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선어말어미 ‘-겠-’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

        신언호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8 No.-

        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에서 선어말어미 ‘-겠-’이 보이는 다의적 현상에 대하여, 세 가지 논점을 중심으로 그 현상의 본질에 접근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 번째로 ‘-겠-’의 다의성을 인정하되, 문장의 계층 구조를 근거로 ‘-겠-’의 미래 시제 범주의 기능을 부정하고, ‘-겠-’이 양태 범주의 기능만을 수행한다는 견해를 지지하였다. 두 번째로 ‘-겠-’의 핵심 의미인 [추정]과 [의지]에서 공시(共時)적으로는 [추정]이 더 중심적인 의미임을 방언 자료를 근거로 예증하였다. 또한, 방언에 따라 ‘-겠-’의 중심 의미가 되지 못했던 [의지]가 점차 확장되어 현재는 또 다른 중심 의미로 자리 잡았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겠-’의 양태 의미인 [추정]과 [의지]가 사태를 바라보는 화자의 인식 태도와 개념적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안명철(1983)의 ‘인식 구조’ 모형을 활용하여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focusing on three issues, with regard to the polysemous phenomenon of the pre-final ending ‘-gess-’ in modern Korean. First, based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sentence, it denied the function of the future tense category of '-gess-' and supported the view that it only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modality category. Second, it was demonstrated based on dialect data that [presumption] is a more core meaning in [presumption] and [volition], which are the core meanings of '-gess-' in modern Korea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volition], which was not the core meaning of '-gess-' depending on the dialect, gradually expanded and is now becoming another core meaning. Third, it was judged that the meanings of '-gess-' were conceptually related to the speaker's perception attitude toward the situation, and this was explained using Ahn(1983)'s cognitive model.

      • KCI등재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

        신언호 한국어의미학회 2006 한국어 의미학 Vol.21 No.-

        Shin Eon-ho. 2006. On the Polysemous Phenomena of the Present Tense in Korean. Korean Semantics, 21. This study is aimed to show an appropriate way to analyse the polysemous phenomena by investigating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present tense in Korean.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present tense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one group is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propositions; repetition, truth, habit, etc. The other group is related to the mental shift. If we examine the two groups of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present tense, we can capture the commonalities between them and can find a way to unite them. Any group puts the objective situation in the area of the present reality. In the way we can unite the account of the polysemy of the present tense in Korean.

      • KCI등재후보

        '-고 있-'과 부분성(部分性)

        신언호 국어학회 2004 국어학 Vol.0 No.44

        이 글은 이른바 진행상이라 불리는 '-고 있-'의 본질적인 의미와 이에 따른 부차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 상황의 내적인 시간 구성을 바라보는 화자의 다른 관점"이라는 Comrie(1976)의 개념을 재 부각시켜, '-고 있-'의 본질적인 의미를 관점상의 시각에서 불완전상에 따른 부분성(부분적 관점)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 부분성에 의한 '-고 있-'의 부차 의미로 제한성, 확장성, 미완결성을 두어 '-고 있-'의 유무 대립에 의한 문장 간의 의미 차이를 명세했다. 이를 통하여 기존에 '-고 있-'의 주요한 의미로 다루어지던 '반복'이나 '습관' 등을, 시간의 폭과 관련지어 '-고 있-'과는 관계없는 명제의 내용임을 보였고, '-고 있-'의 중의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제 내용이 완전상에서도 그 중의적 의미가 유지되는 것을 근거로 '-고 있-' 자체가 중의성을 지니는 것이 아님을 보였다. This paper is aimed to investigate what the basic meaning of '-go iss-' is. In order to do this, the definition is emphasized that aspects are different ways viewing the internal temporal constituency of a situation(Comrie, 1976). The imperfective aspect looks at a situation from within. The meaning of '-go iss-' is related to an imperfective perspective. It is argued that '-go iss-' is defined as a form of the imperfective aspect contrasted to the perfective aspect `-Ø-'. Its secondary meanings are based on the way of viewing a situation imperfectly. The secondary meanings of '-go iss-' are different from the meanings of propositions such as 'repetition', 'habit', etc.

      • KCI등재

        1980~90년대 인천의 소영화관 연구 - 영화관 입지의 지역별 분포를 중심으로 -

        신언호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2 인천학연구 Vol.37 No.-

        This study aims to outline the history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by examin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locations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in the 1980s and 1990s. To this end, the Incheon area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s: Nam-gu, Buk-gu, and Jung-gu and Dong-gu. Chapter 2 examined the situation of local theaters in Incheon in 1981 and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small theater’. In 1970, the number of local theaters in Incheon was 18. However, by 1981, there were 13 locations. In the 1980s, the number of local theaters in Korea increased rapidly. This is because, through the performance law amended in 1981, it was legally possible to open a ‘small theater’ with less than 300 seats. As a result, many small movie theaters were opened in Incheon, and the number of local theaters increased again. Chapter 3 reconstructed the development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in the 1980s. The regional diffusion of the screening space was achieved by opening a small movie theater in an area where there was no movie theater. In the 1980s, a total of 19 small movie theaters were opened in Incheon. Nine of them were opened in Nam-gu. In this area, the distribution of locations of small movie theaters was spread along the east-west axis with ‘Jungang Geugjang’ as the center. In Buk-gu, 7 small movie theaters were newly opened in the 1980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4 local theaters. In this area, the locations of small movie theaters were distributed along the north-south axis centered on Bupyeong Station. In Jung-gu and Dong-gu, in addition to the existing 5 local theaters, 3 small movie theaters were opened. The locations of small movie theaters in this area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local theaters was maintained. Chapter 4 reconstructed the decline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in the 1990s. The popularization of video culture in the 1990s had a major impact on the decline of local theaters. The reorganization of the landscape of the theaters in Incheon is also related to this situation. There are two major aspects of the change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One was to close the business, and the other was to change to a 'small video theater', a similar industr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ll small movie theaters with a single screen disappeared in Incheon. 이 연구는 1980~90년대 인천지역에서 소영화관 입지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봄으로써 인천지역 소영화관의 역사를 개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상을 남구, 북구, 중구·동구의 3개 권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1981년 인천의 지역극장 상황과 소영화관의 도입 배경을 살펴보았다. 1970년 인천의 지역극장 수는 18개소였다. 그러나 1981년에 이르는 동안 13개소가 되었다. 그런데 1980년대에 전국에서 지역극장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1981년에 개정된 공연법을 통해 좌석 수가 300석 미만인 ‘소극장’의 개관이 법적으로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인천에서도 많은 소영화관이 등장하며 지역극장의 수가 다시 증가하게 되었다. 3장에서는 1980년대 인천지역 소영화관의 지역별 전개 양상을 재구성하였다. 영화관이 존재하지 않던 지역에 소영화관이 들어선 것은 상영 공간의 지역적 확산을 가져왔다. 1980년대에 인천에서는 총 19개소의 소영화관이 개관하였다. 그중 남구에서 9개소가 개관했다. 이 지역에서 소영화관의 입지 분포는 중앙극장을 중심으로 동서축으로 확산한 형태를 보였다. 북구에서는 1980년대에 기존의 지역극장 4개소에 더해 소영화관7개소가 새로 들어섰다. 이 지역에서 소영화관의 입지 분포는 부평역을 중심으로 남북축으로 확산한 형태를 보였다. 중구·동구에서는 기존의 지역극장 5개소에 더해 소영화관 3개소가 들어섰다. 이 지역에서 소영화관의 입지는 기존 극장의 분포가 유지되는 형태를 보였다. 4장에서는 1990년대 인천지역 소영화관의 지역별 전개 양상을 재구성하였다. 1990년대에 비디오 문화가 대중화된 것은 지역극장의 퇴조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인천 극장가의 판도가 재편된 것도 이러한 사정과 관계가 있다. 인천지역에서 소영화관의 변천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하나는 폐업하는 것, 다른 하나는 유사 업종인 ‘비디오물소극장’으로 변경하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인천지역에서 모든 소영화관이 사라졌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