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물체 간 연관 관계 학습을 통한 문장으로부터 장면 생성

        신용민,최수정,박성배,박세영 한국정보과학회 2019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6 No.5

        In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location information is crucial. However, it is sometimes omitted. While humans can infer omitted information, machines cannot. Thus, certain problems can occur when generating scenes from sentenc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revious studies have found an explicit relation in the sentence, then inferred an implicit relation by using prior probability. However, such methods are not suitable for Korean, as it has morphologically productivity. In this paper, we suggest a scene-generation method for Korean. Frist, we find an explicit relation by using an RNN-based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n, to infer implicit information, we use the prior probability of relations. Finally, we prepare a scene tree with the obtained information, then generate a scene using that tree. In order to evaluate the scene generation, we measure the accuracy of the model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and assign a human score to the generated scene. As a result, the method is proven to be effective with excellent performance and evaluation. 사람과 기계가 소통할 때 위치 정보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때때로 문장에서 생략되어 나타난다. 사람은 생략된 정보를 배경 지식을 통해서 알 수 있지만, 기계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문장으로부터 장면을 생성한다면 올바른 장면을 생성하지 못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들은 주어진 문장에서 구분 분석 방식을 통해 명시적인 위치 관계를 추정하고 사전 확률들을 이용하여 생략된 정보를 복원하여 장면을 생성하였으나, 이는 형태론적 생산성과 자유로운 어순 등 구문 분석방식을 사용하기에 여러 문제가 있는 한국어 문장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문장으로부터 장면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주어진 문장에 명시적으로 나타난 물체 및 위치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RNN 기반의 신경망을 이용한다. 그 다음 물체 간 연관 관계에 대한 사전확률 값들을 학습하여 문장에서 생략된 정보를 추정한다. 추정된 물체 및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장면 트리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장면을 생성한다. 장면 생성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문장에 존재하는 연관 관계를 다루는 모델의 정확도를 측정하고 생성한 장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구문 분석 기반 방식보다 약 25%의 성능 향상이 있어 제안한 방법이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양식어업 규모화를 위한 대기업 진입 여건 분석

        신용민,정겨운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019 해양비즈니스 Vol.-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large-scale capital inflows when the government enacts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The enactment of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is intended to mitigate restrictions on entry into aquaculture, compared to the "Fisheries A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and expand new investment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the structural small-scale of aquaculture in Korea. Existing aquaculture workers are concerned about possible damage to some regulations of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It is because there is not yet a concrete and specific plan, although the legislative restrictions on the entry license and conditions for large corpor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compare the restrictions on the entrance of large corporations between the existing "Fisheries Act" and the "Restrictions on Restricted Entrance of Large Enterprises" in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Secondly, we review whether the actual large corporations have adequate legal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entry into aquaculture, and finally, we find out the specific strategic species to be farmed.

      • KCI등재

        Estimating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Taxation on the Offshore Fisheries

        신용민,정겨운 한국경제통상학회 2019 경제연구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upply of non- taxable oil, which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fisheries subsidy in the Republic of Korea.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taxation on the cost structure of offshore fisheries. To this, we estimate the CO2 emissions of offshore fisheries and the cost function of its. In particular, we compared the translog cost function and the Fourier cost func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each cost function model, Fourier cost function model well-satisfies the concavity of the cost function. Besides, using Fourier cost function model, the elasticity of fishery cost has been estimated. Lastly, we analyzed whether environmental taxation is valid or not to achieve political goals in the offshore fisheries.

      • EU의 원양어업정책에 관한 연구

        신용민,이상고 한국수산경영학회 2005 추계학술발표회 Vol.2005 No.-

        EU는 세계 3위의 어업생산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가공어류와 양식수산물에 대한 세계 최대의 소비시장을 가진 탓에 만성적인 수산물 공급부족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EU는 일찍부터 제3국과의 어업협정을 통한 원양어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다. EU의 원양ㅇ어장 진출정책을 시기별로 분로하면 1세대 유형에서부터 4세도 유형으로 구분가능하다. 수역별로는 크게 유럽북부와 남부수역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어업협정 휴형으로는 북유럽형, 발틱형, 북미형, 중남미형, 그리고 ACP형으로 세분화 할 수 있다. EU는 특히 대부분의 쌍무어업협정을 아프리카, 인도양, 서태평양 연안국들과 맺고 있어, 이들 국가와의 쌍무적 어업관계가 EU 원양어업정책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원양어장의 자원부족현상이 점차 심각해짐에 따라 EU 위원회는 그들의 공동어업정책 개혁안에 제3국과 의 어업협력강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이는 연안 국과의 어업관계를 단순입어에서 동반자적 입어관계로 발전시키는 한편, 어업 외적인 부문의 협력을 포함하는 포괄적 접근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EU의 움직임은 단순한 어획쿼터할당에 대한 입어료지급 방식은 조업국과 연안국 간의 신뢰관계 증진에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업국은 연안국에 대한 자원관리기술을 지원해 주고, 자원평가에도 공동으로 참여함으로써 양국간 협력적 수산자원관리정책을 지향하도록 하여서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어업용 면세유 폐지시 근해저인망어업의 생산자잉여 변화에 관한 연구

        신용민,전용한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017 해양비즈니스 Vol.- No.38

        This study’s purpose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Korean offshore trawling fisheries’ producer surplus in case of prohibition of tax-free oil for Fisheries following TPP and WTO/DDA agreements. The analysis methods were composed of three steps: first, standardizing individual offshore trawling fisheries’ fishing efforts through the Gavaris generalized linear model. Second, deducing the producer surplus through applying index Clarke, Yoshimoto, Pooley (CYP) surplus production model to estimate Maximum Sustainable Yield (MSY) and then utilizing bioeconomic model to estimate fishing efforts, catch, and fishery resources based on Open Access (OA) and Maximum Economic Yield (MEY) standards. Third, estimating supply curve through bioeconomic model based on OA and MEY standards. The analysis results show, with the prohibition of tax-free oil for fisheries, offshore trawling fisheries’ fishing efforts decrease due to the increase in oil price while resources increase, and producer surplus decreases with the decrease in price and catch. Like this, once tax-free oil for fisheries is prohibited, due the increase in oil price, offshore trawling fisheries’ business is expected to severely deteriorate. Thus, in case of prohibition of tax-free oil for fisheries, there should be effective measures to overcome the decrease in producer surplus and to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offshore trawling fishe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