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 과학 분야의 연구 성과 및 동향 분석

        신원기,박문기,김다현,장현주,민태선,Shin, Won-Gi,Park, Moon-Ki,Kim, Da-Hyeon,Jang, Hyun-Ju,Min, Tae-Sun 한국환경과학회 2020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9 No.3

        Technology used by human beings has developed drastically over the years. Although people enjoy affluent lives as a result of this development, the depletion of resources has brought about a variety of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emission of fine dust, treatment of waste water, and global warming. Although studies on environmental pollution are being conducted continuously,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studies that analyze research trends fro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research landscape, we employed Scopus to combine research interest in environmental science with bibliographic analysis. Among 74,089 papers published in 57 journals of environmental science, 3,212 papers were published by Korean authors and citations per publications and Field-Weighted Citation Impact (FWCI) of those papers were 7.3 and 1.0, respectively. By assessing the bibliometric indicator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science,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research trends and related data to aid researchers in developing research strategies.

      • KCI등재

        ‘꾀쟁이 하인’ 설화의 동화화 양상과 문학교육적 함의 - 『조선동화대집』에 실린 <외쪽의 꾀>를 중심으로 -

        신원기 ( Shin Won-gie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9

        본고에서는 ‘꾀쟁이 하인’ 설화의 동화화 양상과 의미, 문학교육적 함의(含意)를 고찰했다. ‘꾀쟁이 하인’ 이야기는 1926년 『조선동화대집』에 <외쪽의 꾀>라는 제목의 동화로 처음 출판된 이래, 현재까지 그 명맥이 이어지고 있었다. 1940년대 <자글대 이야기>, 1950년대 <꾀쟁이 외쪽이>, 1970년대 <꾀많은 머슴>, 1980년대 <꾀돌이 외쪽이>, <꾀 많은 종>, <그 양반에 그 하인>, 1990년대 이후 <왕굴장굴대>, <꾀보 막동이>, <왕굴장굴대>, <빤짝빤짝 꾀돌이 막둥이> 등이 ‘꾀쟁이 하인’ 설화를 동화로 나타낸 작품이었다. 이들 작품은 모두 다음의 구조를 공통적으로 지니면서, 부분적 변용이 드러나는 형태였다. Ⅰ. 주인이 하인을 학대하다. Ⅱ. 하인이 주인을 속이다. Ⅲ. 주인이 하인을 죽이려고 하다. Ⅳ. 하인이 죽을 위기를 벗어나다. Ⅴ. 하인이 주인을 죽이고, 주인의 딸과 결혼하다. ‘꾀쟁이 하인’을 동화화한 작품들은 이러한 구조를 지니면서, 후대로 올수록 ‘지략담의 고착화, 주인공의 선인화(善人化), 상호 수긍의 결말화’ 등이 강화되는 특징이 있었다. 그 이유는 작가와 시대 상황의 영향, 선명한 선악 대결의 제시, 행복한 결말을 위한 동화적 장치 등이었다. 이러한 ‘지략담의 고착화, 주인공의 선인화(善人化), 상호 수긍의 결말화’라는 동화화 양상에서 나타난 특징이 문학교육에 함의하는 점은, ‘풍자’라는 미적범주를 교육내용ㆍ학습목표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것, 윤리적ㆍ도덕적가치에 대한 접근을 다양하게 시도할 수 있다는 것, 문학과 현실의 진실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할 수 있다는 것 등이었다. 이러한 문학교육적 함의는 궁극적으로 眞善美의 가치를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consider that an aspects of fairy tale making about ‘tricky servant’ story and literary educational implications. ‘Tricky servant’ story has kept its existence since it was published as the title of < Oezzok’s tricks > from _Joseon Donghwa Daegip_ in 1926. ‘Tricky servant’ story is presented as fairy tale in several works: < Jageuldae story > in 1940’s; < Tricky Oezzok > in 1950’s; < Tricky farmhand > in 1970’s; < Tricky Oezzok > in 1980’s; < WangoolJanggooldae >, < twinkle twinkle tricky the youngest > after 1990’s. These works have following structures in common with style showing partial transformation. Ⅰ. A master abuses a servant. Ⅱ. A servant deceives a master. Ⅲ. A master wants to kill a servant. Ⅳ. A servant passes the crisis of death. Ⅴ. A servant kills a master, and get married to master’s daughter. Works that transformed ‘tricky servant’ into fairy tale have thes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intensifying fixedness of cleverness story, good man making of protagonists, ending of mutual affirmation and so on over time. In this sense, there are literary educational implications like setup of aesthetic category, approach of moral value and approach of truth literature, reality and, etc. It means seeking to value of truth, goodness, and beauty ultimately.

      • KCI등재

        심의린(沈宜麟)의 『조선동화대집』에 대한 연구 동향 고찰

        신원기(Shin, Won-Gie) 한국문학회 2017 韓國文學論叢 Vol.76 No.-

        본고에서는 1926년에 발행된 우리말 최초의 동화집․설화집인 심의린의 조선동화대집에 대한 연구 동향을, 문학이론의 접근법을 원용하여 고찰했다. 작가론적 관점의 연구에 대한 성과는, [조선동화대집]의 편찬 배경에 대한 폭 넓은 접근을 했다는 것, 심의린을 민족주의적 성향의 인물로 보기 힘들다는 것, [조선동화대집]은 아동을 가르치기 위한 이야기였다는것 등이었다. 그 한계는 제국주의 침략의 의도와 애국계몽적 의도의 근거가 더 필요하다는 것, 심의린의 논저가 그 당시에는 얼마나 식민사관에 가까웠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 ‘아동을 위한 이야기’와 ‘아동을 가르치기 위한 이야기’의 구분이 힘들다는 것 등이었다. 작품론적 관점의 연구에 대한 성과는, [조선동화대집]은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여준다는 것, 조선동화대집에는 소담(笑談) 또는 소화(笑話)의 비율이 가장 높다는 것, 조선동화대집에 나타난 우의적 성격과 그의미를 밝힌 것, <반쪽이>의 최초 판본을 조선동화대집으로 규정한것, [조선동화대집] 소재 <개구리 神仙>은 번안 작품이 아니라 광포 설화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 등이었다. 그 한계는 조선동화대집의 민족주의적 성향이 우리 전통 설화에 이미 내재된 특징일 수 있다는 것, 유형 분류의 기준이 모호하다는 것, 우의의 유형 설정 기준이 없다는 것, ‘외다리 반쪽이’ 형을 보편적 구전설화로 본 것은 재론의 여지가 있다는 것,<개구리 신선>은 <개구리 왕자>와의 친연성이 훨씬 두드러지기 때문에 그림형제의 동화 <개구리 왕자>를 번안했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것 등이었다. 반영론적 관점의 연구에 대한 성과는, [조선동화대집]은 [조선동화집]을 복원․보충하여 민족적 심성이나 정신을 전수하려 했다는 것, 일본어로 발행된 ‘조선동화집’類는 내선일체의 강조 또는 조선의 특색과 모습제시 등의 특징이 있다는 것 등이었다. 그 한계는 일부의 이야기를 근거로 [조선동화대집]을 [조선동화집]의 ‘되받아 쓰기’라고 규정한 것, 일본 국내에서 발행된 ‘조선동화집’類들도 결국은 내선일체의 정책에 부합하고 있었다는 것 등이었다. This study consider that research tendency about Shim-EuiRin’s Jo-Soen DongHwa Daegip ,which was published 1926 and became the first Korean Language fairy tale-folktale book. Achievements of the study with the writer’s point of view are like these: wide approach about editing backgrounds of Jo-Soen DongHwa Daegip, claims that it is hard to regard Shim-EuiRin as the person of nationalism tendency, and the fact that Jo-Soen DongHwa Daegip have stories to teach children. And there are unsettled questions: the fact that it requires more reasons about imperialistic invasion and patriotic enlightenment intention, that it needs more analysis about whether Shim-EuiRin’s writings is close to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or not, and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story for teaching from the story for children. Achievements of the study of with the literary work’s view are these: the fact that Jo-Soen DongHwa Daegip indicates nationalism tendency, the fact that Jo-Soen DongHwa Daegip have many humor stories, Jo-Soen DongHwa Daegip’s allegoric character and meaning, that Jo-Soen DongHwa Daegip is the first version of <semi-person>, <Frog Taoist hermit> is influenced by wide-spread folktales. And there are unsettled questions : that Jo-Soen DongHwa Daegip’s nationalism tendency is a character of folktale, criteria of type classification is vague, there is no criteria of allegoric classification, that it is plausible to think of <Frog Taoist hermit> as an adapted story of <Frog Prince> since there are some similiarities. Achievements of the study with a reflection theory’s view are these: that Jo-Soen DongHwa Daegip is intended to success to Korean Spirit or mind through compensating Jo-SoenDongHwaGip, that all kinds of ‘Jo-SoenDongHwaGip’ in Japanese Language have characters Naeseon Ilche(Korea and Japan are One policy) and JoSeon’s features. And there are unsettled questions : that Jo-Soen DongHwa Daegip is a writing of copying Jo-SoenDongHwaGip with partial reasons, that all kinds of ‘Jo-SoenDongHwaGip’ in Japanese Language indicates Naeseon Ilche(Korea and Japan are One policy).

      • 고전문학 : 넓은 "읽기"를 위한 < 차마설(借馬說) > 해석

        신원기 ( Won Gie Shin ) 문창어문학회 1999 문창어문논집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Lee, Gok`s(李毅) < Chamaseol: A story of horse borrowing > for accurate appreciation. Reading is a active process in which the reader reconstructs meaning. For this reconstruction of meaning, we require accurate understanding and analysis. Reading which confines itself to decoding for comprehension is known as narrow reading. In contrast, reading which includes analysis is known as broad reading. This broad reading is necessary for accurate appreciation. As the basis of this research, an analysis of < Chamaseol > was undertaken. For an accurate analysis, content and form of A story of horse borrowing were researched. Content research focussed on the ``story`` dimension, including synopsis, construction and expressive technique. Research into form examined the ``discourse`` dimension, that is, the historical context and the way in which < Chamaseol > was formed. The results of my analysis uncovered a convergent theme, which I suggest is the theme of < Chamaseol >. The King and the vassal must exercise caution and restrain themselves. Further analysis of < Chamaseol > in various ways would contribute greater understanding.

      • KCI등재

        ‘소년소녀 세계문학’의 정본(定本)과 수용 과정 고찰 - 1970년대 금성출판사 판본을 중심으로 -

        신원기 ( Shin¸ Won-gie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2

        본고의 목적은 ‘소년소녀 세계문학’의 정본(定本)과 그 수용 과정을 고찰하는 것이었다. 소년소녀를 대상으로 한 세계문학 텍스트는 내용의 양적인 측면, 질적인 측면, 독자의 기대 수준 등의 이유로, 원전(原典)의 축약과 삭제가 불가피했다. 이러한 축약과 삭제의 과정에는 교육적 목적과 독자층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하는데, 우리는 이미 축약된 텍스트를 정본으로 하여 중역(重譯) 또는 재출판함으로써, 원전의 재평가 작업과 작품의 능동적 감상을 어렵게 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의 ‘소년소녀 세계문학’ 텍스트의 정본을 살펴보고, 그 수용 과정과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1970년대에 출판되어 현재까지도 다른 출판물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금성출판사 판본의 『칼라명작 소년소녀 세계문학』 전집의 정본을 추적했다. 금성출판사 판본은 일본 소학관(小学館)에서 1967∼1970년에 출판한 『カラ-名作 少年少女 世界の文学』을 정본으로 하고 있었다. 형식적 측면의 비교에서, 전체적인 구성, 선정된 작품, 각 권의 구성 및 체제, 재구성된 차례, 곁텍스트, 본문, 삽화 등이 거의 동일함을 확인했다. 그리고 내용적인 측면의 비교는 <걸리버 여행기>, <톰 소오여의 모험>, <돈키호테>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원작의 왜곡, 축약 기준의 왜곡, 사건 위주의 구성, 문학사적 의미를 무시한 번역, 감상의 왜곡 등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있었다. 이처럼 금성출판사 판본은 일본 소학관의 판본을 정본으로 하여 중역 출판한 결과물인데, 이는 후속 출판물의 정본이 되기도 했고, 이 과정에서 원전의 왜곡, 일본식 문학관의 묵시적 적용, 능동적 독서교육의 한계점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definitive editions and acceptance process of Boys and Girls World Literature. The world literature texts targeting boys and girls were unavoidable to abbreviations and deletions of an original work, because of quantitative, qualitative aspects of content and level of readers’ expectation. This paper is to study these abbreviations and deletions, focusing on version of Geumseong publisher, published in the 1970s, affecting other publications up to now. The definitive edition of Geumseong’s version is Color Masterpiece of Boys and Girls World Literature of Japanese Sohakgwan publisher, published in 1967∼1970. In comparison of formalities, each version of Geumseong and Sohakgwan publisher is almost identical in terms of general format, selected works, composition and system of each volume, reconfigured the table of contents, paratext, body text, illustrations and so on. In comparison of contents, we found some problems; distortion of the original works, distortion of the abbreviation criteria, event-oriented composition, translation ignoring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and distortion of appreciation. In this way, the version of Geumseong publisher was retranslated publication that had the definitive edition of Japanese Sohakgwan, becoming the definitive edition of subsequent publications. In this process, not a few problems have emerged; the implicit application of Japanese literature view and limitations of active reading education.

      • 전래동화의 교재화 양상에 대한 고찰

        신원기(Shin, Won-gie) 한국어문교육학회 2009 어문학교육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Korean folktales appearing o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with the original texts. Therefore, I consider how the original texts have been altered in the textbooks around the characters and plots of the stories. Oneuri(오늘이) is based on Woncheongang Bonpoori, one of the shman's songs in Jeju Isl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character of Oneuri and of Woncheongang Bonpoori, the contents in Oneuri have deleted the holy elements from the process of birth and settling down in the original text. The story of Oneuri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materials of teacher's guide. There are two differences between Oneuri and ‘Woncheon -gang’ Bonpoori. First, the meaning of ‘Woncheongang’ in the textbook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ext's. The teacher's guide explains ‘Woncheongang’ as the place where four seasons gather. However, ‘Woncheongang’ should be viewed as a kind of the "Four Pillars" book and the four seasons,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surrounding ‘Woncheongang’, refer to the four pillars which support one's fate. The other difference is a part where Oneuri was adopted and raised by Mrs. Baek. Since the greatness of myth or hero is acknowledged by standing the ordeal in the life of growing up, Oneuri needs to have starvation and hardships as well. Therefore, Oneuri's childhood would rather be described as wandering about from place to place than being adopted and grown up. In the case of 'the farmer making play with the hobgoblin', one of the folktales in the textbook, the hobgoblin is considered not familiar rather but malicious. In addition, several events in this story have not expressed the proper image of the traditional Korean goblin. It has to be considered that Korean goblins have stories matched with their images. On the basis of this contemplation, including Korean Traditional Tales in the elementary Koran textbooks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First, children can have an opportunity to meet the fantasy and mystery of time and space. Another benefit is to deepen the recognition and diffusion of traditional culture. Last but not least, the original texts are able to be collected and reflected in the textbooks.

      • KCI등재

        <춘향전(春香傳)> 작품군(作品群)을 활용한 서사(敍事) 갈래 학습 방안

        신원기(Shin, Won-Gie) 한국문학회 2009 韓國文學論叢 Vol.53 No.-

        본고는 갈래 개념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육 현장에서는 갈래 학습이 잘 교육되지 않고, 학습자들의 갈래 개념 이해도 부족하다는 판단에서 시작되었다. 갈래 개념의 이해를 위해, 우선 서사 갈래의 이해를 먼저 시도했고, 서사 갈래의 이해를 위해 <춘향전> 작품군을 활용하여, 서사 갈래의 학습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갈래 학습이 문학 교육 현장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알아보았다. 갈래 학습은 학습자의 문학체험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에 제시된 갈래 학습의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행 교육과정은, 국민 기본 공통 교육 과정인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국어󰡕 교과서와 교육내용에서, 갈래에 대한 학습내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갈래 학습이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교과서에서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아, 교실 수업에서 갈래 학습을 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춘향전> 작품군을 활용하여 제시해 보았다. So far, I examined a teaching method of narrative genre using several <ChoonHyangGeon(春香傳)>. For the investigation, we, first go through what meaning genre studying has in the literature education spot. I can find that genre studying plays an important role for learner's literature experience. Second, I examined for the substance of genre studying presented on the curriculum. In result, I recognized that the current curriculum didn't reflect the contents of genre studying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its substance for the first graders of the highschool, which is National Core Curriculum. Third, despite the importance of genre studying, this hasn't been reflected properly in a textbook. So, I presented the genre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an be used in classroom, utilizing several <ChoonHyangGeon(春香傳)>. This study was begun in the judgement that, in spite of the significance, the genre studying wasn't carried out well in classroom and learners don't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genre. The method I presented is not the perfect method, but a illustrative method of genre learning. I hope that the better method of genre studying will come out after making up for the shortcoming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동화대집에 나타난 〈외쪽의 꾀〉의 대비적 고찰 - 〈자글대 이야기〉와 〈어복손전〉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신원기(Shin, Won-Gie)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9 No.-

        본고의 목적은 『조선동화대집』(1926년)의 <외쪽의 꾀>를 중심으로 전 · 후 시기의 ‘꾀쟁이 하인’ 이야기-『신단공안(神斷公案)』(1906년)의 <어복손전(魚福孫傳)>, 『조선전래동화집(朝鮮傳來童話集)』(1940년)의 <자글대 이야기>를 대비적으로 고찰하는 것이었다. <외쪽의 꾀>의 전개 양상은 다음과 같았는데, <자글대 이야기>도 동일한 구성을 보이고 있었다. Ⅰ. 주인이 하인을 학대하다. Ⅱ. 하인이 주인을 속이다. Ⅲ. 주인이 하인을 죽이려고 하다. Ⅳ. 하인이 죽을 위기를 벗어나다. Ⅴ. 하인이 주인을 죽이고, 주인의 딸과 살다. <어복손전>은 Ⅰ~Ⅳ까지의 전개 양상은 ‘문제 제기-문제 해결’ 양식의 비슷한 전개를 보였지만, 결말 부분이 ‘Ⅴ. 하인이 주인과 딸을 죽이 지만, 죄상이 밝혀져 자신도 처단되다.’로 나타나 두 이야기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결말 부분이 앞의 두 이야기와 다른 이유는 주인공의 악행, 악인의 파멸을 바라는 독자의 기대 지평, 기존 가치 유지를 바라는 작가 의식 등이었다. 인물 형상을 살핀 결과, 그 구체적인 양상은 달랐지만, 주인공(하인), 적대자(양반), 조력자, 희생자 등으로 비슷한 기능을 하고 있었다. 이는세 편의 이야기를 특정한 유형으로 묶을 수 있는 방증이 되었다. 아울러 ‘자글대, 앙글장글대, 왕굴장굴대’ 등의 명칭이, ‘뭔가를 속이면서 누군가를 성가시게 하는 꾀쟁이’를 뜻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배경을 살핀 결과, 세 이야기 모두 변증법적 공간 전개를 통해, 신분질서의 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마을 안-마을 밖-마을 안’으로 공간이 전개되면서, 그 의미는 ‘기존 질서의 유지-기존 질서와 새로운 질서의 대립-새로운 질서의 확립’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세 편 이야기의 전개 양상과 인물, 사건, 배경을 대비적으로 살핀 결과, 담론 방식에 따른 화자의 기능 다양화, 윤리적 가치 변화에 따른 주제의 변화, 차연(差延)의 실현과 해석의 다양성 등을 서사문학적 의의로들 수 있었다. This study consider comparatively that three pieces ‘tricky servant’: <Oezzok’s Tricks> in A Great Anthology of Korean Fairy Tale(1926), <Biography of Eobokson> in The trial reports as like god’s decision(1906), <Jageuldae story> in Anthology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1940). The development aspects of <Oezzok’s Tricks> are as follows, <Jageuldae story> is same. Ⅰ. A master abuses a servant. Ⅱ. A servant deceives a master. Ⅲ. A master wants to kill a servant. Ⅳ. A servant passes the crisis of death. Ⅴ. A servant kills a master, and lives master’s daughter. <Biography of Eobokson>’s development aspects fromⅠto Ⅳ, it is same other two story as style of ‘problem posing-problem solving’. But ending is different: Ⅴ. A servant kills a master, but he is punished after the crime had been revealed. The reasons of different ending are protagonist’s misdeed, reader’s horizon of expectations to wish ruin of a bad man, and author consciousness to wish maintenance of existing value. As a result of examining character’s aspects, it represents same function: protagonists, antagonists, helpers and victims. This is evidence that can bind three pieces to specific types. As a result of researching settings, all three pieces represent changing aspects of status order through the dialectical space development. Its meaning is ‘a maintenance of existing order-a conflict between existing order and new order-an establishment of new order’. Considering comparatively development aspects, characters, events and settings of three pieces, we can find out significance of narrative literature: diversification of the speaker that depends on discourse ways, change of subject that depends on alteration in ethical value, and realization of Différance and diversity of interpre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