA hardly pass through mouse transdermis membrane, lower molecular weights (1, 10, or 50 kDa) of HA showed time-dependent increase in skin permeation. HA of 50 kDa showed highest anti-inflammatory effects by reducing nitric oxide and tumor necrosis factor-α production in the RAW 264.7 cells, comparing to other HA (1, 10, and 100 kDa HA). Recently, there is no report about anti-wrinkl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skin permeation of different molecular weights HA (1, 10 , 50, 100, 660 and 1500 kDa), which were produced by enzyme hydrolysi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50 kDa HA can be potent candidates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anti-aging and anti-wrinkle cosmetic ag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mong those HA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50 kDa HA showed highest anti-inflammatory activity, significant capability to induce collagen synthesis and high level of skin perme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