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실상생’을 활용한 영화 스토리텔링 표현 연구

        신원지,김해윤 한국영상학회 202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0 No.2

        허실론은 중국 전통문화에서의 중요한 논제로써 중국의 민족적 특징을 담고 있다. 허실론의 표현 기법인 ‘허실상생’이 어떻게 서양에서 시작된 영화 스토리텔링을 표현을 하는데 있어서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중국의 전통적인 미학의 관점에서 영화적인 표현기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중국 영화가 더욱 민족적 특색을 가지고, 한 단계 나아가 중국 영화의 다양성과 완벽성을 실현할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중국 전통 시화 속의 ’허실상생’의 활용을 분석하여 중국 시화와 영화의 공통점을 찾아내며, 영화의 화면과 스토리텔링 2가지 측면에서 ‘허실상생’의 기법이 영화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분석했다. ‘허실상생’에 대한 철학적 배경과 발전 그리고 ‘허실상생’의 창작 과정에 대해 상세히 논했다. 영화는 시공간이 융합된 예술이다. 영화 화면 속 ‘허실상생’은 2단계로 구분했다. 첫 단계는 물질적 요소의 사실성과 화면 언어의 허구성의 결합이다. 영화는 광학으로 만드는 예술이며, 빛은 물질적 요소의 형상을 변화시키기에 이러한 단계는 영화 속 빛의 ‘허실상생’을 통해 설명했다. 두 번째 단계는 화면의 구도, 배치로 만들어지며, 화면 속 실제 경치, 사물, 사람, 사건 등의 이미지 요소와 화면의 여백으로 생겨난 ‘허실상생’이다. 이러한 단계는 주로 화면의 구도와 배경화면의 단순화로 실현된다. 그리고 영화에는 공간과 시간의 차원이 있으며 상호 조화를 이룬다. 영화의 서사는 영상 공간의 완전한 표현에 기초를 두고 있고 선형적인 시간으로 연결하고 있다. 영화의 서사 방식은 몽타주 등 영화 표현 기법을 ‘허실상생’의 개념으로 분석하여 관객의 영화 스토리텔링 표현에 있어서 새로운 미학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rule of juxtaposition of truth and fiction theory is significant to Chinese traditional culture with its ethniccharacteristics. As the embodiment method of the rule of juxtaposition of truth and fiction theory, how to flexibly utilize it in western exotic movies is the paper’s research direction. Studying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classical aesthetics can make Chinese movies have more ethnic characteristics, to further realize the diversity and completion of Chinese movie aesthetics. The paper chooses to utilize and analyze the ’the rule of juxtaposition of truth and fiction reciprocity’ in Chinese traditional poems and paintings, to observe the common aspects between Chinese poems and paintings and movies, and respectively analyze the application of ‘the rule of juxtaposition of truth and fiction’ method in movie creation from the movie images and narrative ways. Firstly, the paper summarizes the aesthetic theories of ’the rule of juxtaposition of truth and fiction’, and has made simple description on the basic symposiums,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and the creation process of it. Next, movies and poems and paintings are the art integrated with time and space. The integration between the ’the rule of juxtaposition of truth and fiction reciprocity’ in movie images and Chinese paintings can be divided into two levels. The first level is the ’the rule of juxtaposition of truth and fiction’ between the solid material elements and the void shooting language. Light can change the forms of material elements, so this level is describ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ule of juxtaposition of truth and fiction’ in movie lights. The second level comes from the image composition and layout, that is, to form the ’the rule of juxtaposition of truth and fiction’ through the solid scene, objects, people, things in imagesand other image elements and the blank image space. The narrative method of the film was to present a new aesthetic that allows the audience to be immersed in the storytelling of the film by analyzing the film expression techniques such as montage with the concept of ‘the rule of juxtaposition of truth and fiction’.

      • 『표주록(漂舟錄)』을 통해 본 표류민 이지항의 홋카이도에서의 노정의 재구성

        신원지(SHIN, Wonji)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3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23 No.10

        In 1696, 8 Koreans drifted to Hokkaido. They moved south under the guidance of the Ainu they encountered, then left Hokkaido under the escort of the Matsumae Clan and were repatriated to Busan the following year. “Pyojurok” is a record of the experience of Lee Ji-hang, one of these drifters. The contents of “Pyojurok” are divided into five main categories: (1) the biography of Lee Ji-hang, (2) the circumstances and process of drifting, (3) the exchange with Ainu in Hokkaido, (4) the escort of the Matsumae Clan in Hokkaido, and (5) the repatriation process from Hokkaido to Korea. This article summarizes the results of research in Japanese academic circles on the place names of Hokkaido recorded in “Pyojurok” and reconstructs Lee Ji-hangs route through Hokkaido.

      • KCI등재

        서산 웅도 백운암 내 석면 산출 및 광물학적 특성 규명

        김선옥,이민희,정현정,신원지,Kim, Seon-Ok,Lee, Minhee,Jung, Hyunjung,Shin, Wonji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4 자원환경지질 Vol.47 No.5

        본 연구는 충청남도 서산시 웅도 백운암에서 산출되는 석면에 대하여 박편관찰, X-선 회절분석,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등을 통해 석면의 광물학적 및 형태적 특성을 규명하고, 백운암의 광물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석면의 형성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석면을 함유하고 있는 모암은 열수 변질 및 변성작용을 받았으며, 광물학으로는 주로 백운석과 소량의 방해석, 석영, 활석, 각섬석, 휘석 등으로 이루어진 백운암인 것으로 밝혀졌다. 모암 내 존재하는 석면은 섬유상-침상 입자형태를 가진 양기석-투각섬석계 석면이었으나, 변성정도에 따라 주상 및 침상형태를 가진 비석면형의 양기석-투각섬석도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주상이나 침상 형태의 광물을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주상의 경우 벽개면을 따라 더 작은 침상 또는 주상의 입자로 쪼개지는 특성을 나타내어, 풍화과정에 의한 쪼개짐 현상에 의해 석면입자로 산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양기석-투각섬석 광물군에서 너비가 $1{\mu}m$ 이하인 휘어진 형태의 섬유상 석면 입자가 발견되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백운암 내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았던 석면 입자가 웅도 백운암에서 검출되었고, 광물학적 분석 결과 석면광물은 Ca, Mg를 함유한 백운암질 석회암이 열수 변질을 받는 과정에서 형성되었으며, 주로 양기석-투각섬석 석면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occurrence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asbestos in dolostone at Ungdo, Seosan were investigated by analyses of PLM, XRD, and SEM/EDS. Representative outcrops of dolostone at Ungdo were examined and four dolostone samples were collected according the occurrence type to identify the shape of asbestos in dolostone samples. The host rock of dolostone had been produced from the hydrothermal alteration and/or thermal metamorphism of which main source was assumed as the acidic granite. Tremolites were observed near the cracks or fractures of the dolostone as tamping or gob types. From the mineralogical analyses, main minerals of dolostone were dolomite with calcite, quartz, talc, amphibole, and pyroxene. From SEM/EDS analyses, tremolite-actinolite asbestoses were observed in dolostone and their shapes were prismatic and fibrous (less than $1{\mu}m$ in width). Non-asbestos prismatic forms were also found and they would transfer to asbestos particles resulting from the cleavage and fracture of the prismatic particles.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asbestoses in Ungdo dolosotnes were mainly tremolite-actinolite and they were originated from the hydrothermal alteration of Ca-Mg rich dolost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