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랭보 시와 전쟁의 의미

        신옥근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4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87 No.-

        랭보의 글쓰기 변화를 전쟁의 주제를 통해 분석한 본 연구는 종종 개개 작품이 지니는 고유의 문맥을 벗어나 주제 자체의 의미망에 집중하는 ‘주제 비평’을 상정하지 않는다. 본 논문은 전쟁과 관련된 난해한 작품을 다시 읽 고 재해석한다. 「골짜기에 잠든 이」, 「처형당한 심장」, 「파리의 군가」, 「까 마귀 떼」, 「“우리에게 무엇이란 말인가, 내 심장이여, 겹겹이 쌓인 피와,...”」, 지옥에서 한 철 일부, 일뤼미나시옹의 「전쟁」이 주된 대상이 된다. 「골 짜기에 잠든 이」는 보불전쟁 당시에 죽은 이름 모를 병사의 죽음을 카메라 처럼 명확한 이미지로 재현한 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화주의 병사의 부활과 관련된 정치적인 상징적 의미를 감춘 시라 할 수 있다. 「처형당한 심장」도 파리 코뮌의 바빌론 의용군에서 겪은 시인의 성적 몹쓸 경험이 아 니라, 다른 많은 작품과 상호텍스트성을 갖는 작품이며, 시인의 심장이 상 징하는 서정성을 부정하는 고통의 과정과 관련 있다. 본 연구는 파리 코뮌 과 더불어 단기적으로 정치적 비판의 날을 세우는 시국에 관한 풍자적인 시를, 장기적으로 스스로 시인의 심장을 도려내면서, 서정시가 기초하는 ‘주 관적 시’를 해체하고 ‘객관적 시’를 내세워 시를 통한 사회적 이상에 기여하 는 내면의 전쟁에 이르는 랭보 시의 변천을 분석한다. En abordant le thème polémique sur la guerre et l’écriture de Rimbaud, cette étude ne tente pas une critique thématique, mais remet en question l’évolution de l’écriture rimbaldienne en corrélation de la guerre franco-allemande et la guerre civile de la Commune de Paris. Il s’agit d’éclairer le sens obscur des poèmes dont le sujet, nous paraî̂t-il, est essentiellement lié à la guerre : Le Dormeur du val, Le Cœur supplicié, Chant de guerre parisien, Les Corbeaux, “Qu’est-ce pour nous, mon Cœur, que les nappes de sang...”, quelques passages d’Une saison en enfer et Guerre des Illuminations. Le Dormeur du val n’est pas une poésie d’actualité qui témoigne de la mort d’un soldat inconnu, mais révèle la symbolicité tissée sur des opérations langagières : allégories, métaphores, symboles, clichés. Ensuite cette étude insiste sur l’importance de la relecture du Cœur supplicié, non dans le contexte de l’histoire imaginée du viol pédérastique à la caserne de Babylone, mais à la lumière de l’intertextualité pertinente des textes littéraires. En nous nous demandant si la poésie de Rimbaud est conduite à son échec ou non, il ne nous est pas impossible de voir que la guerre intériorisée par l’écriture chez Rimbaud ne cesse de se prolonger jusqu’à Une saison en enfer et Guerre des Illuminations, et nous permet de lire la guerre intime de l’écriture hermétique menée par un guerrier-poète, mê̂me peu après les échecs de la guerre franco-allemande et de la Commune de Paris.

      • KCI등재

        랭보시의 ‘침묵의 번역’에 대한 번역 문제

        신옥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8 외국문학연구 Vol.- No.32

        본고는 랭보시를 번역할 때 제기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시 번역은 일반적으로 ‘번역=해석’, 또는 ‘번역=비평’에 기초한다. 이 ‘번역=해석’의 관점에서 랭보시 번역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우리는 비교적 유명한 「영원」의 1872년 버전을 예로 들었다. 「영원」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이해하기 쉬운 시가 아니라 1873년 시인이 􋺷언어의 연금술」Alchimie du verbe에서 예고한 ‘침묵의 번역’이라는 시 창작 원리를 예시하는 시로 침묵을 번역한 대표적인 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시가 번역하고자 하는 원천 내용인 침묵을 해석하지 않고 번역할 경우 번역은 완전히 엉뚱하게 흘러갈 수 있다. 이에 본고는 크게 2장으로 나누어 먼저 1장에서 랭보의 시 창작원리로서 침묵의 시학을 살펴보았다. 우리가 보기에는 랭보의 침묵은 ‘투시자’인 他者(autre)가 시의 지평에서 맞이한 죽음이다. 즉 이는 ‘타자의 지평=죽음=침묵’이 되어 시인이 자신의 시에서 표현하지 않은 채 시의 언어와 이미지에 있어서 가장 먼 방식으로 암시하는 부분이 된다. 2장에서 우리는 「영원」의 번역들을 비교하면서 랭보시 번역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우리의 ‘번역=해석’에 따르면 「영원」은 바로 이‘타자=죽음=침묵’의 고리를 직역한 것이다. 이처럼 랭보의 ‘침묵의 번역’은 랭보시의 창작원리로 랭보시가 난해한 가장 큰 이유가 된다. 침묵은 벤야민이 말하는 순수언어에 속하며 랭보시의 번역가능성은 단순 히 축자적 번역이나 자의적 해석에 입각한 번역이 아니라 이 원천내용인 순수언어의 번역에 있다. 이때 ‘번역의 번역’은 원시가 드러내지 않는 의미를 드러낸다. 따라서 원시가 직역하고자 하는 침묵인 순수언어를 번역하는 것이 랭보시 번역의 가능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번역자의 한계는 늘 존재하며 이로 인한 순수언어의 번역에서 미진한 부분은 주해에 할당할 필요가 있다. 랭보시 번역에서 주해는 단순히 독자를 위한 설명이나 번역자의 변명이 아니라 번역의 일부분으로서 미래의 번역에 내맡기는 번역의 지평이 된다. 이런 점에서 랭보시 번역은 단순한 ‘번역=해석’을 넘어 ‘번역=탐구’라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essential problem brought up when translating Rimbaud's poetry. In general, the translation of poetry is based on ‘translation = interpretation’, or ‘translation = criticism’ or ‘translation = research’. In order to handle the translation of Rimbaud's poetry, we chose a relatively famous poem of Rimbaud, the 1872 version of L'Eternité. L'Eternité has been generally known as an easy poem, but it is actuall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Alchimie du verbe of 1873 previously mentions ‘the translation of silence’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oetic creation. L'Eternité can be considered the representative poem translating ‘poetic silence’. Therefore, the translation can become absurd if the source of content translating what the silence refers to is not interpreted first. In our article largely divided into two chapters, in the first part we deal with the creative principle of Rimbaud considered as the Poetics of silence. We see in the silence of Rimbaud the death of autre dying on the horizon of poetry. This means that ‘horizon of autre = death = silence’ represents one of the most suggestive parts so unrelated in their usage of language and images. In the second part, comparing L'Eternité with its translations, we specially look at the problem of the translation. According to our point of ‘translation= interpretation’ L'Eternité is the poem directly translating the type of connection in ‘autre = death = silence’. Rimbaud's translation of silence is a principal reason of the esoteric difficulty. The silence is the pure language mentioned by Benjamin ; the possibility of translation of Rimbaud depends on simply the translation of this silence, poetic source of content, not on the passive translation of word for word, nor translation based on arbitrary interpretation. At this point, ‘the translation of the translation’, reveals the obscur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Thus, the possibility of the translation of Rimbaud consists in translation of the pure language that constitutes the poetic silence. Nevertheles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translator, the translation of this pure language encounters difficulty. These limitations of translation need to be referred to the notes. In the case of the translation of Rimbaud, the note is not an explanation for readers ; the translation is not simply an excuse for the translator's incapacity but is a horizon of translation awaiting future translation, while we must consider it now a part of the translation. In this context, translating Rimbaud is ‘translation =research’ rather than simply ‘translation = interpretation’.

      • KCI등재

        주요고유성분분석을 이용한 연속음성의 세그멘테이션

        신옥근 한국음향학회 2000 韓國音響學會誌 Vol.19 No.2

        음소에 대한 사전지식 없이 음성의 신호나 특징벡터 만으로부터 음소별 경계를 추출하는 맹목 세그멘테이션의 한가지 방법은 음소별 특징벡터들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경계를 찾는 것이다. 이런 방법에서 특징벡터들 사이의 거리척도로 유클리드 거리가 자주 사용되고 있지만 한 음소의 특징벡터들 사이에도 많은 변화가 있어 단순한 유클리드 거리척도만으로는 음소별 경계를 추출하기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고에서는 한 음소에 속하는 특징벡터들의 전체적인 추이를 반영한 특징벡터들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주요고유성분분석법(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서는 각 특징벡터들과 이들을 주요고유성분에 투영한 점 사이의 거리를 척도로 이용한다. 제안하는 거리척도를 LBDP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연속음성의 음소간 경계를 추출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단순한 유클리드 거리를 척도로 할 때 보다 약 3-6% 정도의 누락오류를 줄일 수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In speech corpus generation and speech recognition, it is sometimes needed to segment the input speech data without any prior knowledge. A method to accomplish this kind of segmentation, often called as blind segmentation, or acoustic segmentation, is to find boundaries which minimize the Euclidean distances among the feature vectors of each segments. However, the use of this metric alone is prone to errors because of the fluctuations or variations of the feature vectors within a segment.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to take the trend of feature vectors into consideration, so that the proposed distance measure be the distance between feature vectors and their projected points on the principal components. The proposed distance measure is applied in the LBDP(level building dynamic programming) algorithm for an experimentation of continuous speech segmentation. The result was rather promising, resulting in 3-6% reduction in deletion rate compared to the pure Euclidean measure.

      • KCI등재

        음절핵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우리말의 음소경계 추출

        신옥근 한국음향학회 2000 韓國音響學會誌 Vol.19 No.5

        음성신호의 음소경계 추출방법 중 음소에 대한 사전지식 없이 음성 데이타, 혹은 특징벡터의 변화를 감지하여 음소경계를 추출해 내는 맹목 세그먼테이션은 연속음형 인식시스템이나 코퍼스 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맹목 세그먼테이션 방법은 사전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아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으나 음운학적인 지식, 또는 음소나 음소경계에 대한 지식과 경험 데이타 등을 이용하는 지식 기반 세그먼테이션 방법에 비해 성능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우리말의 연속 음성을 맹목 세그먼테이션해서 후보 경계를 추출한 다음, 음절핵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경계를 후처리함으로써 세그먼테이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전처리과정에서는 확률적인 거리 모델을 이용한 클러스터링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후처리과정에서는 음절의 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음소의 수는 제한된다는 선험적인 지식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했을 때의 삽입오류는 맹목 세그먼테이션에 비해 약 25% 감소하였다. The blind segmentation method, which segments input speech data into recognition unit without any prior knowled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and corpus generation. As no prior knowledge is required, this method is rather simple to implement, but in general, it suffers from bad performance when compared to the knowledge-based segmentation method.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blind segmentation of Korean continuous speech by postprocessing the segment boundaries obtained from the blind segmentation. In the preprocessing stage, the candidate boundaries are extracted by a clustering technique based on the GLR(generalized likelihood ratio) distance measure. In the postprocessing stage, the final phoneme boundaries are selected from the candidates by utilizing a simple a priori knowledge on the syllabic structure of Korean, i.e., the maximum number of phonemes between any consecutive nuclei is limited. The experimental result was rather promising : the proposed method yields 25% reduction of insertion error rate compared that of the blind segmentation alone.

      • KCI등재

        다문화 현실과 퀘벡의 라이시테 laïcité

        신옥근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8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63 No.-

        Le port des signes religieux à l’école, par exemple, celui du hijab ou bien du kirpan a soulevé, soit en France soit au Québec, de vivants débats sur la laïcité d’aujourd’hui dans un état démocratique et liberal face à la réalté multiculturelle : ceux sur la séparation de l’Eglise et de l’Etat, la neutralité de l’Etat et la distinction entre la sphère publique et la sphère privée dans les pratiques religieuses. La laïcité permet, selon nous, d’analyser et de comprendre l’essentiel de la crise sociale et politique dans une société plurielle, surtout d’immigrations. Il semblerait que la laïcité soit devenue le problème des régimes étatiques, tout en tenant compte de la neutralité religieuse qui peut établir l’intégration républicaine de l’Etat, ou bien de la protection de la liberté de conscience des individus dans les communautés minoritaires comme celles des immigrés. Notre point de vue est basé sur la théorie selon laquelle la notion de laïcité est diverse et complexe conformément aux réalités propres des Etats, et elle permet d’examiner et analyser la crise actuelle sociale et politique des sociétés plurielles, c’est-à-dire multiculturelles. Pour examiner l’état de crise du Québec laïque, nous analysons la notion de laïcité ‘ouverte’ recommandée surtout par la Commission Bouchard-Taylor pour les accommodements raisonnables sur la laïcité (Chapitre VII de son rapport), ainsi que le Projet de loi n° 94 du Parti libéral, et la notion de laïcité ‘rigide’ ou ‘républicaine’ préparée par le Projet de loi n° 60 du Parti québécois en 2013. Le Projet de loi n° 60 est annulé après la défaite électorale par le Parti libéral ; il restreint relativement la laïcité ouverte du Projet de loi n° 94. Il est difficile en l’état actuel de préciser le caractère de la laïcité québécoise, car sa notion se situe entre la plus ouverte et la plus rigide. Pourant l’analyse de la laïcité peut servir d’instrumnt sociologique pour examiner la société plurielle et la réalité mticulturelle du Québec.

      • KCI등재

        연속음성 인식기를 위한 벡터양자화기 기반의 화자정규화

        신옥근,Shin Ok-keun 한국음향학회 2004 韓國音響學會誌 Vol.23 No.8

        포만트 등의 음향학적인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연속음성인식 (CSR)을 위한 벡터 양자화기 기반의 화자 정규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앞서 제안한 간단한 숫자음 인식기를 위한 화자정규화 방법을 개선한 것으로, 코드북의 크기를 증가시켜 가면서 벡터양자화기를 반복적으로 학습시킴으로써 정규화된 코드북을 구한 다음, 치를 이용하여 시험용화자의 워핑계수를 추정한다. 코드북 생성과 워핑계수 추정을 위해 모음 음소의 집합과 자음과 모음을 포함한 모든 음소의 집합 등 두 가지 음소집합을 이용i,겨 실험하였으며, 추정한 워핑계수에 상응하는 구간선형 워핑함수를 이용하여 인식기의 학습과 시험에 사용될 특징벡터를 워핑하였다. TIMIT 코퍼스와 HTK toolkit을 이용한 음소인식 실험을 수행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조사한 결과, 포만트를 이용한 워핑 방법과 비슷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Proposed is a speaker normalization method based on vector quantizer for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CSR) system in which no acoustic information is made use of. The proposed method, which is an improvement of the previously reported speaker normalization scheme for a simple digit recognizer, builds up a canonical codebook by iteratively training the codebook while the size of codebook is increased after each iteration from a relatively small initial size. Once the codebook established, the warp factors of speakers are estimated by comparing exhaustively the warped versions of each speaker's utterance with the codebook. Two sets of phones are used to estimate the warp factors: one, a set of vowels only. and the other, a set composed of all the Phonemes. A Piecewise linear warping func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estimated warp factor is adopted to warp the power spectrum of the utterance. Then the warped feature vectors are extracted to be used to train and to test the speech recognize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investigated by a set of recognition experiments using the TIMIT corpus and HTK speech recognition tool ki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comparable recognition rate improvement with the formant based warping method.

      • KCI등재

        화자 정규화를 위한 비정형 워핑함수 도출에 관한 실험

        신옥근,Shin, Ok-Keun 한국음향학회 2005 韓國音響學會誌 Vol.24 No.5

        화자들 사이의 워핑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비정형 워핑함수를 도출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모음의 MFCC와 LP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화자별, 음소별 대표 스펙트럼을 선정한 다음 음소별 기준 스펙트럼을 선택하였다. 기준 스펙트럼과 대표 스펙트럼을 스펙트럼의 전체대역에서 DTW로 비교하여 화자별 워핑함수를 구한 다음, 이들을 clustering함으로써 비정형 워핑함수의 집합을 도출하였다. 이 함수집합에서 남성화자와 여성화자의 함수들이 각각 구간선형함수와 파워함수와 유사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를 근거로 이 함수들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워핑함수집합을 정의하였다. 음소단위의 인식 실험을 통하여 새로 정의된 함수들의 인식률을 시험하였으며 두 함수집합 모두에서 개선된 인식률을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paper.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extract a set of non-Parametric warping function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rping among speakers' utterances. For this Purpose. we made use of MFCC and LP spectra of vowels in choosing reference spectrum of each vowel as well as representative spectra of each speaker. These spectra are compared by DTW to give the warping functions of each speaker. The set of warping functions are then defined by clustering the warping functions of all the speakers. Noting that male and female warping functions have shapes similar to Piecewise linear function and Power function respectively, a new hybrid set of warping functions is def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extracted warping functions are evaluated by conducting phone level recognition experiments, and improvements in accuracy rate are observed in both warping functions.

      • KCI등재
      • KCI등재

        랭보의 침묵과 『지옥에서의 한 철』의 분서(焚書)

        신옥근 국제언어인문학회 2021 인문언어 Vol.23 No.2

        This study reexamines the silence of Rimbaud, a traditional and outdated problem, generated by his sister Isabelle Rimbaud, and metamorphosed into Rimbaud’s myth of silence. She distorts the author's thinking, claiming that he renounces poetry immediately after the publication of A Sseason in Helll, and that the poet himself definitively burns all the copies before her eyes. Etiemble, Bouillane de Lacoste, Yves Reboul, Lefrèree, etc., reexamined and criticized the problem of Isabelle Rimbaud’s argument on book burning and the myth of Rimbaud's silence, but we do not sufficiently recognize its interpretive importance and its risk in the reading of Rimbaud’s poetry. Many people tend to believe that Rimbaud gave up poetry in complete silence, with the farewell of A Sseason in Hell, and burned all its print editions. But this legend is far removed from the truth, because in 1901, Belgian bibliophile, Léon Losseau, discovered all the print editions of A Sseason in Hell that the author had neither paid for nor burned. It is on this truth that this study seeks to reconsider Isabelle's letters as well as her fallacious claims that lead to Rimbaud's myth of silence. Further investigation of Rimbaud’s poetic silence to disclose the essentials of his poetry is required rather than accepting the perspective of Rimbaud’s myth of silence.

      • 유연한 조립 시스템의 단기 생산 스케듈링과 라우팅에 관한 연구

        신옥근,Sin, Ok-Geun 한국정보처리학회 1995 정보처리논문지 Vol.2 No.6

        종래의 단순 조립 시스템과는 달리 유연한 조립 시스템의 단기 생산계획 수립시에 는 작업 순서, 작업할당, 라우팅, 실시간 제어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유연한 시스템 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적인 스케듈링 문제의 최적해는 구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최적해를 알고 있다. 하더라도 조립기기의 고장등과 같은 교란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 본고에서는 유연한 조립 시스템을 위해 단기 생산계획과 조립 작업의 순서, 그리고 manipulator에 대한 작업의 할당을 미리정하지 않고 순간 순간의 FAL의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FAL의 효율을 높이는 동시 에 복잡한 단기 생산계획 수립을 배제할 수 있는 실시간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어떤 manipulator에서 작업이 끝난 반제품의 다음 작업을 위한 목적 manipulator 는 두 manipulator 사이의 거리, 목적 manipulator 의 작업 수행시간과 당시의 부하, 그리고 필요한 부품의 유무등을 종합하여 manipulator들 사이의 부하를 균등하게 배분함 으로써 주어진 양의 제품을 가능한한 빠른 시간내에 조립할 수 있게 한다. 본고에서는 조립 공정의 특성과 FAL의 모델에 대해 서술한 후 실시간 제어를 위한 heuristic알고 리즘을 제시 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시뮬레이 션 결과, 제안하는 동적 파일로팅을 통하여 복잡한 단기 생산 계획수립 없이도 FAL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수 있을 뿐 아니라 기기의 고장등의 같은 생산 환경의 변화에 잘 적용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A reactive piloting policy for Flexible Assembly Lines (FAL) is proposed, where the sequencing of the operations as well as the assignment of tasks to manipulators are not predetermined but driven by the actual state of the FAL For all work-in-process coming from a manipulator, the next destination is determined by minimizing a temporal criterion taking into account the time needed to reach the destination, the load of the manipulator to reach, the durati on of the operation to be completed in the destination manipulator, and the availability of product components in this manipulator. The purpose of proposed piloting policy is to manufacture a given quantity of products as rapidly as possible by balancing the amount of work allocated to manipulators and to reduce the efforts required for scheduling the production of short series of diversified products. After introducing the characteristics of assembly processes and FAL modelization, the proposed algorithm is evaluated by simulations. The simulations of the proposed algorithm showed satisfactory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